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처음 떠나는 컴퓨터과학 산책 - 하버드대 학생들은 왜 컴퓨터과학을 배울까?
김현철.김수환 지음 / 생능 / 2020년 11월
평점 :
품절
_컴퓨터과학은 사람과 사회를 대상으로 합니다.
..... 인간과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_
“컴퓨터과학은 인문학이다”는 말을 언급하며, 위와 같이 설명해주고 있다. 그동안은 생각하지 못했던 개념이라 “아하!” 하며 머릿속으로 번쩍 들어오는 바가 있었다. 지금까지 컴퓨터는 기계라고만 생각하고, 어떤 교류 수단으로도 원활하게 사용하고 있었음에도 이런 식으로는 연결을 지어보지 못하고 있었다. 헌데 인문학이고 사람과 사회를 대상으로 하고 관련문제를 해결하는 학문이다고 생각을 바꾸는 순간, 갑자기 편해졌다. 어렵게만 여겨졌던 뭔가가 풀린 기분이 들었다.
이렇게 기분 좋게 읽기 시작한 이 책은, 비전문가인 나 같은 사람도 이해하기 쉬웠다.
컴퓨터 기본 개념의 이해부터 시작해서, 컴퓨터가 사용하는 코드를 아주 친절하게 설명해 주고 있고, 들어만 보았지 막막했던 코딩하는 방법도 원리부터 알려주고 있어서 눈이 번쩍 뜨인 느낌이었다.
산재해 있는 정보를 구조화하는 방법, 관심사를 알아서 자동으로 띄워주는 알고리즘이라는 것이 무엇이고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그 표기법까지 언급하고 있어서 자칫 너무 겉핥기 식으로 끝나기 쉬운 개론설명에 깊이를 더해주고 있었다. 이런 부분이 있으니 더 알고 싶은 동기가 샘솟는다.
뒤로 가면서 좀 더 수학적인 개념이 생겨났는데 중고등학교 때 배운 함수가 컴퓨터과학에서 쓰이는 방법은 무척 흥미로웠다.
함수 f(x)는 컴퓨터과학에서는 알고리즘(Alg)에 해당되었으며, 함수는 수치로 입력값과 출력값이 표현되지만, 여기의 알고리즘은 그 값들이 수치 뿐만 아니라 우리가 세상에서 접하게 되는 대부분의 정보들이 다 해당된다는 것이 매우 다른 점이였다. 바로 여기에서도 전제를 했던 컴퓨터과학이 인간과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학문이다는 내용과도 연결지을 수 있을 것이다.
후반부에서는 AI, 기계학습, 딥 러닝, 슈퍼컴퓨터, 양자컴퓨터에 대해서 설명해주고 있다. 개인적으로 특히 관심있게 읽었던 부분은 양자컴퓨터에 대한 내용이였다. 양자역학은 내 관심사이기도 한데, 흔히 슈외딩거의 고양이 사고 실험으로 설명한다. 이 책에서는 얽힘과 중첩을 중심으로 양자컴퓨터의 기초 원리 정도만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하고 있다. 양자컴퓨터에 적용된 내용은 100% 이해하지는 못해서 차분히 관련 내용들을 더 찾아서 읽어봐야겠다.
전공이 아닌데, 어쩌다 웹싸이트 관리를 하게 되어 웹프로그래밍이나 웹디자인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헌데 기초적인 관련개념들을 모르다 보니 뭔가를 터득하게 되도 허공에 뜬 기분이였었다. 그리고 관련 전문가분들과 대화를 하게 되더라도 이해가 잘 안 되는 부분들이 있었다. 그런 내게 이 책은 컴퓨터과학에 대한 기초 지식을 이해하기 쉽게 도와주었고, 읽기전과 읽은 후가 확연히 다르다. 이제 좀 더 편하고 친밀한 기분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도 같다.. 물론 갈 길은 멀다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