여자는 힘이 세다.
여자는 정말 힘이 세다.
여자는 정말 정말 힘이 세다.
남자의 힘과는 다른 의미로..
남자들이 힘으로 눌러야만 하는 이유가 그 `힘`에 있을것이다

모든 문학의 시작은 이야기다
할머니 무릎베개 베고 누워 있으면 솔솔 잠을 부르는 이야기.
`옛날 옛날에~~ `
뼈속에 혈액속에 녹아들어 삶을 살아가는 자양분이 된다.

<피로 물든 방>으로 알게된 안젤라 카터의 동화집. 피로 물든 방 과는 달리 작가의 견해를 담지는 않은 동화집이다.
공통점이라면 전 세계의 여자 이야기라는 정도. 이누잇족. 아프리카 스와힐리족 ... 이 세상의 모든 동화들을 모아둔 것 같다.
주제별로 묶어
아름다운 여성들. 어머니와 딸. 불행한 가족. 결혼한 여성. 대담하고 고집있는 여성들.
`대담하고 고집있는 여성들`이 처음 주제로 내세운것은 작가의 의도가 아닐까?
동화를 페미니스트적 시각으로 재해석해서 쓴 해체적 글쓰기로 유명하다고 하니까~

예전에 읽었던 <어머니는 날 죽이시고... >의 이야기도 있다.
독일 동화였다. `두송나무`
눈처럼 하얀 아이. 사과. 계모.
백설공주를 연상하게 하는 동화.

우리 엄마는 날 죽였고
우리 아빠는 나를 먹었네
누이동생 마들렌은
내 뼈를 빠짐없이 추스르고
곱디고분 비단으로 정성껏 싸서
두송나무 아래에 두었네
짹짹 짹짹! 나같이 예쁜 새가 또 어디 있을까?

워낙 많아서 한꺼번에 몰아 다 읽지는 못 하고 띄엄띄엄 눈에 띄는 제목 위주로 먼저 골라 읽고 있는데 역시나 잔혹동화의 최고는 유럽이 아닌가 싶다
의식적으로 무의식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지역의 동화들도 보이고 비슷하구나 생각도 들었다가 비슷한듯 해도 지역마다 다른 결말을 내는구나 생각을 하게 된다.
아쉬운건 동양의 이야기가 거의 없다는 점이다.



서문에서

* 그런데 나는 우리가 겉모습은 조금 다르더라도 같은 인류가족의 일부로서 한 꺼풀 벗기면 모두 한 형제라는 사실을 보여주기 위해 그렇게 잡다한 출처에서 이 이야기책을 선집하지 않았다. 뭐라해도 나는 그런 사실을 믿지 않는다. 한 꺼풀 벋기면 우리가 한 형제일수는 있겠지만 그것이 곧 우리가 공통점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차라리 나는 누구나 안고 있는 어려움에 대한 다양하고 수많은 반응들을 보여주고 싶었다. 그리고 실제로 `비공식적` 문화에서 묘사되는 여성성의 풍요로움과 다양성. 즉 그 문화윽 전략과 구상. 노고를 보여주고 싶었다. - 22p

* 이야기는 전 세계로 퍼져나가는데. 그 이유는 우리가 똑같은 상상력과 경험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사람들이 집 떠날 때 가지고 가는 일종의 무형의 짐으로서 이야기가 이동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 - 23p

* 이 책에 실린 이야기들은 거의 예외없이 그 뿌리가 산업화 이전의 과거에 고착되어 있으며 인간성에 대한 변함없는 견해를 보인다. 이런 세계에서는, 우유는 젖소에서, 물은 우물에서 나올 뿐이며 오로지 초자연적 존재의 간섭만이 남성과 여성의 관계. 무엇보다도 출산관계를 바꿀 수 있다. 나는 향수에 젖어 이 이야기들을 제시하지는 않는다. 즉 과거는 고단하고 혹독하며 특히 여성들에게는 불리하므로 우리의 길을 조금이라도 스스로 개척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필사적인 전략이라도 써야 한다는 식으로 말이다. 나는 고별의 기분으로 이 이야기들을 제시한다. 우리의 할머니들이, 또 할머니의 할머니들이 얼마나 현명하고 영리하고 명민한 지, 또 때로는 얼마나 서정적이고 괴짜며 열광적인지 일깨우고 머더구스와 그 추종자들이 문학에 크게 기여했음을 깨닫게 하기 위해서 말이다. - 33p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2015-10-05 09: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700쪽이 넘는 두툼한 책이로군요.
어떤 이야기가 흐를는지 궁금하네요 ^^

지금행복하자 2015-10-05 17:58   좋아요 0 | URL
두고 두고 하나씩 심심할때 읽을만 해요~ 주제별로 서너편 이야기가 들어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