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쓰레기의 처리 방법
이희진 지음 / 씨엘비북스(CLB BOOKS)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 플라스틱 쓰레기 된다면"

 

이희진의 <인간쓰레기 처리 방법> 을 읽고



 

“인간이 곧 쓰레기, 전염병의 시절

우리의 민낯을 폭로하는 소설

-절망을 파괴하고 자신을 구원하는 여자들의 이야기-

 

요즘 플라스틱을 비롯한 재활용 쓰레기 처리 문제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제대로 분리수거가 되지 못해서 플라스틱의 재활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우리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전염병 시대를 겪으면서 전염병의 위험성도 알게 되었다. 그런 상황 속에서 작가가 상상력을 발휘한 결과일까.

 

이 책  『인간쓰레기의 처리 방법』에서는 온몸이 플라스틱으로 변하는 전염병이 도래한 시대를 배경으로 삼아 4편의 이야기들이 펼쳐진다. 일명 '플라스틱 병'이 퍼지게 되는데 그 병은  미세 플라스틱이 체내에 쌓이고 변이를 일으켜 온몸이 플라스틱으로 변하는 병을 말한다.

인간이 플라스틱으로 변한다는 설정이 너무나 충격적이면서도 놀랍다. 마치 인간도 플라스틱처럼 변하고 플라스틱 시체를 처리하고 관리하는 과정을 통해 마치 인간이 쓰레기처럼 버려지고 취급되는 인간 사회의 모습을 목격하게 된다.

 

제시된 4편의 이야기들은 모두 플라스틱병에 걸려버린 인간들이 주인공이다. 그들은 사회에 해만 끼치고 아무 쓸모도 없고 처치 곤란한 쓰레기의 처지로 전락했다. 일명 그들은 인간쓰레기이다. 플라스틱병에 걸린 사람으로부터 전염된 바이러스로 인해 체내에 플라스틱 입자가 쌓이고 말초신경이 손부터 하얗게 플라스틱으로 변하게 된다. 그렇게 서서히 온몸이 플라스틱으로 변하고 결국은 플라스틱으로 모두 변해서 죽게 된다. 플라스틱 시체는 태워서 화장할 수도 매장할 수도 없는 처치 곤란하다. 

네 편의 이야기들에 등장하는 쓰레기는 플라스틱으로 변한 인간의 몸이 아니다. 이미 서로를 이용하고 혐오하고 배제하는 인간의 썪어버린 정신이며 그것은 단순히 플라스틱 쓰레기보다 못한 존재이다.

 

첫 번째 이야기인 <죽은 연인의 초상>은 사람하는 사람이 플라스틱 병에 걸려 죽게 되는데, 그는 플라스틱 병에 대해 연구해온 과학자이다. 그는 이 병에 대한 연구를 통해 플라스틱 병에  대한 항체를 발견하려다가 그만 그자신도 플라스틱 병에 걸려 죽고 만다. 연인의 유언에 따라 어느 장소에 가게 된다. 그곳에서는 한 남자와 노파가 한 집에서 살고 있는데, 남자는 노모를 모시고 살지만, 그는 자신의 어머니를 플라스틱병에 감염시켜 죽이려 한다. 하지만 거듭되는 아들의 검은 음모에도 불구하고 노파는 플라스틱 병에 걸리지 않고 살아남았다. 아마도 플라스틱 항체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과연 죽은 과학자인 준의 연인 나영은 그의 유언에 따라 플라스틱 항체는 손에 넣을 수 있을까. 이 이야기를 통해 늙은 부모를 모시지 않고 나쁜 마음을 먹는 인간의 모습을 보게 된다. 

 

두 번째 이야기인 <악취> 에서는 플라스틱 병으로 죽은 어머니의 시체를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해 논쟁하는 자식들의 모습이 나온다. 서로 그 시체를 맡아서 처리하려고 미루는 모습을 보여준다. 결국은 장남이 그 플라스틱으로 변한 어머니 시체를 맡게 되지만, 그들 또한 집안에 둔 그 시체로 인해 생활상의 어려움과 불편함을 겪는다. 결국은 며느리가 그 시체를 절벽에서 떨어뜨려 제거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 결말을 보면서 과연 아무리 플라스틱으로 변했다더라도 그들의 어머니인데 그렇게 함부로 쓰레기처럼 다루어도 되나 너무한 것은 아닐까. 이것이 바로 우리 인간의 민낯임을 깨닫으며 씁쓸함을 금할 수 없다.

 

나머지 이야기인 <역 피그말리온>과 이 책의 표제작인 <인간쓰레기의 처리 방법> 또한 플라스틱 병에 걸린 주인공을 주제로 하고 있다. 소설 속에 등장하는 여성들은 현실에 닥쳐온 이 전염병 앞에서 인간의 민낯을 보여주는 다양한 인간 군상을 만나게 된다. 그들은 절망을 느끼면서도 자신들의 방식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책 『인간쓰레기의 처리 방법』은 제목만큼이나 적나라하지만 그 이야기들 속 주인공인 여성들이 갈등과 위기 상황을 해결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 여성들의 노력에 의해 위기 상황은 해결되고 사람들은 구원을 받게 되는데 그것이 우리가 인생을 사는 모습이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