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히스토리 15 : 세계는 어떻게 연결되었을까? - 글로벌 네트워크의 출현, 우주.생명.인류 문명, 그 모든 것의 역사 빅 히스토리 Big History 15
조지형 지음, 이우일 그림 / 와이스쿨 / 2013년 10월
평점 :
품절



 

얼마 전 기사에서 해외 직구 사이트가 인기를 끌고 있다는 내용을 봤다. 내수 경기가 침체될 것이라는 우려 속에 국내 소비자들은 해외 제품을 값싸게 사기 위해 직접구매를 선택하고 있다. 예전에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일들이 실현되고 있다. 우스갯소리로 나중에 세계 언어가 통일되는 것이 아니냐는 소리를 하는데 경제영역의 벽도 허물어지는데 언어통일 되지 말라는 법도 없다. 이렇게 세계는 긴밀히 연결돼 있고 평준화되고 있다.

 

과거 글로벌 네트워크는 어떤 식으로 이뤄졌을까. 언제 어떤 방법을 통해 세계가 하나로 통하게 됐을까. 이 책에는 아프로유라시아, 아메리카-대서양, 오스트레일리아-태평양 섬 등으로 나눠 글로벌 네트워크 성장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는 크게 무역, 종교, 역병 등의 내용이 들어가 있는데 글로벌 네트워크를 분석적으로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됐다.

 

아프로유라시아는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를 연결하는 거대한 그룹을 말하는데 이 커다란 땅덩어리를 연결하는 길이 바로 비단길이었다. 처음엔 중국에서 생산된 비단을 서역으로 수출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길인데 오아시스길이라고도 한다. 비단 외에 옥, 향신료 등 각 나라, 지역마다 특산물이 있는데 이것들을 교환하기 위해서도 다양한 길이 열렸다. 인도양에 있는 계절풍을 이용해 홍해에서 인도를 가로질러 갈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바닷길도 열렸다. 이런 길들은 수많은 상인들을 통해 이미 확보됐고 널리 전파됐는데 이런 길의 출현은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는 단초를 제공했다.

 

은의 글로벌 교환은 빅히스토리의 대전환점을 이뤘다. 페루에 은이 대거 매장돼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은의 거래가 이뤄졌는데 은은 전지구적인 이동을 보였다. 우리나라의 인삼이 인기있을 당시 일본에서는 조선의 인삼을 구입하기 위해 특별 제조한 은화를 보유했다고 하니 은의 글로벌 교환으로 세계는 경제적 글로벌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된 것이다. 은이 상품을 넘어 화폐로서의 기능도 했다는데 세계를 단일 경제권으로 묶었으니 대전환점으로 꼽을만 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건만 교환을 한 것은 아니었다. 사람과 동물이 가는 곳에는 전염병도 돌게 된다. 안토니우스 역병, 유스티니아누스 역병 등 수많은 역병이 돌았고 흑사병, 천연두, 황열병 등 쥐, 모기를 매개체로 전염병이 창궐했다. 과거에는 병이 왜 창궐했는지 이유도 모르고 죽은 사람이 많았다. 병이 돌아 수많은 사람들을 죽이고 개중에 살아남은 사람들이 면역력이 생기면 병은 사그라졌다. 에스파냐 사람들이 처음 인디언들에게 갔을 때도 처음엔 그들을 정복하기 힘들었다. 하지만 유럽인들에게는 면역력이 있지만 인디언들에겐 면역력이 없는 전염병으로 그들을 제압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인디언들은 전염병으로 홍역을 치르면서 죽지 않는 유럽인들을 ‘신이 선택한 사람들’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역사는 유럽인들 편이었다. 그 외에도 힌두교, 이슬람교의 출현 등 역사를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었다. 역사적 사실의 출현과 전파, 쇠퇴의 과정을 아는 것은 꽤 흥미로웠다. 기회가 된다면 다른 시리즈들도 구해서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귀중한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