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화의 수수께끼를 풀다 - 문화 상대주의로 세상을 바꾼 인류학의 모험가들
찰스 킹 지음, 문희경 옮김 / 교양인 / 2024년 12월
평점 :
_보아스 학파의 핵심 개념은 현명하게 살아가려면 타인의 삶을 공감의 눈으로 바라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사회 현실을 보는 다른 관점을 판단하려면 우선 그 관점을 제대로 이해할 때까지 판단을 보류해야 하고, 다음으로 먼 곳의 종족을 연구할 때처럼 냉정하고 회의적인 시각으로 우리 사회를 바라봐야 한다._
인간이 스스로를 존귀하게 만드는 요건은 무엇일까?
교양이라는 옷을 입고 문화를 향유하지만, 남의 땅을 침범하고 주인행세를 하기도 하고, 다르게 생겼다는 이유로 근거없는 우월감에 도취되어 차별을 정당화 하기도 한다. 같은 인종으로 구성된 사회에서는 그 안에서도 계급을 만들어서 각자의 존재가치를 정의하여 국가체계로 운영하기도 한다.
하나의 민족을 우생학으로 포장해서 대량학살을 하고, 우월주의와 차별을 교묘하게 정치와 경제에 대입시켜서 대중과 분위기를 몰아가기도 한다. 매우 효과적이고 편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 오래된 역사를 문화인류학을 바탕으로 바로잡기 위해서 애써온 이들이 있었는데, 바로 이들의 노력에 대한 내용이 연대기로 알려주고 있는 책이 바로 #문화의수수께끼를풀다 이다.
#프란츠보아스 부터 루스 베네딕트, #마거릿미드 , 엘라 캐러 델로리아, 조라 닐 허스틴 까지, 인류학자로, 페미니스트 작가로, 문화인류학과 문화 상대주의를 탄생시키고 정착, 알리기 위해 애쓴 인물들의 기록이다. 이들은 여성이여서, 유색 인종, 성소수자, 신체장애인이여서 당대 미국 사회의 주류에 끼지 못하고 배척 당했었다. 지금도 이런 인식은 없어지지 않은 상태인데 그 옛날에는 얼마나 심했을지 안봐도 짐작가능하다.
그래서 더 대단해 보이는 행적들이, 미국 내의 폐해에만 그치지 않고 인류가 있는 모든 문화권에 거쳐있었다.
문화 상대주의는 무조건 어떤 것이 옳다 그르다를 이분법으로 가르며 판단하는 것이 아니다. 서구 문명과 백인 중심으로 모든 인간을 위계화 할 것이 아니라 문화의 다양성에 비춰서 보고 이해할 때까지 판단을 보류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비단 이 분야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만약 각 챕터의 내용이 너무 방대해 보인다면, 개인적으로는 각 챕터 제목 아래에 간략하게 들어있는 한 문단을 잘 이해하고 본문을 만나는 것을 권하고 싶다. 핵심을 잡아내기에 좋을 것 같기 때문이다.
이 책의 세부적인 내용을 여기에 다 열거할 수는 없으나, 인류학 쪽은 마거릿 미드만 알았던 나에게 새로운 눈을 열어주는 시간이였고, 지금 시대의 분열의 원인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고 인류의 진정한 진보는 어떤 사람들에 의해서 이루어지는가를 알려주는 내용 이였다.
다시 처음 문장으로 넘어가면,
“인간이 스스로를 존귀하게 만드는 요건은 무엇일까?”,
이 책을 제대로 읽어낸다면 이 답을 어렴풋이라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_보아스는 인종이 불안정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인종이 현재 물리적 실체로 존재하지 않는다면 과거에도 존재했을 리가 없고, 이는 결국 인종들 간의 대혼전으로 표현되는 인류 역사는 본질적으로 거짓이라는 의미였다.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