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령의 말 - 나를 향해 쓴 글이 당신을 움직이기를 이어령의 말 1
이어령 지음 / 세계사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종이가 아니라 잔디밭 위에 쓴 일행시(一行詩)"
88서울올림픽 개막식 굴렁쇠 퍼포먼스를 본 김태형 시인의 표현이다.

정적을 알리는 '삐이~' 소리와 함께 한 소년이 나타나 굴렁쇠를 굴리며 운동장을 가로질러 갔다. 딱 1분 동안 펼쳐진 행위예술이라 할만한 장면이었다. 굴렁쇠는 올림픽 마크의 원과 서양의 직선과 대비되는 동양의 원형적 사고를, 소년은 전쟁 고아라는 한국 이미지를 바꾸는 역할을 그리고 한국 전통의 여백의 미까지 많은 철학을 굴렁쇠 소년 퍼포먼스에 담았다. 아직도 내 머릿속에 또렷하게 남아있다.

이어령 선생만이 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획이었다. 서울올림픽 개막과 폐막식 총괄 기획을 맡은 이어령은 주변의 반대에 부딪혔지만 밀어붙였다. 굴렁쇠 소년을 잡는 카메라 워킹까지 세심하게 주문했다고 한다. 문학하는 사람이 88서울 올림픽에 참여했다는 논란에 이어령 선생이 한마디 남겼다.

"원고지에 쓰던 것을 잠실 주경기장으로 옮긴 것일 뿐이다."


이어령 어록집 1권 <이어령의 말>은 그가 원고지에 쓴 깊이와 넓이가 함축된 일행시를 우리 삶에 옮겨놓는 책이다.

'남을 비방한다는 것은 그가 자기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고백하는 일과 다름없다. 왜냐하면 인간들은 거지를 동정하지, 비방하지는 않는다. (p. 30 비방)'

비방하려는 마음을 저 깊은 곳에 묻어두게 하는 회초리 같은 이어령 선생의 글이다. 따지고 보면 못난 자신을 감추려는 의도가 다분한 행동이 비방이다. 타인을 인정하는 것이 이리 어렵다. 비교하지 않으면 될 것을, 내가 잘하는 것을 보면 되는데 이것도 힘겹다.

'나의 서재에는 수천수만 권의 책이 꽂혀 있다. 그러나 언제나 나에게 있어 진짜 책은 딱 한 권이다. 이 한 권의 책, 원형의 책, 영원히 다 읽지 못하는 책, 그것이 나의 어머니다. 그것은 비유로서의 책이 아니다. 실제로 활자가 찍히고 손에 들어 펴볼 수도 있고 읽고 나면 책꽂이에 꽂아둘 수도 있는 그런 책이다. (p. 46 어머니)'

아무 생각 없이 먼 곳을 쳐다볼 때 어머님이 먼저 떠오른다. 이런 분이셨지. 어떤 분이셨지? 두 개의 생각이 겹치는 존재, 어머니다. 그래서 자주 생각한다. 어머니가 '한 권의 책, 영원히 다 읽지 못하는 책'이라니, 이보다 어머니를 잘 표현할 수 있을까? 이제부터 책장을 스르륵 넘기며 한곳에 머무르고 또 넘기다 멈추며 그렇게 어머님 생각을 책 펼쳐보듯 하게 될 것 같다.

'한국 종소리의 여운을 보세요. 한번 울린 그 소리는 헤어지기 싫어서 흐느끼듯이 길게 길게 꼬리를 남기고 사라져 갑니다. 떠나는 사람이 한 걸음 가다가는 뒤돌아보고 또 뒤돌아보는 것과 같습니다. (p. 295 종소리)'

종소리가 사랑하는 사람 모습으로 변해 흐느끼며 아쉬움이 묻어나는 뒷모습을 보여준 채 떠나가는 것 같지 않은가. 종소리를 이렇게 아름답게 그려 우리에게 보여줄 사람이 또 있을까?


이어령, '진정한 우리들의 스승, 이 시대의 참 지성인', 이런 수식어가 참 잘 어울리는 분이다. 그의 글을 읽다 보면 어느새 밑줄을 긋게 된다. 그 순간 생각지도 못했던 내 모습이 나타난다. 내 삶에서 밑줄을 그어야 할 그 모습 말이다.

'아인슈타인은 '죽음이란 무엇인가'라는 기자의 물음에 "더 이상 아름다운 모차르트의 음악을 들을 수 없게 되는 것"이라고 답했다. 나에게 누군가 똑같은 질문을 한다면 나는 "더 이상 아름다운 한국말로 글을 쓸 수 없게 되는 것"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p. 165 한국말)'

이제 그가 쓴, 아름다운 한국말로 쓴 글을 읽을 수 없게 됐다. 하지만 다행인 건 그가 만들어 놓은 그의 언어들이 많이 남아있다. 어록이 되어 내게 건네질 그가 쓴, 자신을 향해 쓴 글이 나를 움직이게 하니... 천만다행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