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 ㅣ 메이트북스 클래식 23
존 스튜어트 밀 지음, 정영훈 엮음, 최기원 옮김 / 메이트북스 / 2025년 6월
평점 :
'자유주의'를 대표하는 위대한 고전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는 『자유론』은 존 스튜어트 밀의 대표작으로 아내 '해리엇 테일러'와 함께 저술했다고 한다.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한, 우리는 자유롭다."
밀이 주장한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한, 각자는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선택할 권리가 있다'는 명제 속에는 여러 분야를 아우르는 통합적 시각이 담겨 있다.
고전 철학서는 사실 선뜻 손이 가지 않는 책이다. 내용 이해가 쉽지 않을뿐더러 읽고 있지만, 이게 무슨 내용이지?라는 생각이 들 때가 많다. 그런 독자의 고충을 이해했는지 요즘은 고전을 현대어로 읽기 쉽게 가독성도 좋게 편집해서 나온 책이 눈에 띈다.
이 책도 제작할 때부터 그런 점을 염두에 두었다고 한다. 원문의 추상적인 명제였던 장 제목을 독자의 눈높이에 맞게 현대적으로 수정했고, 중간제목을 달아 독자가 철학적 흐름을 따라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길지 않은 문장과 단락, 표현과 어휘가 이해를 돕는다.
무엇보다 가장 눈에 들어왔던 점은 "지금, 이 장은 나와 어떤 관련이 있는가?"라는 부분이었다.
책에서 가장 와닿았던 부분은 '검증과 반론을 견디고 나서야 진리는 살아남는다' 부분이었다.
지적 존재로서든 도덕적 존재로서든, 인간을 존엄한 존재로 인정하게 만드는 가장 본질적인 자질은 인간이 실수를 저지를 수 있는 존재인 동시에 그 실수를 스스로 바로잡을 수 있는 존재라는 점에 있다.
인간은 자신의 실수를 스스로 인식하고 바로잡을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존재다. 그러나 그 가능성은 오직 경험과 토론을 통해서만 이루어진다. 단, 그 가능성은 경험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그 경험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분석하고 해석해 주는 '토론'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 p.57, 58
[서평]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 존 스튜어트 밀 지음, 정영훈 엮음, 최기원 옮김, 메이트 북스
인간이 실수를 스스로 바로잡을 수 있는 존재이기 때문에 인류 사회가 최악의 상황에 이르지 않았다며, 그 실수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충분한 '토론'이 밑받침되어야 한다. 토론하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고 내 명제에 대한 반박을 받아들이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고 한다.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한, 우리는 자유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