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그림자 - 무의식의 신학
신은희 지음 /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종교의 세계는 접하기 힘들다. 종교 안에서 종교를 말하는 사람들은 많이 보지만, 종교 밖에서 종교를 이야기하는 사람을 만나기는 쉽지 않다. 종교라는 테두리 안에 들어가야 종교를 알아갈 수 있다. 나 역시 종교가 없기 때문에, 종교의 이야기를 들을 기회가 드물다. 하지만 오랜 역사 동안 우리의 삶과 불가분 한 종교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다. 왜 종교를 사람들이 가질까? 과연 종교에서 말하는 신은 존재할까? 오랫동안 종교가 유지된 비결을 무엇일까? 등 종교 밖의 이야기가 궁금했다. 이 책은 종교에서 한 발짝 물러나 바라본 종교의 세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종교학의 관점에서 종교의 역할, 기능, 역사 등 종교의 메타인지적 부분을 들으며 새로운 세계를 만날 수 있다.



첫 장은 <기억, 꿈, 사상>으로 익숙한 심리학의 대가 카를 융의 이야기다. 카를 융은 무의식의 세계를 학문의 영역으로 끌어올린 장본인이다. 그는 꿈에서 만난 자신의 무의식을 바탕으로, 인간이 지닌 무의식의 세계를 해석하려 한다. 일상에선 알아차리기 힘든 무의식의 세계는 꿈에서 드러나기 시작한다. 무의식은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의식과 연결돼 우리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가 의식과 무의식을 나누려 하지만, 이 둘은 나눌 수 없는 그 자체로 우리를 이루는 것들이다.



카를 융의 사상은 헤르만 헤세의 소설들과 닮아 있다. 이는 헤르만 헤세가 병상에 있을 때, 카를 융의 제자에게 치료를 받으며 영향을 받은 결과라 할 수 있다. 또 내가 그를 좋아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헤세와 카를 융은 분리된 세상에 사는 사람들에게 깨달음을 준다. 우리가 아무리 세상을 분리해서 바라보고 살아봤자 세상은 하나로 통한다. 이 단순한 사실을 우리는 끔찍하게 받아들이기 힘들어한다. 우리는 왜 분리된 삶에 익숙해진 것일까? 나와 다른 것은 왜 배척하게 됐을까? 첫 장은 이러한 카를 융의 가르침을 다룬다. 내가 마음에 새기고 싶은 새겨야 할 목소리가 많다. 일상에서 이 목소리를 잊지 않고 살아가고 싶다.





그대가 정반대의 원칙을 수용할 때, 그대는 비로소 온전함을 느끼기 시작한다. 그 이유는 두 가지 원칙이 합쳐서 온전한 하나를 이루기 때문이다. 그 두 가지 원칙은 원래부터 하나의 뿌리에서 자란다.



생명의 길은 뱀처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사고에서 쾌락으로, 쾌락에서 사고로 뒤틀며 이어진다. 그래서 뱀은 항상 우리에게 적수이고 적의 상징이지만, 동시에 갈망을 통해 오른쪽과 왼쪽을 연결하는 지혜의 다리가 되기도 한다. 뱀은 우리의 생명에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균형을 지키는 것은 옳은 일이고, 균형을 깨뜨리는 것은 옳은 일이 아니다. 그러나 균형이 성취된 경우에는 그 균형을 지키는 것이 옳지 않고, 그 균형을 깨뜨리는 것이 옳은 일이다. 균형은 생명인 동시에 죽음이다. 생명의 완성을 위해서는 죽음과의 균형이 필요하다. 내가 죽음을 받아들인다면 나의 나무는 울창해질 것이다. 죽음의 생명력은 높기 때문이다. 만일 내가 이 세상을 둘러싸고 있는 죽음으로부터 떨어진다면 나의 싹이 피어날 것이다. 그러니 우리의 생명을 얼마나 많은 죽음을 필요로 하는가.









카를 융의 무의식은 이 책에서 나타나는 종교 의식, 행위, 전통에 대한 밑바탕이 된다. 작가는 카를 융의 사상을 렌즈 삼아 이것들을 바라보고 해석하고 있다. 이 책은 샤머니즘, 원주민의 태양의 춤, 기독교의 종교 박해, 죽음의 신학 등 생소하지만 재미있는 주제들을 많이 다루고 있다. 하지만 모두 무의식의 세계가 주를 이뤄 내가 경험하지 못한 것들에 대해선 공감과 이해가 힘들었다. 사실 공감은커녕 이해도 못 한 부분이 많다. 그러나 기독교와 원주민의 종교를 다룬 이야기는 잘못된 역사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을 준다.



파워스의 신학적 진단은 믿음과 참여의 분리 입장으로 요약된다. 파워스는 두 개의 종교는 믿음에 관해서는 상호 소통할 수 없음을 강조한다. 블랙 엘크의 생존 신학은 사회 경제적 필요를 충족하기 위한 의식적인 종교적 전략이다. 지배 문화의 환경에 의해 기독교를 선택했지만 원주민은 엄밀한 의미에서 기독교인이라고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인간은 두개 이상의 종교를 어떤 필요에 의해 참여할 수는 있지만, 이를 믿음과 직결시킬 수 없다고 주장함으로써 원주민의 기독교 신앙과 토착 신학의 가능성을 비판적으로 접근한다.


기독교는 연대와 포용과 거리가 먼 역사를 지니고 있다. 특히 제3세계에 기독교를 전파는 폭력과 배척의 문화였다. 기독교를 중심으로 다른 종교는 인정하지 않고 배척한다. 이 책에서 나온 원주민들의 종교는 기독교 전통 때문에 불법적인 이단의 문화로 전락해버렸다. 그들의 전통은 존중하지 않은 채 기독교는 오로지 그들이 믿는 신만을 유일신으로 설정해 폭력을 가한 것이다. 현재 우리가 바라보는 기독교의 모습도 이와 다르지 않다. 그들은 유일신 하나님을 믿는다는 명목으로, 그분의 가르침을 무시한 채 다른 종교와 사상을 지닌 자들을 배척한다. 하나님의 뜻이라는 명목 아래, 그들과 다른 사람들에겐 폭력을 가하는 것이다. 연대와 사랑을 실천해야 할 종교가 이런 방향으로 나아가도 되는 것일까? 기독교는 이러한 행태에서 벗어나 연대를 실천해야 한다.



원주민들의 생존 전략은 일본이 가했던 식민 정책을 떠올린다. 일본을 기독교로 대치하면 그들이 약자에게 가한 만행을 이해할 수 있다. 원주민들은 생존하기 위해 두 가지 종교 전통 아래에 살아간다. 마음은 그들의 토착 종교를 믿지만, 의식과 기도는 기독교의 전당에서 행한다. 생존을 위해서 마음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는 살아가는 것이다. 일제시대 우리의 조상들이 살아야 했을 삶 역시 이와 다르지 않다. 살기 위해선, 그들의 눈밖에 나면 안 된다. 자신의 의지, 양심에 반하더라도 생존을 위해선 이를 감췄어야만 했다. 엊그제가 3.1절이었다. 이 날은 폭력에 맞서, 약자들이 목소리를 낼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대단한 사건인지 보여준 날이다.



신의 그림자는 무의식, 종교의 세계에 대해 분석적 논의가 가능하다는 걸 보여준 책이라 생각한다. 주관적인 감정, 존재 가능 여부를 모르는 존재에 대한 학자의 생각을 들으며 내 나름의 생각을 할 수 있었다. 아직 종교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많은 것을 받아들이진 못했지만, 재미있는 인문학 책 한 권 읽었다는 심정으로 책을 읽었다. 이 책이 나중에 종교에 관한 책을 읽을 때 좋은 밑바탕이 될 거라 생각한다.



호모 엠파티쿠스는 호모 렐리기우스의 의미를 포함한다. 종교적 인간은 곧 만물과 공감하는 인간이기도 하다. 호모 엠파티쿠스는 인간 본성의 공감적 능력과 특성을 종교적 틀이나 교리로 제한하지 않는다. 그것은 더욱 확장되고 포괄적인 우주적 영성 세계와의 공명으로 자아 변화와 사회변혁의 힘을 지닌 공감적 인간상을 의미한다.



공감의 공공영성은 인간을 속박하고 타인을 억압하는 자기중심성을 억제하는 관용의 미덕을 배양시킨다. 또한 자신의 경험을 기초로 타인의 경험을 내재화하고 주체의 확장을 통해 타인을 수용하며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는 치유의 윤리적 덕성을 갖게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간은 내면의 무한성을 신성으로 승황해 나가는 신성화의 과정을 경험한다. 이는 상호 긴밀하게 연결된 공감의 그물망으로 인간.사회.자연의 관계를 유기적 통합 사회로 완성해 나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