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서양 철학 신박한 정리 - 한 권으로 흐름을 꿰뚫는 생각의 역사
박영규 지음 / 김영사 / 2025년 4월
평점 :
#동서양철학신박한정리
#박영규
#김영사
<507p>
📍 종교와 철학의 탄생 배경 - 사회를 유지하는 데 모든 구성원이 믿고 따를 수 있는 행동 지침이 필요했다. 종교와 철학도 적자생존의 원리가 작동하였음. 선 종교 후 철학 탄생. 종교에 비해 훨씬 복잡한 철학. 복잡한 논리를 어떻게 단순화할 것인가?에서 나온 것이 ❛양자대립 구조 ❜ 즉, 이분법적 논리였다. 이러한 사고방식이 무려 2,000년 동안 지속. 이 원리를 깬 사람 ❛니체 ❜ 이후 그의 사상에 영향을 받은 푸코, 들뢰즈, 데리다 등이 등장.
철학은 인류가 보다 정교하고, 보다 생존에 유리한 행동 지침을 얻기 위한 탐구의 일환. 그러한 진리 탐구에 대한 열정의 역사가 곧 철학사이고, 그 철학사를 이끈 슬로건의 합이 곧 철학이다.
1부 고대 그리스 철학
1. 이오니아의 자연 철학자들
✔️ 피타고라스 - 난폭 군주 비판 죄로 남주 이탈리아 크로톤으로 쫓겨났으나, 따르는 자들이 많아 학생들과 공동생활. 이는 일종의 공화국이기도 했다. 재산을 공동으로 관리하고, 생산물을 공평하게 분배하는 일종의 공산 사회! 피타고라스주의자들은 대개 천문학과 수학에 밝았는데 그때 이미 지동설을 가르쳤다. 🌏 (기원전 500년 이야기임 😳) 코스모스라는 말을 처음 사용한 사람으로도 유명한 이 양반은 피타고라스교가 생성될 정도로 어마어마한 인물임. 그의 명제는 ❝모든 사물은 수의 힘에 의해 움직인다! ❞ 😵💫
✔️데모크리토스 - 소크라테스가 밖에서 떠들고 있을 때 갇혀서 연구에 몰두. 원자 atom의 아부지
2. 아테네의 인간주의 철학자들
✔️현대의 시각에서 조명되고 있는 소피스트. 소크라테스에 가려져 폄하되었던 그들의 철학 ❛모든 사물은 자기 자신에게 나타나는 대로 판단해야 한다. ❜ 현대에 어울림. 소크라테스의 절대 진리와 상대주의의 대립에서 당시엔 소크라테스 윈
3. 헬레니즘 시대(약 300년) 철학자들 : 5학파로 나뉨
키니크학파, 스토아학파, 에피쿠로스학파, 회의주의학파, 신플라톤학파
2부 고대 중국 철학
도가, 유가, 문가,명가, 법가
3부 이성 중심의 동서양 철학
1. 유학에 우주론 도입한 주돈이, 기 철학 장재, 성리학과 양명학의 씨앗 이정 형제, 성리학 주자, 선과 유학 결합 유구연, 양명학 왕수인
📍서로마제국 멸망 476년부터 종교개혁 1517에 이르기까지의 1,000년을 중세 철학이라고 본다. 중세 철학은 플라톤 철학과 헤브라이즘이 융합된 신플로톤주의에 그 뿌리가 있고, 아우구스티누스에 의해 본격화된 교부철학 / 학자들의 철학인 스콜라철학(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해 완성) 두 형태로 나뉜다.
15세기로 접어들면서 본격적인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이 일어나 근세의 문을 열었고 과학이 발달하기 시작했다.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로 변화가 시작되어 케플러, 갈릴레이, 뉴턴으로 이어지는 ‘과학의 시대‘ 가 도래했다. 이 시대를 이끈 철학적 경향은 합리주의와 경험주의로 대표한다. 영국을 중신으로 형성된 경험주의 철학은 베이컨을 선두로 홉스, 로크, 버클리, 흄 등에 의해 계승‧발전. 대륙 국가에서 각광받은 합리주의 철학은 프랑스 데카르트에서 시작되어 네덜란드의 스피노자와 독일의 라이프니츠로 이어졌다.
이러한 철학의 흐름은 계몽주의 형성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고, 독일의 칸트에 의해 종합적으로 정리됐다.
4부
📍헤겔의 절대 관념에 의해 서양 철학은 완성되었는데 이에 도전하는 철학자들 등장.
쇼펜하우어 :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키르케고르 : 그리스도교적 실존주의 주창
마르크스 : 유물론의 아부지
니체 : 쇼펜하우어에 몰두. 참전과 쇠약한 몸으로 늘 죽음의 그림자가 있었다. 쇼펜하우어에게서 얻은 허무주의를 초인을 통해 극복~
📍19세기까지의 철학은 인간,세계,신 등 모든 것을 포괄하는 절대적 진리를 추구한 데 비해, 20세기 철학은 과학적 사고에 기반한 현실적 문제에 집중
삶의 철학은 : 베르그송, 블롱델
프래그머티즘(실용성) : 퍼스~제임스~ 듀이
현상학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 / 사물에 의해 일어나는 사건 또는 사태가 의식에 나타나는 것 그 자체) : 후설, 셸러
기호논리학 : 무어,러셀,비트겐슈타인(언어철학 태동),가르나프, 하이트헤드
실존철학을 이음 : 야스퍼스, 하이데거, 사르트르
구조주의 (인가의 행위와 사유,인식,느낌 등의 바탕에는 사회에서 이미 만들어진 언어 구조나 무의식적인 구조가 있다고 보았는데 그 구조를 파악하는 학문):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자크 라캉, 루이 알튀세르, 미셸 푸코
#제로책방 #책리뷰 #책추천 #책기록 #철학교양서 #동서양철학 #철학다이제스트 #철학백과사전 #각사상가의일대기와사상 #북스타그램 #신간도서추천 #비문학도서추천
인상적인 문구
듀이 : 무엇이 좋은 것이고, 무엇이 나쁜 것인가?
인간을 이롭게 하는 것은 좋은 것이고, 인간을 이롭게 하지 않는 것은 좋지 않은 것이다.
동서양 철학의 계보를 간단하게 정리한 책이다. 철학자의 삶과 그가 주장한 사상을 아주 간단하게 기록한 책이라 철학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조망하기에 딱 좋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