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아이가 태어나면, 어머니는 분명한 정보를 갖고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그전에 내리는 결정은 "소송 위협에, 그리고 1만 달러의 유혹에" 어쩔 수 없이 내리는 결정이라서 "전적으로 자발적일 수 없는 결정이다. 더군다나 돈이 궁하다 보면 가난한 여성이 부자를 위해 대리모가 되기로 ‘선택‘할 확률이 높다. 윌렌츠 판사는 이 점 역시이 계약의 자발성에 의문을 품게 하는 대목이라고 말한다. "저소득층 불임 부부가 부유층 대리모를 찾는 일이 있을지 의문이다.

4강 대리인 고용하기 - 시장과 도덕 - P134

대리 출산 계약에서, 어머니는 아이와 부모 자식 관계를 형성하지도, 형성하려 애쓰지도 않겠다고 약속한다. 임신이라는 사회적 행위가 마땅히 지향해야 하는 목적인 아이와의 감정적 유대를 억지로 끊어야 한다는 점에서 어머니의 노동은 소외된다.

앤더슨 주장의 핵심은 재화라고 해서 다 같은 재화가 아니라는 점이다. 따라서 모든 재화의 가치를 이익의 수단이나 물건의 효용만을 따져 평가해서는 안 된다.

4강 대리인 고용하기 - 시장과 도덕 - P138

앤더슨은 모든 것을 공리로(또는 돈으로) 평가한다면 아이, 임신, 부모 노릇처럼 더 높은 기준으로 평가해야 마땅산 사회적 행위와 재화를 비하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4강 대리인 고용하기 - 시장과 도덕 - P138

인간은 자유를 누릴 자격이 있으니, 물건 취급 받아서는 안 되며, 존엄성을 가진 존재로 존중받아야 한다.

4강 대리인 고용하기 - 시장과 도덕 - P139

대리 임신을 결정한 이 여성은 분명 경제적 이익을 얻겠지만, 그것을 자유로운 선택이라고 말할 수 있을지는 분명치 않다. 게다가 대리 임신 산업이 전 세계로 확대되면서, 그리고 가난한 나라에서 의도적으로 그러한 정책을 장려하면서, 대리 출산은 여성의 몸과 출산 능력을 도구로 전락시켜 여성을 비하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4강 대리인 고용하기 - 시장과 도덕 - P1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상 상황에서, 강요받는 구매자에게 자유는 없다.

1강 옳은 일 하기 - P16

 분노는 자격 없는 사람이 무언가를 얻는다고 생각될 때 느끼는 특별한 종류의 화다. 다시 말해, 부당함에 대한 화다.

1강 옳은 일 하기 - P18

정의를 고민하는 것은 곧 최선의 삶을 고민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1강 옳은 일 하기 - P22

사회가 정의로운지 묻는 것은, 우리가 소중히 여기는 것들, 이를테면 소득과 부, 의무와 권리, 권력과 기회, 공직과 영광 등을 어떻게 분배하는지 묻는 것이다.

1강 옳은 일 하기 - P33

우리는 긴장된 상황에 맞닥뜨렸을 때, 옳은 행위에 관한 판단을 재검토하거나 애초에 옹호하던 원칙을 재고할 수도 있다. 새로운 상황에 직면하면, 자신의 판단과 원칙 사이를 왔다 갔다 하면서, 판단에 비추어 원칙을 재고하고 원칙에 비추어 판단을 재고한다. 이처럼 행동의 세계에서 이성의 영역으로, 또 그 반대로 마음을 돌리는 것이 바로 도덕적 사고의 기본이다.

1강 옳은 일 하기 - P4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각각의 사회는 특수한 역사적 원인과 조건에 의하여 생성된 독자적인 것입니다.

제3장 역사와 과학과 도덕 - P116

역사에서 배운다는 것은 결코 단지 일방적인 과정은 아닙니다. 과거의 빛에 비추어서 현재를 배운다는 것은 동시에 현재의 빛에 비추어서 과거를 배운다는 것도 의미하는 것이지요. 역사의 기능은 과거와 현재의 상호관계를 통해서 양자를 보다 깊게 이해시키려고 하는 점에 있는 것입니다.

제3장 역사와 과학과 도덕 - P119

역사가에게 일반화란 불가피한 것이고, 또 일반화를 통해서 비록 개별적인 예언은 아닐지라도 장래의 행동을 위한 정당하고도 유효한 일반적인 지침을 얻는 것입니다.

제3장 역사와 과학과 도덕 - P1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사적 사건이라는 것은 어느 누구도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역사의 진행을 바꾸어 놓는 성질이 있다."(버터필드 교수)

제2장 사회와 개인 - P90

모든 사회는 사회적 투쟁의 무대가 될 수 있고, 기존의 권위에 적대하여 대립하는 개인이라 할지라도, 그 권위에 순응하는 개인들보다 약하지 않으며, 이것도 사회의 산물, 사회의 반영인 것입니다.

제2장 사회와 개인 - P92

한 시대의 위인이란 그 시대의 의지를 표현하고, 시대의 의지를 그 시대에 전해주어 그것을 실행할 수 있는 인간을 말한다. 그의 행위는 그 시대의 정수이자 본질이다. 이로써 그는 자기 시대를 실현하는 것이다.(헤겔)

제2장 사회와 개인 - P96

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위인이란 역사적 과정의 산물이고 생산자이며, 동시에 세계의 형세와 인간의 사상을 변화시키는 사회 세력을 대표하는 자이며, 또한 창조자인 아주 뛰어난 개인이라고 인정하는 바입니다.

제2장 사회와 개인 - P97

과거는 현재의 빛에 의해 비쳐졌을 때에만 비로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현재도 과거의 조명 속에서만 충분히 이해될 수 있는 것입니다.

제2장 사회와 개인 - P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사상의 사실이란 역사가가 이를 창조하기까지는 어떤 역사가에게도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칼 베커, 미국의 역사가)

제1장 역사가와 사실 - P38

"역사는 역사가의 경험이다. 그것은 역사가만이 만든 것으로, 역사를 쓰는 것은 역사를 만드는 유일한 방법"(오크셔트, 영국의 역사가•정치학자)

제1장 역사가와 사실 - P39

역사가는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사람들의 마음을 그 사람이 행한 행위의 배후에 있는 사상을 상상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콜링우드, 영국의 철학자)

제1장 역사가와 사실 - P43

지식이란 어떤 목적을 위해서 지식이 되는 것입니다. 지식의 타당성은 목적의 타당성에 의존하는 것입니다.

제1장 역사가와 사실 - P49

반대로 역사가가 없는 사실이란 생명도 없고 의미도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역사란 무엇인가" 에 대한 나의 최초의 대답을 말씀드리기로 하지요. 즉 역사란 역사가와 사실 사이에서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호작용의 과정으로, "현재와 과거와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하겠습니다.

제1장 역사가와 사실 - P53

"어떤 인간이라도 그자체만으로 하나의 완전함을 갖추는 섬은 될 수 없다. 모든 인간은 대륙의 한 조각과 같고 본토의 일부와 같다" (던, 영국의 시인)

제2장 사회와 개인 - P55

‘인간성‘ 이라고 하는 찾아내기 어려운 실체는 나라와 시대에 따라서 현저하게 차이가 나기 때문에, 이것은 사회적 조건이나 관습에 의해서 형성된 하나의 역사적 현상이라고 보아야 합니다.

제2장 사회와 개인 - P58

역사가는 하나의 개인입니다. 그와 동시에 다른 많은 개인들과 마찬가지로 그들은 하나의 사회적 현상이고, 자신이 속해 있는 사회의 산물인 동시에 의식적이건 무의식적이건 그 사회의 대변인인 것입니다.

제2장 사회와 개인 - P62

역사가의 시각은 역사의 일부분만을 보는데 지나지 않습니다. 즉 그가 참여하고 있는 행렬의 지점이 과거에 대한 그의 시각을 결정한다는 것이지요.

제2장 사회와 개인 - P63

지금 나의 목적은 두 개의 중요한 진실을 밝히려고 하는 데에 있을 뿐입니다.
첫째는 역사가가 문제에 접근하는 입장을 파악하지 않고서는 그의 연구 결과를 충분히 이해하거나 평가할 수가 없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그 입장 자체가 사회적·역사적 배경에 뿌리박고 있다는 것을 밝히려는 것입니다. 언젠가 마르크스가 말했던 것처럼 교육자 자신이 먼저 교육을 받지 않으면 안 된다는 사실을 잊지 마십시오. 시쳇말로 말해서 세뇌자의 뇌부터 세뇌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것과 같은 말입니다. 역사가도 역사를 쓰기 시작하기 전에 이미 역사의 산물이기 때문이지요.

제2장 사회와 개인 - P70

어떤 사회가 어떤 종류의 역사를 쓸 것인가, 어떤 종류의 역사를 쓰지 않을 것인가라고 하는 것만큼, 그 사회의 성격을 의미 깊게 암시하는 것은 없습니다.

제2장 사회와 개인 - P76

역사가가 아닌 사람들의 생각도 마찬가지겠지만, 역사가의 사상도 시간 및 공간적 환경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제2장 사회와 개인 - P77

"역사가를 연구하기 전에 역사가의 역사적·사회적 환경을 연구하십시오"라고 말입니다. 역사가는 개인인 동시에 역사 및 사회의 산물입니다. 역사를 공부하는 사람은 이런 두 가지 의미에서 역사가를 중시해야 한다는 것을 모르면 안 됩니다.

제2장 사회와 개인 - P7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