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84 ㅣ 열림원 세계문학 7
조지 오웰 지음, 이수영 옮김 / 열림원 / 2025년 4월
평점 :
조지 오웰의 『1984』는 디스토피아 소설로 유명하다. 작가 자신도 이 소설은 정치적 소설이라고 했다. 당시 비평가는 이 작품을 소련의 전체주의를 비판하면서 미래에 대해 예언한 소설이라고 평하기도 했다.
『1984』는 1946년 집필을 시작해 1948년에 완성되었다. 작가가 이 책의 배경이 되는 해를 1984년으로 정한 것은 이 작품을 1948년에 완성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내용은 '빅 브라더'라는 인물의 독재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텔레스크린이라는 장치를 이용해 사람들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당하는 사회의 사람들 이야기다. 사상경찰이 항상 감시하고 있는 텔레스크린은 수신과 송신이 가능한 장치로 집안에까지 설치되어 있으며, 끌 수 없다.
거대한 지배체제하에서 주인공 윈스턴 스미스는 '빅 브라더 타도'를 생각하며 저항을 꿈꾸지만, 결국 체제의 벽을 넘지 못한 채 파멸에 이른다.
윈스턴 스미스는 '빅 브라더' 체제하에서 불필요한 과거를 삭제하는 일을 한다. 누군가에 의해 갱신되는 과거, 모든 역사는 깨끗이 긁어내고 다시 새겨진다. 모든 기록이 같은 말을 한다면, 그 거짓말은 역사로 전해지고 진실이 된다.
"과거를 통제하는 자가 미래를 지배하며, 현재를 지배하는 자가 과거를 통제한다"는 것이 당의 표어였다. p.55
[서평] 『1984』 - 조지 오웰, 열림원
어제 있었던 일은 없던 일이 되고, 누군가가 살았던 기록은 순식간에 삭제된다. 윈스턴 스미스는 자신이 하는 일에 회의가 들고, 세상의 일에 의문이 들며 생각을 하게 된다. 그리고 자신의 생각을 기록으로 남기고 싶어 한다. 비판적 사고를 하는 순간 죽음에 이를 것을 알지만, 윈스턴 스미스는 끝까지 가보기로 한다.
이 세 집단의 목표는 결코 양립할 수 없다. 상층의 목표는 자신들의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다. 중간층의 목표는 상층의 자리를 차지하는 것이다. 하층은 늘 변함없는 고된 일상에 치여 그 밖의 문제에 대해서는 일시적인 관심 이상을 가지기 힘든 특성이 있긴하지만, 만일 하층민에게 목표가 있다면, 그것은 모든 차별을 폐지하고 모든 사람이 평등한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p.282
[서평] 『1984』 - 조지 오웰, 열림원
윈스턴은 상층, 중간층, 하층의 단계가 있음을 알았고, 미래에 대한 희망은 하층 계급인 '무산'에게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무산'은 자각을 하지 전에는 저항을 하지 않을 것이고, 저항을 시작하기 전에는 자각을 하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며 답답해했다.
형제단에서 혁명을 꿈꾸었지만, 결국 형제단을 움직이는 것도 '빅 브라더'체제의 당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권력이란 속성 속에서 인간이 얼마나 하찮은 존재일 수 있는지…, 비참함 속에서도 인간은 어디까지 생각할 수 있는지…, 이 책을 읽으며 나는 이 두 가지 생각에 꽂혔다.
그런데 마지막 옮긴이의 말을 통해 이 소설이 나왔을 때는 cctv도 없었고, 사회주의의 끝을 가보지도 못했던 시기였다는 걸 알 수 있었다. 그런 시대에 이런 소설을 쓸 수 있었다니…. 이 책에 왜 고전이 되었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복도 가운데에는 백남준 작가의 텔레비전과 위성을 이용한 작품이 전시되어 있었다. 그게 무엇을 말하고 있었는지 몰랐었는데, 이 책을 읽고 알게 되었다. 현실 세계에서 1984년이 되자 전위 예술가 백남준이 텔레비전과 위성을 이용한 전 지구적 퍼포먼스를 벌여 오웰을 기념했다고 한다. 이 외에도 조지 오웰의 『1984』는 다양한 예술 작품들에 끊임없는 영감과 소재를 제공해 왔다고 한다.
표지가 너무 딱딱해서, 제목이 그저 그래서, 고전이란 이름을 달고 있는 책이어서 선뜻 손이 가지 않았는데, 막상 읽기 시작하니, 다음 내용이 너무 궁금해 앉은 자리에서 일어날 수 없었다. 나처럼 고전에 흥미가 많지 않은 사람도 한 번 읽기 시작하면, 손에서 책을 내려놓기가 쉽지 않을 듯하다.
조지 오웰의 『1984』를 아직 읽어보지 못했다면, 인생에서 꼭 한 번은 읽어볼 만한 책이라고 추천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