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윤옥 옮김 / 현대문학 / 2016년 4월
평점 :
무라카미 하루키를 좋아한다, 고 누군가 말한다면 이런 질문을 받을 가능성이 많다.
1. 어떤 작품을 가장 좋아하느냐.
2. 소설이냐 에세이냐.
첫 번째 질문은 무난한, 그러니까 여느 소설가나 작가에게도 하게 되는 물음이라 보편적이지만 두 번째 질문은 이례적인 편이다. 소설만큼 에세이 역시 유명한 작가는 그리 많진 않은데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경우엔 소설보다 에세이가 더 좋다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이 질문에 대해 내 경우엔 늘 몇 개의 소설과 대부분의 에세이라고 답했는데 『직업으로서의 소설가』를 읽은 후에야 대답할 수 있게 되었다. 에세이인 것 같다. 이유는 더 명확하다. 이 책에서 쓴 작가 본인의 비유를 빌리자면 작가로서의 서랍(소재를 넣어둔 일종의 마인드팰리스)은 호불호가 있지만 에세이로서의 서랍은 늘 흥미로웠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번 책을 읽으면서 아, 말을 잘 하는 작가구나, 그래서 에세이는 더 설득력 있게 읽혔구나, 를 깨닫는다.
글을 읽고 말솜씨를 짐작한다니 우스운 말이긴 하지만 여기서의 '말솜씨'는 실제로의 말재간과는 무관하다. 타입이나 유형이라고 해도 좋다. 직관적으로 말재간이 좋은 사람이구나, 라는 느낌이 들게끔 쓰는 작가들이 있는데 대개는 그들이 쓴 에세이는 소설만큼 때로는 -칭찬인지 불운인지- 소설 이상으로 재미있다. 마주 앉아서 대화를 하거나, 강연을 할 때와 비슷한 일상적인 어휘를 쓰면서도 논리적으로 기승전결을 가지고 일방적으로 이야기를 전개하는데도(즉, 서면을 통하는데도) 귀에 쏙쏙 들어오는 느낌이라고 해야하나. 게다가 균형감각이 무척 좋아서 자신의 주장이나 생각을 흐트러짐 없이 표현하는데에도 그게 아집이나 완고함이라기보단 명확함, 명징함 등으로 느껴지게도 한다. 자신의 주장은 이러하며 생각은 이러하지만 세상에는 나같은 사람만 있는 것은 아니니 다른 방법도 있을 것이다. 중요한 건 당신의 방법을 찾는 것이고 그리고 당신이 궁금하다면 공개할 나의 방법은 이런 것입니다. 대개는 이런 어조다. 생각해보면 늘 그런 식으로 쓰는 사람이었던 것 같다.
그건 그렇다 치고, 이십 년 삼십 년에 걸쳐 직업적인 소설가로 활약하고, 혹은 살아 남아서 각자 일정한 수의 독자를 획득한 사람에게는 소설가로서의 뭔가 남다르게 강한 핵core 같은 것이 있을 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소설을 쓰지 않고서는 견딜 수 없는 내적인 충동drive, 장기간에 걸친 고독한 작업을 버텨내는 강인한 인내력, 이건 소설가라는 직업인의 자질이자 자격이라고 딱 잘라 말해버려고 무방할 것입니다.
소설 한 편을 쓰는 건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뛰어난 소설 한 편을 써내는 것도 사람에 따라서는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간단한 일이라고까지는 하지 않겠지만, 못할 것도 없는 일입니다. 그러나 소설을 지속적으로 써낸다는 것은 상당히 어렵습니다. 누구라도 할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그렇게 하려면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특별한 자격 같은 것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건 아마도 ‘재능’과는 좀 다른 것이겠지요.
나는 누군가에게서 비판을 받을 때마다 되도록 긍정적으로 그렇게 생각하려고 노력했습니다. 뜨뜻미지근한 흔한 반발밖에 불러일으키지 못하는 것보다는 설령 네거티브라고 해도 분명한 반응을 이끌어내는게 더 좋을 것이다, 라고.
장편소설을 쓸 경우, 하루에 200자 원고지 20매를 쓰는 것을 규칙으로 삼고 있습니다. 내 맥 화면으로 말하자면 대략 두 화면 반이지만, 옛날부터의 습관으로 200자 원고지로 계산합니다. 좀 더 쓰고 싶더라도 20매 정도에서 딱 멈추고, 오늘은 뭔가 좀 안된다 싶더라도 어떻든 노력해서 20매까지는 씁니다. 왜냐하면 장기적인 일을 할 때는 규칙성이 중요한 의미를 갖기 때문입니다. 쓸 수 있을 때는 그 기세를 몰아 많이 써버린다, 써지지 않을 때는 쉰다, 라는 것으로는 규칙성이 생기지 않습니다. 그래서 타임카드를 찍듯이 하루에 거의 정확하게 20매를 씁니다.
원래가 발췌를 귀찮아하는데다 이 책에서 발췌를 하려거든 책 하나를 필사하는게 나을만큼 마음을 건드리는 부분이 많았지만 몇 개만 슬쩍 옮겨본다. 아마 이 전에 작가의 에세이를 읽은 사람에게는 약간 동어반복된다는 느낌을 많이 받을 것 같다. 나만 해도 몇몇 챕터는 그렇게 느껴졌지만 거기에 약간 보완 된 부분들이 꽤 재미있고 의미있다. 작가를 좋아하는 사람에게도 유의미한 정보가 되겠지만 그보다는 작가가 되고싶은, 소설가를 꿈꾸는, 그게 아니라도 글로 창작을 하거나 더 나은 글쓰기를 하려는 사람에게 특히 유용한 정보가 많이 있을 것 같다.
소설을 쓴다는 것은 처음이 아니라 유지를 하는게 어렵다는 사실, 자신은 규칙적인 생활로 늘 정해진만큼 글을 쓴다는 것, 자신의 내부에서 글감을 찾아야 오래 견디고 덜 지루해진다는 생각과 자신의 '번역투' 문장이 어떻게 탄생했는지와 어째서 문학상 심사위원은 하지 않는지, 나아가 상이란 무슨 의미인지 등등. 어찌됐거나 자신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개개인의 독자라는 말과 더불어 나를 계속 찾고 궁금해하는 독자가 있고 그 독자를 만족시키는 것, 꾸준히 글을 써 그들을 만나는 것이 자신이 해야할 가장 큰 업이라는 말에는 묘한 감동이 느껴진다. 책을 읽거나 영화를 보는 행위가 누군가의 창의를 수동적으로 수용하는 입장밖에 되지 않는다는 생각에 자괴감이나 질투, 열등감 같은 것을 느낄 때가 있는데 무라카미 하루키의 이러한 말은 어쩌면 독자 한 명이 작가 한 명만큼이나 큰 창구라는 생각까지 하게 만든다.
무라마키 하루키라는 소설가, 도 아니고 소설가라는 직업, 도 아닌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라니 제목이 재밌다는 생각을 했는데 끝까지 읽고나면 그야말로 맞춤인 제목같다. 이 책은 소설가라는 직업의 고단함에 대해 투정을 털어놓는게 아니라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소설이 업이 된다는 것은 이런 것이다, 라는 것을 발표하는 -사실상- 작법서에 가깝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소설을 쓰는 분들, 창작자가 되려는 분들, 글을 더 잘 쓰고 싶은 분들이 읽는다면 분명 한 가지 이상은 유의미할 정보, 혹은 다시 생각해볼만한 이색적인 발상이 있을 것이다. 그런 분들에게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