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중 머니 커넥션 - 마지막 남은 성공투자의 나라 북한에 파고드는 중국의 치밀한 전략
이벌찬 지음 / 책들의정원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권에 따라 이 둘 사이의 관계는 쉽게 변해왔다. 한국전쟁은 이 두 국가의 분단을 견고히 했고, 역사적으로 둘을 서로를 견제해 왔다. 분단 이전까지 같은 언어를 쓰며 살아가는 한민족으로서 이 둘의 분단은 우리 민족이 원하는 모습이 아니었다. 서구 열강과 소수의 지배층의 욕심은 우리 민족의 의지에 반해 작동됐다. 북한은 가까워도 찾아가지 못하는 그림의 떡 같은 존재다. 생눈을 뜨고 가족과 이별했지만, 정치적 분립은 이 만남조차 허용하지 않는다. 우리의 분리를 이끌었던 서구의 이념 대립은 북한과 남한을 보루로 잡고 있는 듯하다. 냉전 시기가 끝나고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면서 독일은 통일이 됐지만, 우리의 분단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북중 머니 커넥션은 내가 지금껏 알고 있었던 북한에 대한 지식의 장을 확장시켜줬다. 교과서에선 북한을 수치와 이념 대립의 역사에서 조금 다룰 뿐이다. 그들이 어떻게 살아가고 어떤 정책을 쓰며 대외관계는 어떠한지 등 구체적인 이야기는 배우기 힘들다. 그저 파편적인 정보들과 언론에서 다루는 북한의 이미지를 결합해 내가 갖고 있는 생각과 지식을 채워왔다. 요즘 언론에서 북한의 탈핵화 결렬, 미사일 실험, 국제사회의 북한 폐쇄정책 등을 자주 듣는다. 언론의 이미지만 보면 우리는 개처럼 북한에게 무언가를 퍼주고, 북한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자기가 갈 길을 걷는 것이다. 북한의 변함없는 태도는 우리 정부의 무능력을 입증하는 것처럼 보인다. 맥락 없이 수용되는 정보는 불완전할 수밖에 없고, 잘못된 해석으로 이어지기 쉽다. 하지만 이 책은 내가 알고 있던 파편적 정보들 사이를 연결해 준다. 왜 북한이 이런 태도를 고수하는지, 서구 열강의 폐쇄 정책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살아남을 수 있는지. 우리가 북한에게 어떠한 태도를 취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맥락을 배울 수 있다. 단순히 사료와 수치만으로 이 사실들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북한과 중국을 오고 가며 경제 활동을 하는 북한인과 중국인들의 입에서 나온 생생한 이야기를 통해 얻어진 것들이다. 언론에서만 이야기하는 파편적인 정보에 함몰되지 않고, 대북 관계/ 통일에 대한 자신만의 생각을 정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다. 어렵지 않은 언어로 쓰여 있지만, 우리가 지금껏 한 번도 해보지 못한 생각들이 가득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