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카와 정글의 소리
프레데릭 르파주 지음, 이세진 옮김 / 끌레마 / 2009년 4월
평점 :
프랑스로 입양된 태국 소년 미카는 자신을 사랑하는 아빠와 누나, 남동생과 함께 살지만 얼마 전 자신들을 떠난 엄마를 잊을 수 없다.
미카 자신은 프랑스인으로 생각하지만 동양적 용모에 자신을 동양인으로 받아들이는 학교 친구들이나 선생님에게 대한 불만이 분노로 쌓여만 간다.
그러던 어느 날 태국에서 미카에게 도착한 한통의 편지는 그들 가족을 태국의 밀림 속으로 향하게 한다. 미카의 죽은 삼촌이 남겨준 밀림의 유산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기 위해 떠나자는 가족과 함께 내키지 않는 길을 함께 나선 미카는 그곳에서 한때는 코끼리 캠프로 영화를 누리기도 했지만 이제는 거의 폐허로 전락한 캠프를 만나게 된다.
그곳에 남겨진 조련사들과 병든 코끼리를 함께 물려받기로 결정한 미카는 가족들과 함께 코끼리 캠프를 재건하는 일에 함께 하지만 아직도 자신 속의 남겨진 분노를 방출해 낼 수 없다. 늙은 조련사 렉 아저씨의 도움으로 명상에 참여하고 자신이 동식물의 내면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는 놀라운 사실을 깨달으며 점차 자신의 평안을 찾는다. 어린 조련사 친구 위는 미카의 소중한 친구가 되고 누나 샬리는 그곳에서 실직한 아빠의 직업을 활용해 상담치료가 필요한 이들을 위한 여행자들의 재충전 캠프를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
모두가 만족스런 생활을 하던 어느 날 오년 전 그 곳 캠프에서 살인사건이 일어났다는 일을 알게 되는데 얼마 후 미카가 괴한에 의해 죽을 뻔한 사건이 벌어지고 그 범인을 찾느라 경찰 모두가 동분서주한다. 미카가 렉 아저씨와 함께 여행을 떠났을 때 렉이 범인이라는 증거를 찾게 되고 미카의 무사 귀환에 모두가 안도한다. 하지만 미카는 렉이 범인이 아니라는 증거를 찾기 위해 오년 전 살인사건의 유일한 목격자인 피해자의 아들을 찾아 나선다.
바로 그 목격자가 자신을 보면 광기를 일으키던 템플보이임을 알게 되는데 그 아버지가 바로 렉임을 알고 놀라서 황당해하는 미카에게 목을 조르지만 렉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진다.
자신의 아들을 죽이게 된 렉은 자신이 이미 죽었던 영임을 알려 주고 자신의 재능을 전수해주지 않는 데에 그가 앙심을 품어 아버지인 렉을 죽였던 것과 미카의 특별한 능력을 질투한 나머지 미카를 죽이려했던 것도 알게 된다.
캠프의 재건 사업은 완성되고 미카의 가족은 서로간의 사랑을 다시 한번 모든 사건을 통해 함께 공유하며 더욱 충만 하는데 다음 주에 드디어 첫 손님을 맞게 된다는 샬리가 전하는 소식에 기쁨의 환성을 터진다.
입양된 소년의 자기 정체성으로 인한 혼란과 분노의 감정들이란 입양아들을 해외로 많이 내 보는 우리 사회에서 많이 접했던 소식이라 그다지 생소하지는 않다.
태국 소년 미카처럼 사랑받는 가족에 입양되어 다시금 자신의 자리를 찾기까지 해피엔드에 이르는 결말이 모든 입양 인들의 공통점이기를 바라게 된다.
다소 공감하기 힘든 부분은 프랑스 인들로써 태국인들에 자유자재로 소통되는 언어 부분과 대가족 제도의 태국 사회에서 죽은 삼촌이 입양된 조카에게 밀림을 유산으로 남겨준다는 것이 비현실적인 것 같다.
하지만 추리 소설로서의 매력도 함께 하고 있고 가족이 밀림을 통해 새로이 각자가 지닌 재능을 찾게 되고 서로간의 끈끈한 정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는 부분이 가슴을 벅차게 한다.
조금 이해가지 않는 부분들을 커버할 수 있는 재미와 흥미로움을 갖추고 있어 책을 읽는 즐거움을 빼앗아가지 않을 거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