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간, 비즈니스를 바꾸다 - 경험을 설계하고 트렌드를 만드는 공간의 힘
정희선 지음 / 미래의창 / 2022년 8월
평점 :
우리가 최근에 겪고 있는 팬데믹은 당황스러울 정도로 달라진 풍경을 우리 앞에 펼쳐놓았다. 그중에 절대 빼놓을 수 없는 하나는 공간이다. 팬데믹이 가져온 가장 큰 변화, 공간. 정희선의 <공간, 비즈니스를 바꾸다>는 공간에서 일어나는 변화에 관한 이야기다.
'인류가 지금껏 경험해 본 적 없는 팬데믹 시대, 공간은 가장 주목해야 할 요소 중 하나다. 오늘날, 무엇보다 빠른 속도로 공간에 대한 정의가 바뀌고, 공간의 경계가 해체되며, 공간을 활용하는 방법이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p. 5)'
공간의 변화는 일하는 공간에서 시작됐다. 재택근무와 오피스 근무를 믹스한 하이브리드형 근무 방식을 채택하는 기업이 늘고, 미술관이나 열차가 업무공간으로 변신하는 등 업무 공간을 둘러싼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가 탄생할 조짐이 보인다.
집에서 일하게 되면서 많은 활동이 집에서 이뤄지게 됐다. 집은 주거하는 곳이라는 고정관념이 깨졌다. 집안에 업무공간과 취미공간을 마련하려는 수요를 겨냥한, 집에 대한 그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비즈니스도 나타난다. 미래에는 집 밖에서 하던 활동들이 집 안으로 들어오면서 집은 쉬는 공간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생활 플랫폼으로 인식된다.
온라인 쇼핑의 확산은 오프라인 공간의 위기로 이어져 상업공간의 새로운 생존 전략이 필요해졌다. 공유 오피스, 물류센터로 사용되고, 업무 공간의 분산에 따라 리테일 매장도 분산하는 방법을 검토해야 한다. '이동', '분산', '무인', 이 세 가지 키워드가 조합된 이동형 매장이 미래의 리테일의 대안이 될 것이다.
미래의 업무, 주거, 상업 공간의 모습은?
미래의 공간은 주거, 업무, 여가가 혼재된 유연성이 필수다. 물리적 접촉에 의한 바이러스와 같은 불안이 없는, 편안한 쉼이 있는 안심이 보장된 공간이 중요한 가치로 떠오를 것이다. 기업이 원하는 공간은 단순 판매하는 곳이 아니라 소비자의 행동 분석한 데이터를 얻는 스마트 공간이다.
저자는 이 책 전체를 관통하는 하나의 키워드로 '분산'을 꼽는다.
'일하는 공간이 분산되면서 주거지가 분산되고, 이에 따라 상업 시설 또한 작아지고 분산되고 있다. 그리고 분산된 개인 한 명 한 명을 중심으로 작은 경제권이 만들어진다. 결국은 공간이 아닌 '사람'을 중심으로 많은 활동이 수렴하는 트렌드가 지속될 것이다. (p. 311)'
공간의 역할이 바뀌면 우리의 라이프스타일이 바뀌고, 소비하는 장소가 달라지면서 시장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변화에 주목하고 변화를 파악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인사이트를 얻어 미래를 상상해야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부의 전환이 변화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