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멜리아와 전설의 동물 ㅣ 몽실북스 청소년 문학
배혜림 외 지음, 서경윤 삽화 / 몽실북스 / 2024년 1월
평점 :
"한국형 해리포터 소설, 2번째 이야기 "
배혜림 외 7인의 <아멜리아와 전설의 동물> 을 읽고

"전학생의 등장으로 아멜리아는 검은 그림자에 뒤덮이게 된다."
-현직 국어 교사와 학생들의 콜라보로 탄생한 작품-
전작인 『아멜리아와 네 개의 보석』이 세상에 나온지도 어언 1년의 시간이 지났고, 중학생이었던 학생들은 어느덧 고등학생이 되었다. 그 학생들과 현직 국어교사가 다시 모였다. 그리고 그 협업의 결과 아멜리아의 2번째 이야기인 이 책 『아멜리아와 전설의 동물』이 탄생하게 되었다.
전작에서 돋보였던 탄탄한 스토리 구성, 무한한 상상력, 넘치는 창의력에 더해서 이번 책에는 판타지적 요소까지 새롭게 추가하였다. 한국형 해리포터 소설로 불릴 만큼 『아멜리아와 네 개의 보석』은 큰 인기를 얻었는데, 그 인기가 이 책 『아멜리아와 전설의 동물』에서도 이어질 수 너무나 궁금하고 기대가 되어 책장을 펼쳤다.
이 책에서는 전작에서처럼 사총사 멤버인 지연, 민규, 봄이, 현우가 등장하였다. 전작인 아름이의 죽음에 대한 진실을 밝히고 네 개의 보석의 힘으로 흑마법에 걸린 아멜리아 마법 학교를 구해냈었다. 그 이후 1년 간의 시간은 흘렀다. 지연, 민규, 봄이, 현우는 아멜리아 마법 학교를 다니며 평화로운 일상을 보낸다.
그런데 한 전학생이 아멜리아 마법 학교에 오게 되면서 예전의 일상은 깨지고 또다시 아멜리아 마법 학교는 흑마법의 검은 그림자에 뒤덮이게 된다. 처음에는 단순한 학생이라고 생각했지만, 엘나르는 강한 흑마법을 사용하고 오총사 멤버 중 봄이에 대해 증오를 품게 된다.
네 개의 보석은 이미 파괴되었고 흑마법사였던 아멜리아 마법 학교의 교장인 엘리오트는 죽었는데 어떻게 흑마법이 다시 나타날 수 있을까? 과연 전학생인 엘나르의 정체는 무엇일까? 그녀가 전학온 목적은 무엇일까?
그리고 사총사 멥버 중 봄이는 비 오는 날 집 앞에서 박스에 담겨진 어린 생명체를 발견하고 측은한 마음이 들어 집으로 데려온다. 도마뱀을 닮기도 한 것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한 모습에 무엇인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일단 '룡룡이' 라고 이름지었다. 물론 엄마의 반대와 같은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결국 반려동물처럼 여기며 키우게 된다. 이 신비한 동물의 정체는 무엇일까?
결국 엘나르의 정체는 밝혀지고 그녀는 악마의 마법서를 구하게 되면서 강력한 흑마법의 힘을 가지게 된다. 그럼 룡룡이의 정체는 무엇일까? 이 책에서는 유니콘, 그리폰, 적토마, 삼족오, 해태 등 전설의 동물들이 등장하고, 룡룡이도 이 전설의 동물과 관련이 있다.
결국 강한 흑마법사의 힘을 갖게 된 엘나르, 아름이의 도움을 받아 대적하는 사총사 현우, 민규, 지연, 봄이, 그리고 샐러맨더인 룡룡이와 힘을 합쳐 싸우는 전설의 동물들을 중심으로 한 마법 전쟁이 벌어지게 된다. 흑마법과 전설의 동물들이 펼치는 전쟁의 모습이 판타지적 요소를 첨가하여 환상적이게 펼쳐진다.
과연 이 마법 전쟁의 승자는 누구일까? 사총사는 엘나르를 통하여 다시 부활하려는 흑마법사이자 교장이었던 엘리오트의 검은 음모로부터 아멜리아를 구할 수 있을까?
더욱 강해진 마법의 기술, 전설의 동물 등 첨가된 판타지적 요소들로 인해 해리포터 소설을 읽는 것 같았다. 정말 한국형 해리포터 소설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겠다. 더군다나 전문적 훈련과 이론을 배운 작가도 아닌 학생들이 이 정도의 멋진 판타지 소설을 썼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대단한 일이다. 다음에 아멜리아 마법 학교에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 왠지 아직도 아멜리아 시리즈는 끝나지 않은 느낌이 들어 다음에 나올 후속편도 너무 기다려지고 기대가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