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본없는 페미니즘 - 메갈리아부터 워마드까지
김익명 외 지음 / 이프북스(IFBOOKS)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8년 텀블벅 펀딩 참여를 통해 구매한 책이다. 페미니즘 서적 출간에 힘을 보태고 싶기도 했고, 나의 취미 중 하나가 책 모으는 것이기도 해서 참여하게 되었으나 이 책을 구매하고 책장에 꽂아둔 채 3년이 흘러 집어 들게 되었다. 늘 책과 가까이 지냈던 것은 아니기에.

이 책을 읽으면서 나의 생각에 세 가지 정도의 변화가 있었는데, 첫째로 메갈리아와 워마드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우선 워마드에 대한 나의 인식이 많이 변했다. 2008년 경에 생긴 일베와 비슷한 언어를 쓰는 워마드에 대해 반감이 없었다면 거짓이다. ‘워마드=여성 일베’라는 나의 인식은 아마 이 책을 읽지 않았다면 그대로였을 것이다. 이 책이 내 생각을 많이 바꿔주었다.

‘왜 그들은 과격한 언어를 사용하는가?’ 하는 의문을 가졌었던 나는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들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이해하게 되었고,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가 사람들을 불편하게 만든다고 워마드를 공격하는 것은 ‘그들의 언어를 빼앗는 것’이라는 생각에까지 이르게 했다. 2008년에 일베에서 시작된, 이미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혐오의 언어들에 권력자들은 방조했고 어쩌면 동조했다. 이를 차용한 언어로 페미니즘 운동을 하는 워마드를 잘못된 것이라고, 왜 더 유순한 언어를 사용하여 여성운동을 하지 않느냐고 말하는 것은 또다른 여성 혐오이며 페미사이드인 것이다.

나는 늘 남성인 내가 페미니스트일 수 있나, 여성 앞에서 내가 나를 페미니스트라고 이야기해도 되는가에 대해 고민을 했었다. 그리고 이 책을 읽으면서 조금은 해답을 얻을 수 있었고 내 생각과 같은 부분이 있어 깊은 공감을 할 수 있었다.

내가 얻은 결론은 나는 나를 페미니스트라고 소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나는 페미니즘에 공감하고 공부하고 있으며, 페미니즘을 이야기한다. 하지만 지금껏 그래 왔던 것처럼 ‘남성들이 있는 자리’에서 페미니즘을 이야기해야 하고 나의 목소리는 여성들의 목소리가 남성들에게 더 잘 닿기 위한 ‘바람잡이’ 정도의 역할이어야 한다는 것, 그리고 그 무대의 주인공은 당연하게도 여성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나는 페미니스트이지만 페미니즘의 당사자가 될 수는 없을 거라는 생각을 이 책을 통해 다시 한번 확인받고 동그라미를 친 느낌이었다.

하지만 나는 ‘입페미’였다는 것도 부정할 수 없었다. 여성단체에 매달 약간의 돈을 후원하고 이렇세 가끔은 펀딩에도 참여하지만, 페미니즘 당사자가 아닌 나는 페미니즘 밖엔 길이 없는 여성들과는 달랐다. 그냥 입으로 주절거리고, 손가락으로 조금 탁탁 쓰고 나서 페미니스트라는 칭호를 얻길 바라는 ‘입페미’였다는 걸 부정할 수 없었다. 남성들은 래디컬 페미니스트가 될 수 없다는 말에 고개를 주억거릴 뿐이었다. 이것이 두 번째이고 이를 통해 남성 페미니스트로서 내가 할 수 있는 ‘행동하는 페미니즘’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다. 가까운 시일 내에 행동해보려고 한다.

세 번째는 여성운동과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부분이었다. ‘똥꼬충’이라는 단어에서 기인한 성소수자 혐오에 관한 문제에서 페미니스트들 간의 갈등이 심했었는데, ‘똥꼬충’이라는 단어는 자신의 정체성을 속이고 여성과 결혼하는, 그리고 여성 혐오적인 언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게이 남성들에 대한 미러링으로 생겨난 용어였다. 이 미러링 단어의 사용 여부 문제가 당시 메갈리아가 워마드와 갈라진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 때는 나도 ‘혐오를 혐오로 되갚아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견지하고 있었고 지금도 유효하다. 하지만 게이 남성들의 여성 혐오 문제 역시 간과해서는 안 되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이 사회적 약자와의 충돌 문제는 작년 트랜스젠더 여성의 숙명여대 입학 반대 문제에서 또 터져 나왔다. MTF(이 책에서는 MTT라고 나온다)가 여대에 입학하는 것에 반대하는 것으로, 학생들은 ‘생물학적 여성’만이 여대에 입학해야 한다고 트랜드 여성의 입학을 반대했고 결국 입학을 포기했던 사건이었다. 이 문제가 터져 나왔을 때 나 역시 수술을 통해 자신을 여성으로 정체화했으니 당연히 여대에 입학 가능하고 여성들이 이에 학생들이 반대하는 것이 퀴어 포빅이라고 생각했다.

지금도 물론 트랜스 여성이 ‘생물학적 여성’이 아니라는 이유로 여대에 입학하지 못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들이 왜 반대했었는지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역시 남성들의 유구한 여성 혐오에서 기인한 것이었고, 남성들(게이 남성 포함)의 통렬한 반성과 변화가 선행되어야 하는 문제였던 것이다.

이 책을 통해 남성 대학생들이 여대에 가한 폭력의 역사를 알게 되었고, 저자는 여대는 여성만의 공간이어야 한다는 것을 이야기하며 여대라는 여성들의 공간에서도 젠더 권력을 행사하려 하는 남성들을 규탄한다. 숙명여대 트랜스 여성 입학 반대 역시 이것에서 기인했다고 생각한다. ‘수술을 통해 자신을 정체화한 여성’이라는 것보다 ‘그가 생물학적 남성이었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일 만큼 여성들의 남성에 대한 공포심은 크다는 것이리라. ‘생물학적 남성’이었던 트랜스 여성을 여대에 입학시키게 되면 여대가 더이상 여성들만의 공간이 아니게 되어질 수 있다는, ‘남성이 여성들의 공간에 침투할 여지를 주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를 포함한 남성들은 이 문제에 뒷짐 지고 있거나 트랜스 여성을 수용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퀴어 포빅이라고 손가락질하기만 했던 것이다. 가장 통렬한 반성을 해야 할 주체가 반성은커녕 혐오라고 손가락질만 했던 것을 깊이 반성한다.

그 밖에도 더 이야기하고 싶은 것들이 있지만 이 책이 변화시킨 나의 생각에 대해 서술하는 것으로 이 글을 마무리를 지으려고 한다. 아직 나는 더 페미니즘을 공부해야 하고 나의 성별 고정관념들이 더 깨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나는 아직 여혐을 하고 있고 앞으로도 할 것이기에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더 입을 다물고 여성들의 말에 귀 기울여야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잘 알지도 못하면서 감히 워마드라는 존재를 평가했다는 것에 반성하게 되었고 ‘입페미’로 사는 것에 안주하는 나를 돌아보고 행동하겠다는 결심도 하게 되었다. 더 열심히 듣고 읽고 치열하게 고민하고 행동하는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하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1-04-21 06:1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 책에 대한 리뷰가 올라오는 것도 놀랐지만 읽다가 남자 분이라 하셔서 더 놀랐습니다. 잘 읽었어요. 이 책 리뷰 저도 썼던 거 생각나 다시 읽어보러 가보니 제일 먼저 달린 댓글이 ‘여자만 안고 가겠다는 용자 납셨네’ 네요. 하하하.

이월 2021-04-21 10:46   좋아요 1 | URL
잘 읽었다고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책의 저자 중 한 명이 그랬던 것처럼 ‘헛소리를 하는 남성에게는 꺼지라고 말’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