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의 문 - 서울대 교수진이 추천하는 통합 논술 휴이넘 교과서 한국문학
이청준 외 지음, 조승연 그림, 방민호, 조남현 감수 / 휴이넘 / 200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청준작가의 작품으로 유토피아를 꿈꾸는  그릇된 시각이 야기하고 있는 문제점을 잘 표현해내고 있다.

어느 날 산에 살고 있는 백영섭 노인에게 다가온 소설가 주영섭은 자신의 소설의 결말을 노인을 통해 매듭지려 한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자신의 소설 속 이야기를 들려주게 되는데 그는 소설을 쓸 때 자신이 직접 체험하며 글로 쓰고 싶어 한다.

노인의 이야기를 듣고 싶기에 자신의 소설 이야기를 먼저 들려주게 되는데 어느 두 사건으로부터 시작하는 내용을 이야기하게 된다.

강도 용의자로 잡힌 최병진의 이상한 태도에 추리에 나선 양진호 기자가 어느 날 사라진다. 자살로 생을 마감한 유민혁이란 사람의 사건과의 공통적인 연관성을 알아내게 된 구서룡 기자는 사건의  뒤를 파헤치는 과정에서 그 역시 사라지게 된다. 안면이 있던 구서룡 기자의 뒤를 캐기 시작하며 이 노인과 연관되는 뭔가를 집요하게 찾아 나서게 된 소설 속 주인공이기도 한 본인은 사건을 결말짓는 마지막까지 오게 된다. 노인의 입에서 나오는 이야기 역시 그가 상상했던 대로 노인의 유인에 의해 두 기자의 목숨은 사라졌고 자신의 목숨도 위태로운 줄 알게 된다.  기독교의 잘못된 원리에 심취해 자신의 이상을 위해 어떤 희생이라도 치루며 자신의 목적에 도달하려 하는 그에게 주영섭은 노인이 알지 못한 사랑과 믿음이 없는 태도야말로 부질없는 계율과 이기적인자기 탐욕이라 한다.

사랑이야말로 제일 중요한건데 노인은 그의 귀를 기울이는 듯하면서도 결국 자신의 의지를 관철하기에 주영섭은 노인의 계산대로 사나운 말벌에 쏘여 죽음을 당하고 만다.

백상도 노인의 그릇된 믿음이야말로 얼마나 독선적인 생각인지 모르겠다.

처음 시작에서부터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그림이 어둡게 배색이 된 게 글의 분위기를 잘 파악하게 하여준다. 읽다보니 그림이 글의 내용과 너무나 잘 일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서 나오는 만화로 세상 엿보기는 자유의 문이 지니고 있는 생각을 얼핏 볼 순 있지만 과연 대상인 초등생이 얼마나 이해할 수 있을지 의구심이 든다.

논술을 겨냥한 책이라기보다는 이러한  문학 작품을 읽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생각을 가지고 책을 읽게 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초등생이 읽기에는 글의 내용도 그렇고 다소 어렵기에 이해가 쉽지 않을 것 같다.

대상이 중학생 이상은 되어야 어느 정도 이해가 가능하리라 생각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