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생 처음 세계사 수업 - 메소포타미아 문명부터 브렉시트까지, 하룻밤에 읽는 교양 세계사 ㅣ 인생 처음 시리즈 2
톰 헤드 지음, 이선주 옮김 / 현대지성 / 2024년 6월
평점 :
'그레이트 짐바브웨는 12세기부터 15세기 사이 전성기에 주민이 1만 8,000명에 달하는 대도시였습니다. 금 채굴과 무역이 주요 산업이었고, 4,000곳 이상의 금광에서 54만 킬로그램 이상의 금을 캐낸 것으로 추정됩니다. 전 세계에서 수 세기에 걸쳐 채굴한 금 공급량의 40퍼센트 정도를 차지하는 어마어마한 양입니다. (p. 173)'
1871년 서양 고고학자들이 그레이트 짐바브웨를 발견했지만 외지인들이 만든 유적일거라 믿었다. 60년이 지난 1929년에야 비로소 아프리카 원주민이 만든 유적임을 인정한다. 그래도 참 이상한 일은 대도시 그레이트 짐바브웨가 금이 풍부했다는 사실 외에 알려진 것이 없다.
아프리카 원주민들은 미개하다는 생각으로 머릿속을 꽉 채운 유럽인들이 원주민의 유적이라고 인정하고 싶지 않은 오만함도 그 이유 가운데 하나이지만 또 다른 이유도 있다. 오랜 시간 침략자들도 없었고 독자적으로 문명을 유지한 이들은 역사를 글로 기록한 필요가 없었다. 입으로 전해지는 이야기만으로 충분했다.
반면 바빌론의 포로였던 유대인들은 성경을 기록으로 남겨 이들의 역사는 누구나 다 안다. 글로 기록된 역사와 그렇지 않은 역사의 차이다.
기록이 너무 많아 수수께끼로 남은 아이러니한 역사도 있다. .
'고대 인도는 세계에서 가장 글을 잘 읽고 쓸 줄 아는 사회였습니다. 압도적으로 폭넓고 복잡한 문헌들을 남겼습니다. (p. 131)'
인도 역사 서사시 '마하바라타'는 무려 180만 단어에 달한다고 한다. 성경이 77만 5,000단어 임을 감안하면 어마어마하다. 하지만 이 '마하바라타'조차 인도 역사의 극히 일부분일 뿐이다. 폭넓고 복잡하다 못해 문헌이 넘쳐서 인도의 역사를 쉽게 설명하기 어렵다.
미국의 역사 스토리텔러 톰 헤드의 <인생 처음 세계사 수업>는 인류의 등장부터 현재까지 6,000년에 걸친 역사를 고대, 중세, 근대, 현대로 나누어 그 시기와 장소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과 인물을 중심으로 다룬다.
"역사를 이야기 형태로 배운다면 결코 잊어버리지 않을 것이다." - 러디어드 키플링(<정글북> 저자)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인더스 등 고대 문명이 어떻게 발전했는지, 인도 굽타 왕국, 마야 문명, 이슬람교, 개신교와 같은 다채로운 문화와 종교의 탄생 이야기, 프랑스 혁명, 두 차례의 세계대전과 냉전시대까지 저자는 역사를 '이야기'로 들려준다. 세계사의 얼개를 잡을 수 있는 책이다.
세계 어느 나라와도 부쩍 가까워진 시대다. 또 요즘은 어느 나라 사람이든 우리 곁에 있어 쉽게 만날 수 있다. 그들의 역사를 아는 건 동네 이웃집 사정을 아는 것과 마찬가지인 세상이 됐다. 국제 이슈가 우리의 이슈이기도 하다. 세계사를 알아야 하는 이유다.
세계사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고민을 해결해 주기도 한다. 경종을 울려주기도 하고.
'빌헬름 1세를 황제로 추대하고 독일을 통일했던 비스마르크는 지도자가 어떻게 힘을 얻을 수 있는지 잘 보여줍니다. 반면 빌헬름 2세는 전쟁으로 어떻게 권력을 빼앗길 수 있는지를 보여주지요. 바이마르 공화국의 몰락과 연이어 권력을 잡은 나치는 나라의 전망이 뚜렷하지 않을 때 기존 체제를 약화시키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여실히 보여줍니다. (p. 236, 237)'
지금 우리에게 때마침 울려주는 경종이란 생각이 들었던 독일 역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