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윈의 미완성 교향곡 - 문화는 어떻게 인간의 마음을 만드는가
케빈 랠런드 지음, 김준홍 옮김 / 동아시아 / 2023년 5월
평점 :
"문화는 어떻게 인간의 마음을 만드는가"
케빈 랠런드의 <다윈의 미완성 교향곡> 을 읽고

“사실 우리를 똑똑하게 만든 것은 문화다."
-영국심리학회 도서상 수상 도서
[사이언스], [월스트리트 저널] 추천-
다윈은 갈라파고스 제도에 사는 동물들이 오랜 세월에 걸쳐 환경에 맞추어 서서히 형태를 변화시켜가는 모습을 통해 '자연 선택에 의한 진화론'을 주장한 것이다.
그런데 인간의 진화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인 영향에 대해서는 과학적으로 설명이 가능할까. 또한 마음은 진화로 설명이 가능할까. 인간을 포함한 동물들을 행동들은 과연 자연 선택에 의한 진화로 모두 설명이 가능한 것일까.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우리는 이 책 『다윈의 미완성 교향곡』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과학은 문화의 영역을 설명할 수 없을 것처럼 보이지만, 이 책의 저자는 여러 과학적인 연구 결과들을 가지고 문화와 인간의 진화를 설명한다. 이 책의 저자인 케빈 랠런드는 진화생물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이며 지난 25여 년간 연구를 통해 마침내 인간의 마음과 문화의 수수께끼를 풀었다.
인간 마음의 진화를 이해하는 것은 다윈의 미완성 교향곡이다. 원작자가 남겨놓은 스케치 조각들만을 모아서 유명한 걸작이 된 베토벤이나 슈베르트의 미완성 교향곡과는 달리, 다윈의 후예들은 다윈의 작품을 완결하는 것을 도전으로 받아들였다. 그사이 수십 년간 위대한 진보가 이루어졌으며, 우리의 정신적 능력의 진화를 둘러싼 수수께끼에 대한 기초적인 대답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진정으로 강력한 설명으로 정제된 것은 최근 몇 년간 일어난 일이다.
- p.29
저자는 진화생물학의 여러 연구 성과들을 바탕으로 우리의 성공이 뛰어난 재능 때문이 아니라 문화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인간이 다른 동물들과 구분짓는 특성인 언어, 협력도 또한 문화적 능력의 결과라는 것이다.
이 책은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서 1부 <문화의 기초>에서는 문화가 어떻게 발생했는지, 왜 동물들은 모방하는지, 모방의 전략은 무엇인지 등을 통해 문화에 대해 기본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특히 2장에서 여러 동물들의 행동의 사례들을 통해 모방이 광범위하게 퍼져 있음을 밝히고 3장에서는 효과적인 모방 전략들을 소개하고 있다. 이 파트에서는 모방, 혁신, 사회적 학습, 비사회적 학습의 차이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그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두는 것이 필요하다.
먼저 2부 「마음의 진화」 에서는 문화가 인간과 동물에게 미치는 영향을 바탕으로 지능, 언어, 협력 등 인간과 동물을 구별하는 특징들에 대해 설명한다. 8장에서 문화적 충실도를 높이는 기제인 언어에 대해 말하면서 언어가 공진화에 미친 영향에 대해 밝히고 있다. 9장에서는 유전자와 문화가 공진화할 수 있으며 실제 공진화하고 있는 방대한 증거들을 제시한다.
이제 인류는 생물학적 진화를 거쳐 유전자-문화 공진화의 시대를 지나고 있다. 현대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도 문화를 공진화하고 있다.이런 사실을 토대로 앞으로 더 나은 공진화를 위해서 우리가 어떤 문화를 만들어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할지에 대해 생각해보는 것도 요구된다.
이 책 『다윈의 미완성 교향곡』을 통해 인류의 진화에 미치는 문화의 힘을 알 수 있었다. 지금 우리가 동물에 비해 똑똑하고 특별한 능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이 문화 덕택임을 알고 이제는 자연 선택에 의한 생물학적 진화뿐만 아니라 문화에 의한 공진화를 통해 지금 우리가 존재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저자가 제시한 방대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이제 우리는 다윈의 미완성 교향곡을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
“방대하고 중요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사회적으로 전달되는 지식인 문화가 어떻게 인간을 성공적인 종으로 만들어 왔는지를 보여준다.”
- 로버트 보이드 (인류학자,『인간은 어떻게 진화했는가』 저자)
이 글은 동아시아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료로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