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는 왜 사람과 함께 살게 되었나 그림책 보물창고 27
잰 브렛 글.그림, 이순미 옮김 / 보물창고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개를 무지 좋아하는 나는 이 책이 처음 나왔을 때부터 제목이 나의 호기심을 끌어 당겼다.
꼬리를 흔든다라는 뜻이 개라는 의미가 정말일까? 개라 이름 불린 늑대가 사람과 함께 살게 된 이유가 킵의 코뿔소 갈비 냄새 때문이다. 이 늑대는 아직 어린 늑대일 것 같다. 어린 킵을 따라 다니며 그 아이의 갈비를 탐내고 있으니 말이다.

그렇지만 코와 다른 감각이 예민한 늑대는 여러 번 킵을 위기 상황에서 도와준다. 동물의 직감으로 거대한 매머드도 피하고 동굴 속 곰도 피할 수 있게 해준다. 마지막에는 나무위의 무서운 호랑이를 피하게 되는데 킵이 무서운 나머지 코뿔소 갈비를 던지지 않았다면 과연 킵이 어떻게 되었을지 생각만 해도 끔직하다. 나무 위에서 떨며 하룻밤을 보낸 킵은 늑대에게 이야기 한다.

늑대의 예민한 코와 날카로운 눈으로 위험에서 지켜주면 킵은 불에 구운 코뿔소 갈비랑 매머드 고기를 나눠준다고 말이다. 늑대도 킵이 마음에 들었으니 꼬리를 좋다고 흔들었을 거고 서로의 이해관계는 결국 사랑으로 연결되었던 거 아닐까?  지금 현재 개만큼 인간의 충실 된 친구는 없다. 개를 사랑하는 모두에게 개의 조상이 늑대라는 이야기 설정도 재미있고 늑대의 눈과 킵의 눈길이 서로를 따스하게 바라보고 있는 그림도 애정이 깊어 보인다.
개와 인간의 인연이 이렇게 시작되었는지 정확하게는 알 순 없지만 이러한 가정이 아이들의 마음에 순수하게 받아들여지게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