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막걸리에 사이다 살짝
장경자 지음 / 책마음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해 십이월 아버님이 소천하신지 1년 만에 두 누님과 고향을 찾았다. 밥을 먹으며 나이 든 누님들 모습을 보며 얼떨결에 제안했다. 세 사람 생일날 모이자고. 생일 축하금을 보내면 생일인 사람이 만날 곳을 정해 밥을 사고 커피도 사고 수다 떨기로.

며칠 전 작은 누님의 생일이었다. 그때 수다 떤 이야기들을 <인생은 막걸리에 사이다 살짝>에서 다시 만났다.
'나만 그런 줄 알았는데 누나도?'
'그래 맞아 (이심전심? 동상이몽!)
'부모들 마음은 다 똑같네~'
'그거 오지랖이야~'


'투박한 내 글이_ 마음을 쓰다듬는 반푼어치의_ 위로라도 되기를... (프롤로그)'

깔깔대며 웃다가 눈물을 글썽이고... 서로의 마음을 쓰다듬어주고 위로하고... 큰 누님 생일, 내 생일에 만나 나눴던 이야기는 엊그제도 이어졌다.


'사춘기를 겪어본 부모는_ 자식의 질풍노도가 이해되지만_ 갱년기를 겪어보지 못한 자식에겐_ 이해하려 해도 받아들여지지 않는_ 조증과 울증을 넘나들며 (p. 32, 33, 어찌 알겠누...)'

아내가 요즘 요양원에 계신 장모님 때문에 갱년기를 더 심하게 겪고 있다는 내 말을 시작으로 두 누님의 갱년기 극복 배틀이 펼쳐진다.
"아내만 그런 줄 알았는데 누나들도 갱년기를 심하게 겪었구나? 난 아내의 갱년기에 겨를이 없어 내 갱년기는 꺼내 보지도 못했거든~"
"ㅎㅎ 너도 갱년기가 있니? 남자도 있는 줄은 몰랐다~ 얘~"


'그동안 살아온 삶을 부정한_ 피검사의 살벌한 결과에 형은_ (...) 한 달 동안의 금주와 아침, 저녁 스쿼드 100개를 선언했다. (p. 83, 빨간불이 떴다!!)

스콧 니어링이 백 살에 스스로 곡기를 끊고 생을 마감했다는 말과 함께 몇 살까지 살았으면 좋겠는지 물었다.
"여든다섯?"
"언니 그건 너무 이르지"
"근데 그 사람은 왜 곡기를 끊었대?"
"이렇게 사는 건 삶이 아니지 않을까라는 생각 때문일 거야. 그리고 그 정도면 충분히 살았다고 생각하지 않았을까?"
건강하지 않다면, 그래서 자식들에게 누를 끼칠 정도라면 그때는 죽어야 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우리 셋의 이심전심이었다.
"조금이라도 건강하게 살려고 매일 아침, 스트레칭에 홈트를 1시간 30분 동안 한지 몇 년 됐어"
"그래 그래야지. 너 대단하다~ 야~"


'엄마!!!!_ 냄비를 맨손으로 집어 식탁에 올리는 나에게_ 딸이 눈을 하얗게 흘긴다_ (...) 내가 그렇게 이해 못 했던 친정엄마의 모습을_ 닮아간다_ 이젠 목소리도 행동도 닮아있다_ .......내 딸이 걱정이네_ 참나 (p. 184, 185, 그렇게 닮아 간다)'

"시집간 딸이 나은 손녀를 처음 안아본 친정아버지가 딸아이가 다시 얘기가 돼서 온 것 같다고 말했데."
"아버지들은 그렇게 느끼는가 보네?"
손주 볼 기회를 포기하더라고 나는 딸아이가 시집가서 고생할 걸 생각하면 차라리 결혼 안 했으면 하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근데 왜 아들은 결혼했으면 하지?) 딸만 둘인 두 누님의 생각은 이미 결혼해서 아이가 둘씩 있는 딸들에게로 옮겨갔다.
"그래~ 결혼해서 고생하는 모습 보면 안쓰럽긴 해."
결혼한 딸아이 걱정이 여전한 누님들이다. 장경자 작가처럼 그 딸아이들이 자기를 닮는 건 아닌지... 그런 같은 걱정일지도 모르겠다.


'앞모습이 화려해 눈이 부셔도_ 누구에게나 그림자는 있다_ 누구에게나 고단한 흉터가 있기 마련이다_ 그게 인생이니까 (p. 218, 거기서 거기)'

어느덧 우리 세 남매는 각자의 삶이 바빠서 신경 쓰지 못했던 서로의 인생을 들여다 본다. 이제서야 참견하는 오지랖을 떤다. '그런 거 부러워할 거 없어', '그게 왜 니 잘못이니?', '이제부터라도 이왕이면 맛있는 거 먹어', '너 언제 그렇게 머리카락이 빠졌어? 서리태가 좋다는데'...


'고단한 삶에 별사탕 같은 당신의 순간들을_ 응원합니다. (...)
은근 기분 좋은 날들이 있기를_ 응원합니다. (...)
지금의 선택 또한 장하다고 말해주는 누군가 당신 옆에 있기를_ 응원합니다. (...)
당신의 마음이 누룩 같은 시간들로 잘 발효되기를_ 응원합니다. (에필로그)

이렇게 우리는 일 년에 세 번이라도 만나 서로 응원해 주기로 마음먹은 걸 잘한 일이라고 자화자찬하며 헤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