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고의 교수 - EBS 다큐멘터리
EBS 최고의 교수 제작팀 엮음 / 예담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10년만에 전국 일제고사가 치루어졌다고 합니다. 교육부와 각 시.도 교육청에서는 '학생 개인의 학업성취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실시한다고 합니다. 지금 초등학생들의 수준은 굳이 평가하지 않더라도 초등학교 전까지 한글도 몰랐던 예전의 제 수준과 비교하면 엄청나게 뛰어날텐데 굳이 초등학생에게까지 이런 시험을 치르게 해야 하는지 의문입니다. 우리나라 교육 수준이 1:1 맞춤교육을 제공하는 것도 아니고 결국 부족한 부분은 학원에서 보충해야 할테니 그 부담은 고스란히 학부모에게로 돌아오겠지요? 경쟁도 필요하겠지만 퇴로가 없는 무한경쟁은 결국 학생과 학부모 모두를 극심한 피로로 몰게 갈 것입니다.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교육의 폐단이 경쟁이 모자라서기 보다는 지나친 경쟁때문인 것 같은데 왜 모든 정책은 이렇게만 흘러 가는 지 알 길이 없습니다. 설사 한 개인이 치열한 노력을 통해 이런 극심한 경쟁에서 이기고 올라왔다면 우리 사회는 어떤 혜택을 줄 수 있을까요? 그것이 고작 '정규직 회사원'이 되는 길이라면 참 허탈하지 않을까요? "우리처럼 양극화된 사회에서는 개천에서 사는 이가 골백번 과로사해도 이룰 수 있는 일이 많지 않다"라는 박노자 교수의 글이 생각납니다. 개인의 노력보다 가문의 재력으로 이룰 수 있는 것이 더 많은 현실에서 외치는 '경쟁'은 공허해 보입니다. 그리고, 아이들은 시험치는 기계가 아니기 때문에 자주 놀게 해야 합니다.
경쟁보다는 서로 협력하면서 학문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곳, 이런 곳이 진정한 학교 아닐까요? EBS 최고의 교수에서 그 답을 보여 주었습니다. 아래는 본문 인용.
--------------------------------------------------------------------------------
왜 하버드대 학생마저 열등감을 느끼는가?
하버드대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하면서 허슈바흐 교수는 자신의 수업을 듣는 학생들이 모두 고등학교 때 A학점만 받았던 수재들임을 새삼 알게 됐다. 또한 학점에 따라 학생들의 태도와 사기가 민감하게 좌우된다는 사실도 깨달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모든 학생들이 좋은 성적을 거둘 수는 없기에, 상대적으로 똑똑한 하버드대학교 학생들도 늘 열등감에 시달린다는 사실이 그는 가슴 아팠다.
그래서 그는 '여유"와 '친밀감'이라는 두 가지 목표 아래 자신만의 평가 원칙을 세웠다. 첫 번째 원칙은 학생들간에 어떤 경쟁도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이고, 두 번째 원칙은 시험에서는 점수를 잃지 않는다는 것이다.
첫 번째 규칙을 실행하기 위해, 허슈바흐 교수는 절대평가제를 실시했다. 그리고 처음부터 시험, 과제, 그리고 실험을 통해 각 단계별로 점수가 얼마나 필요한지 학생들에게 공표했다. 원칙적으로 모든 학생이 A학점을 받을 수 있게 문을 열어둔 것이다.
중고등학교 때부터 경쟁에 익숙해진 학생들에게 허슈바흐 교수의 평가방법은 결코 적응하기 쉽지 않았다. 그러나 이 방법을 적용하면서부터 학생들은 서로 도와가며 공부하기 시작했다. 좋은 점수를 받은 학생이 다른 학생이 낙제하지 않도록 도와주고, 과제와 퀴즈를 팀 단위로 함께 준비하기도 했다. 전에는 결코 볼 수 없던 모습들이었다.
"과학은 결국 다른 사람들과 함께 연구해야 하는 학문이다. 비록 서로 경쟁하는 사이라 해도 경쟁자의 성과가 나에게 도움이 되기도 하고, 내 성과가 경쟁자에게 큰 이익을 주기도 한다. 그걸 인정하지 않고는 과학을 할 수 없다."
허슈바흐 교수가 만든 두 번째 원칙을 지키는 데는 소위 '부할 제도'가 사용됐다. 이는 간단히 말해 중간고사 시험에서 점수를 잃은 학생에게 점수를 만회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다. 점수를 잘 못 받은 학생에겐 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부족한 부부능ㄹ 세세하게 짚어준다. 그리고 학생이 기말고사를 준비할 때 가장 집중해서 공부해야 할 부분이 어디인지 알려주고 세부적으로 도와준다. 쉽게 말해 보충수업을 해 주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허슈바흐 ㅂ교수는 그의 아내와 함께 한동안 학부생 기숙사에서 공동사감을 맡아 학생들의 보충수업을 지도해주기도 했다.
"두 번째 기회가 있다는 것은 학생과 교수 모두에게 매우 좋은 일이다. 이는 인생의 메시지와도 같다. 특히 과학은 단번에 뭔가가 이루어지는 학문이 아니다. 과학은 돈을 세고 계산하면 끝나는 것처럼 단발적인 일이 아니다. 과학에선느 99개를 틀리더라도 한 개를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원칙은 학생들이 앞으로 인생을 살아가는 데에도 적잖은 교훈을 줄 것이다."
---------------------------------------------------------------------------------
허슈바흐 박사는 1986년 노벨화학상 수장자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분도 한국에서 이렇게 가르친다면 우리 교육부는 경쟁을 유도하지 않았다고 징계할 지도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