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건축가 안도 다다오 - 한줄기 희망의 빛으로 세상을 지어라
안도 다다오 지음, 이규원 옮김, 김광현 감수 / 안그라픽스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의 터를 산다는 것은 때로 힘든 일일 수가 있다.
나에게 설계를 맡긴 이상
당신도 완강하게 살아 내겠다는 각오를 해 주기 바란다.

- 안도 다다오 <나, 건축가 안도 다다오> 중에서
 
   



프로복서 출신에서, 독학으로 세계적인 건축가가 되기까지.
오사카 출신의 건축가 안도 다다오의 자서전 형식의 글이다.
자서전임에도 불구하고 
신파는 적고, 건축과 삶을 관통하는 다다오의 정신은 강력하다.

안도 다다오의 글을 읽다보면 건축이라는 것을 
'미(美)'혹은 실용의 관점에서만 이해하고 보려했던 시각을 버리고,
어느 새 건축의 정신, 짓는 사람의 마음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된다.

정규대학도 졸업하지 않고, 제대로된 건축 수업을 받은 적 없던
이 사람이, 자신의 분야를 일군 힘은
'강인함'이었고, '비타협'이었으며
자연과 주거공간에 대한 자신의 철학에 대한 강한 신념이었다.  

   
 

건축주의 요망대로 그저 기능만을 충족시키려고 들면 따분한 짓밖에 짓지 못한다. 
예산 제약은 어쩔 수 없다 해도 그 밖의 사항에서는 안이하게 타협하려고 하지 않았다.
건축주와 다투더라도 상대가 진저리를 내며 체념할 때까지 내 고집을 밀고 나갔다.
현장 시공 팀에 대해서도 시공 결과가 나쁘면 멱살을 잡아서라도 재시공을 요구했다. 

 
   

그가 처음 설계를 맡은 것은 폭 3.6미터에 불과한 대지의 주택이었다.
하지만 집이 완성이 됐을 때 사람들로부터 온갖 비난에 가까운 비평을 받았다.
이제는 그의 트레이드마크이자, 모던건축의 대표 스타일이 된 콘크리트 건물이
그때만 해도 매우 낯설고 비호감이었다. 

게다가 거리를 향해 창도 없이 콘크리트 벽을 드러낸 집이라니.
좁은 집 안에 중정을 내어, 집 내부에서 우산을 써야할 정도로 합리적인 동선을 무너뜨린 집이라니.

그러나 이런 의문과 비난에 대한 그의 답변은
비평가 뿐 아니라 그 집에서 살아야 하는 건축주 부부까지 충분히 설득하고도 남는다.

   
  문제는 이 장소에서 생활하는데 정말로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주거란 무엇인가 하는 사상의 문제였다.
이에 대하여 나는 자연의 일부로 존재하는 생활이야말로 주거의 본질이라는 답을 내놓았다. 제한된 대지이기 때문에 냉혹함과 따뜻함을 두루 가진 자연의 변화를 최대한 획득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최우선시하고 무난한 편리함을 희생시켰다.
 
   

이런 식으로 안도 다다오는 차근차근 몸으로, 정신으로 편견과 상식을 깨부수어 나간다.
그렇게 탄생한 그의 건축물은 외형이 독특할 뿐 아니라,
그 장소에 깃든 정신까지도 표현하고 있어
사는 이들은 조금 불편할 지언정(;;;) 보는 이들로 하여금 고개를 끄덕이게 하고
탄복케 하는 매력이 있다. 

이 책은 문장과 글에서, 안도 다다오의 강인함이 살아있다.
오랫동안 생각이 나고, 되새겨지는 맛도 있다.
그가 지은 건축이 그러하듯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