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둥 덩뜰당뜰 저소리 들어보오 - 악기 우리나라 바로알기 6
연필시 동인 지음, 홍선주 그림, 김상철 감수 / 대교출판 / 200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슬기둥 덩뜰당뜰을 듣고 연상되는 게 무어냐고 아이에게 질문했더니

장구, 꽹과리, 기생(여자), 신문고 가 생각난다고 해서 많이 웃었다.

아이들의 생각이란 정말 기발할 때가 많다.

 

이 책을 보며 내 자신이 우리 악기에 대한 지식이 너무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 것을 제대로 안 다음에야 서양 문물을 더 자세히 이해 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그런 점에서  이 책은 타악기, 현악기, 관악기 구성의 우리 악기를 총괄해서 소개한 점과 그 악기들이 어떠한 때 사용되었는지를 잘 알 수 있는 책이라 할 수 있다.

각 악기들의 특징과 관련해 멋들어진 시로 표현해 놓았기에 뒤에 소개된 사이트에 들어가 각각의 국악기 소리도 들어가며 읽었더니 각 악기에 대한 아이의 이해가 빨라져서 참 좋다.

악기 편성법 또한 연주 형태와 쓰인 용도를 설명해 주고 있어서 국악 음악에 대한 이해가 깊어진다. 이 책 한권이면 우리 악기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넓혀줄 수 있는 더없이 좋은 책이란 생각이 든다.

따스한 봄날이 시작되는 요즘 슬기둥 덩뜰당뜰을 들고 가까운 국악 연주회장을 찾는 건 어떨까 싶다.


서양 악기나 우리 악기나 악기의 구성 내용은 같다.

현악기

현을 뜯어서 소리를 내는 악기

우리나라 대표적 현악기: 거문고, 가야금, 아쟁, 해금, 양금

서양의 대표적 현악기: 바이올린, 첼로, 비올라, 콘트라베이스


타악기

말 그대로 때려서 소리를 내는 악기를 타악기라 한다.

우리나라 대표적 타악기: 징, 자바라, 꽹과리, 북, 장구, 박, 소고, 편경 편종(중국 송나라에서 들어옴) 

서양의 대표적 타악기: 캐스터네츠, 탬버린, 심벌즈, 팀파니 실로폰

관악기

입으로 불어서 소리 내는 악기를 뜻한다.

우리나라 대표적 관악기 :나발, 나각, 태평소, 대금, 단소 피리

서양의 대표적 관악기: 플릇, 오보에, 클라리넷, 호른, 튜바 트럼펫


<악기 편성법>

 

대취타

임금님의 행진이나 높은 지위의 사람들이 행차할 때, 군대 행진에 쓰이는 것이므로 아무래도 큰 소리로 흥을 돋우는 연주 형태를 띄었을 거다.

종묘 제레악

제사에 연주 되는 음악

세악

적은 수의 악기 편성 음악 실내악과 견줄 수 있다.

사물놀이

풍물 놀이(농악)를 실내 연주용으로 개발 한 음악

삼현육각

무용 반주 음악

 

책을 읽고 가장 인상에 남았던 악기가 뭐냐고 했더니 본인은 나발 소리가 가장 좋다고 하였다. 그래서 그 악기에 대한 시를 지어 보게 하였는데 짧은 시속에 나발에 대한 확실한 표현을 잘 하였다.

 

                                                나발 소리 

                                        

뿌웅 뿌웅

나발 소리

방귀 소리 같네?

 

뿌웅 뿌웅

나발 소리

군함 출발 소리 같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