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상위 100%
김시훈 지음 / 덤보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표지 이야기부터 해볼까 한다.

우선 표지 이미지. 저자 김시훈의 작품 <이따 생각 9 (p. 31)>과 <이따 생각 15 (p. 255)> 엇갈리게 놓아 만든 이미지다. 김시훈의 범상치 않은 작품처럼 비범한 표지 이미지다.

표지의 책 제목 '전 세계 상위 100%'. 잘했다는 의미인 '상위', 만족스러운 '100', 희귀하고 드묾을 나타내는 %를 뭉뚱그려 저장된 이미지를 떠올린 게 실수였다. 게으른 뇌. 뭔가 놓쳤음을 김시훈의 글을 읽고 눈치챘다.

'"당신은 전 세계 상위 100% 안에 들었습니다. 축하합니다." (...)
오! 내가 이렇게 잘했나? 전 세계에서 상위 100%라니. 뭔가 애매한 면이 있었지만, 상위 몇 퍼센트 안에 들었다는 관용구는 주로 칭찬할 때 쓰이지 않는가. (...)
상위 100%가 어느 정도 수치의 의미인지 곱씹어 보았다. 답은 나왔다. 꼴등이라는 말이었다. (p. 62)'

책에 소개한 작품을 보는 순간, 확실한 개성을 가진 작가임을 단박에 알았다. 현대미술 작가 김시훈의 이야기 <전 세계 상위 100%>다. 우리가 흔히 '쓸데없는 생각'이라 여기는 이야기들이다.


두 달 전부터 저녁에 만 걸음 정도 걷는다. 강변을 따라 아내와 걷다 보면 건강을 유지하려고 자전거를 타거나 우리 부부처럼 걷는 많은 사람들을 만난다. 동네가 작다 보니 교회 사람들도 만나고, 같은 아파트에 사는 사람들도 만나고, 걷기 시작하면서부터 계속 마주치는 눈에 익은 사람들도 있다.

쓸데없는 생각은 여기서부터 시작된다. 아내와 두런두런 이야기하면서 걷기도 하지만 각자 생각하면서 걷는 시간이 대부분인데, 가끔 아내와 똑같이 쓸데없는 생각을 하곤 한다. 이를테면...

요 며칠 그 나이 드신 부부가 왜 안 보이지? 날이 일찍 어두워져 걷는 시간을 옮겼나?
저분은 어디까지 갔다 올까?
저 강아지는 왜 저렇게 걷지?
저분은 왜 항상 왼쪽으로 걸을까?
어? 왜 혼자 나오셨지? 싸우셨나? 어디 아프신가? 어디 가셨나?...


'우리는 놀랍게도 움직이면서 아무것도 안 하는 것을 '할 수' 있다. 나는 안 하는 것을 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해 항상 관심을 가지고 작업하고 있다. '끔'이라는 버튼을 '켬'으로써 끔을 켠다는 생각을 항상 견지하려 애쓰고 있다. (p. 2)'

김시훈 작가도 '쓸데없는 생각'을 한다. 그러나 내가 하는 생각과는 다르다. 엉뚱하고 기발하다. 그리고 공감하게 된다. 웃음 짓게 되고, 무료함에서 벗어나는 느낌, 과하게 보탠다면 카타르시스도 느낀다.

'SF 시' 장르는 왜 없을까?
왜 어떤 사람들은 겉멋을 추구하고 어떤 사람들은 겉멋을 추구하는 이들은 비난할까.
진정한 '검술 극의'의 경지는?
남을 의식에서 롱패딩을 사 입고, 남들 다 입어서 롱패딩을 사지 않는 사람 모두 '남의 눈치'를 본다고 점에서 서로 닮았고 가까운 존재가 아닐까?
자신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을까?......


남에게 '쓸데없는 생각하지 마라'라는 말을 건넨다면,
어? 어떻게 저런 생각을? 난 왜 그런 생각을 못 했지? 짜증 나네. 기가 막힌 생각인데? 분하다.
뭐 대충 이런 의미가 담긴 경우가 대부분이다.

앞서 김시훈 작가의 이야기를 '쓸데없는 생각'이라고 말한 건 내가 이런 생각을 했기 때문이다.
다양하고 자유로운 생각이 부러웠고, 쓸데없는 생각이라고 여기면서 공감하는 데 조금은 짜증도 나고, 게다가 글에 유머까지... 아내에게 작가의 글을 말로 옮겨 보니 웃지 않았다. 분하다. 글의 맛을 전달하는데 실패했으니 말이다.

김시훈처럼 '쓸데없는 생각'을 따라 하면 일상의 무료함을 은근히 웃음 지으며 찬란한 일상으로 바꿀 수도 있겠다. 통찰? 아니 그보다는 작은 개념, 소소한 즐거움을 가질 수도 있겠다. 그리고 김시훈의 바람대로 벌러덩 누워 김시훈을 생각을 읽고는 피식 웃고 곁에 밀어두고는 나의 쓸데없는 생각을 하며 생각멍을 때릴 수도 있겠다...는 쓸데없는 생각을 해본다.

'책을 읽을 때 글쓴이로서 한 가지 추천해 드리고 싶은 방식이 있다. 한 번에 다 읽기보다는, 아무것도 안 하고 누워있을 때 가끔 이 책을 꺼내서 눈길이 가는 제목의 절을 찾아 읽다가 한 번씩 피식하고 웃곤 책을 다시 책장에 꽂아놓는 것이다. 그리고 생각날 때 또 책장에서 꺼내 읽는다. 마치 냉장고에 넣어 둔 음식을 꺼내 먹듯이. (p. 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