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에 간 클래식 - 나는 클래식을 들으러 미술관에 간다 일상과 예술의 지평선 4
박소현 지음 / 믹스커피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유럽 여행 중 당연히 벨베데레 궁전에 갔었고, 100년이 넘도록 한 번도 이곳을 벗어나지 않았다던 클림트의 대표작 <키스>를 감상했다.

'남자는 여자의 뺨에 키스하고 여자는 황홀한 듯 눈을 감은 채 볼에 붉은 홍조를 띠고 있다. 꽃으로 뒤덮인 절벽 끝에서 무릎을 꿇은 채 남자의 정열적인 키스를 받는 여자는 행복해 보이지만 불안해 보인다. 사랑의 본질을 꿰뚫듯 가장 빛나는 순간에 깃든 불안을 이중적으로 묘사했다. 남녀가 입은 옷의 무늬도 각각 둥글고 직각으로 대조적으로 그려져 여성성과 남성성을 극대화했다. (p. 221, 222)'

클림트의 여성편력에 실망한 에밀리는 그를 떠나지만, 클림트의 계속된 애원에 그의 곁으로 다시 돌아온다. 에밀리는 그의 죽음을 지켰고 친자소송과 유산 문제까지 현명하게 해결함은 물론, 클림트 사후 명성에 해가 될만한 편지나 엽서들을 없애버린다.

클라라 슈만의 삶이 에밀리와 무척이나 닮았다. 슈만을 향한 사랑 때문에 자신의 재능을 포기한 클라라, 브람스의 구애도 모른척하고 슈만의 아내로 남아 자신의 생을 슈만이 남긴 작품을 널리 알리는데 모두 바쳤다. 클림트의 <키스>, 슈만이 작곡해 클라라에게 바친 <헌정>에서 우리가 읽게되는 러브스토리는 사랑하는 이를 위한 두 여인의 희생이다.


'"Trato de aplica colores como las palabras dan forma a los poemas, como las notas dan forma a la música (나는 단어가 시를 만들고 음표가 음악을 만들어내듯, 색을 입혀보려 한다)."
주안 미로가 남긴 말처럼 음악과 미술, 시 등 예술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영향을 주고받는다. 그 연결선을 찾아 나선 여정이 행복하고 풍요로웠다. (p. 7)'

바이올리니스트이자 비올리스트 박소연은 <미술관에 간 클래식>에 가장 사랑받는 서른 명의 화가와 음악가를 이어 그들의 작품 속에 숨겨진 흥미로운 스토리를 담아냈다.


아름다운 선율이 가득한 리하르트 바그너의 <탄호이저> 3막 2장, 죽음을 각오한 엘리자베트의 영혼이 구원받기를 바라는 아리아 '저녁별의 노래'와 오버랩되는 아리아는 정신병원 창문으로 별을 바라보면서 죽음에 이른 고흐의 아름답고 슬픈 작품 <별이 빛나는 밤>이다.


프리다 칼로의 <벌새와 가시 목걸이를 한 자화상>과 뒤 프레에게 헌정된 자크 오펜바흐의 <자클린의 눈물>은 어떻게 이어질까.

스물한 살의 천재 첼리스트 자클린 뒤 프레는 세계적인 지휘자이자 피아니스트 다니엘 바렌보임과 사랑에 빠져 결혼한다. 하지만 희귀병으로 근육이 마비된 뒤 프레는 스물여덟 살의 젊은 나이에 은퇴하며 투병생활을 한다. 그 와중에 외도한 남편 바렌보임으로부터 버림받기까지 한다.

'"평생 나는 2번의 대형 사고를 겪었는데, 첫 번째는 나를 부서뜨린 전차였고 두 번째는 바로 디에고다. 두 사고 중 디에고가 더 끔찍했다."라고 회고한 칼로의 기록이 남아 있듯, 그녀는 자신의 육체에 갇혀 겪는 고통보다 2번의 이혼과 재결합을 반복했던 디에고와의 애증을 더욱 고통스러워했다. (p. 260, 261)'

하반신 장애와 근육조차 움직이지 못하는 무서운 질병으로 육체에 갇힌 프리다 칼로와 뒤 프레. 이 둘에게 사랑하는 이들로부터 버림받는 고통이 더해졌다. 두 여인은 서로 마주 보며 그 모습을 듣고 본다.


각 챕터마다 QR을 찍어 저자가 들려주는 음악을 들으며, 서른 개의 작품이 서로 이어진 스토리를 읽는 책 <미술관에 간 클래식>, 눈과 귀가 즐거운 시간을 우리에게 선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