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터 데스의 유산 이누카이 하야토 형사 시리즈 4
나카야마 시치리 지음, 문지원 옮김 / 블루홀식스(블루홀6)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을 권리와 함께 안락사 문제를 생각해보게 하는 미스터리 "

 

나카야마 시치리의 <닥터 데스 유산>을 읽고 



"형사님, 가족과 법 중 뭐가 더 중요할까요?"

-이누카이 하야토 시리즈 4번째 이야기-

 

만약 당신의 가족이 불치병에 걸리거나 종말기 연명치료를 받으면서 하루하루 아픔과 고통의 힘겨운 나날을 보내고 있다면 당신은 어떻게 하겠는가. 당신의 아이나 부모님이 그 고통에 모못 이겨 차라리 죽여달라고 한다면 당신은 어떤 결정을 내리겠는가. 인간에게 생명이 중요하고, 그 생명은 존중되고, 어떤 경우에 있어서도 그 생명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고 하지만, 일상을 살아가다보면 그 믿음과 원칙을 어겨야하는 딜레마적인 상황에 맞닥뜨리게 된다. 

이런 상황 속에 안락사 문제가 거론이 되는데 안락사는 우리가 알고 있다시피, 불치의 중병에 걸린 등의 이유로 치료 및 생명 유지가 무의미하다고 판단되는 생물에 대하여  직·간접적 방법으로 고통없이 죽음에 이르게 만드는 인위적인 행위를 말한다. 안락사는 적극적 안락사와 소극적 안락사로 나뉘는데, 적극적 안락사는 고통스러워하는 환자의 요청에 따라 모르핀 투여 등을 통해 인위적으로 죽음을 앞당기는 행위를 말한다. 이에 반해 소극적 안락사는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영양공급, 약물 투여 등을 중단함으로써 결국 죽음에 이르게하는 것을 말한다. 

 

이 책 『닥터 데스의 유산』에서 나카야마 시치리 작가는 안락사 문제를 조명하여 인간에게 있어서 살 권리뿐만 아니라 죽을 권리 또한 중요함을 말하며, 그 죽을 권리를 과연 법이 통제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을 던져준다. 인간이 자신의 죽음을 선택해서 존엄하고 편안하게 죽는 것이 중요한가. 아니면 법으로 어떤 경우에 있어서도 안락사를 금지해야 하는가. 작가는 이 안락사 문제를 이 책 속에서 등장하는 닥터 데스에 의한 연쇄살인사건 수사하고 닥터 데스를 추적하고 검거하는 과정을 통해 다루고 있다. 닥터 데스는 편안하고 고통 없는 죽음을 선사하는 의사인가. 아니면 쾌락성 연쇄살인마인가.

 

이야기는 경시청 지령센터에 갑자기 들어온 한 소년의 신고로 시작이 된다. 소년은 어느 날 갑자기 처음 보는 의사가 찾아오고 그 의사에게  소년의 아버지가 주사를 맞고 난 뒤, 소년의 아버지가 돌아가셨다고 말한다.

 

"저기, 있잖아요. 나쁜 의사 선생님이 와서 우리 아빠를 죽였어요.
--「첫 문장」중에서

"나를 잡아가기 전에 먼저 그 나쁜 의사 선생님을 잡아 주세요. 우리 아빠는 병을 이겨내려고 싸우고 있었는데. 엄마가 열심히 간호했는데, 그런데 그 의사 선생님이, 그 나쁜 의사가…….
-p.9

 

소년이 말하는 이 '나쁜 의사'의 정체는 무엇일까. 처음에는 소년의 장난 전화일거라고 생각하였지만, 혹시나 사건성을 염려해 이 신고 내용은 형사과에 근무하는 아스카에게 넘어간다. 아스카는 이누카이 형사와 함께 이 사건을 수사하게 된다. 수사 과정 속에서 이 나쁜 의사는 '닥터 데스'라고 불리며 그 인물이 개설한 사이트 접속을 통해 그 '거래'가 이루어졌음을 알게 된다. 편안하고 고통 없는 죽음을 단돈 20만 엔에 제공한다는 그 '죽음의 의사'는 과연 누구인가. 그리고 소년의 아버지처럼 그 죽음의 의사에 의한 거래로 인해 안락사 당한 경우가 많이 있음을 수사 과정 속에서 알아내게 된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도 안락사가 엄격히 법으로 불법으로 정해져있기에 소년의 어머니는 '자살방조죄'로 체포가 되어 감옥으로 가게 된다. 하지만 이에 대해 소년의 어머니는 자신의 행동에 후회가 없다고 말한다. 그녀뿐만 아니라, 닥터 데스에 의해 안락사를 시행한 거래를 하던 가족들은 오히려 닥터 데스에게 고마워한다. 고통스러워하는 자신의 가족에게 편안하고 고통없이 생을 마감할 수 있게 해줬다면서  말이다.

 

본인이 자살하고 싶어도 할 수 없고, 가족이나 의사 또한 자살을 방조하거나 도와줄 수 없는 상황 속에서 어떤 선택이 옳은 것일까. 사랑하는 가족의 고통을 보면서 안락사가 불법이거나 자살방조혐의 때문에 그대로 보고만 있어야 하는 것일까. 인간의 생명은 중요하다면서 고통스럽고 힘들지만 죽는 그 날까지 그 고통을 감내하면서 살아있으라고 말해야 하는 것일까.

이야기 속 닥터 데스와 거래를 통해 자살방조죄를 저지른, 가족의 죽음을 도울 수 밖에 없었던 가족들의 안타까운 사연을 보면서 생각해본다. 닥터 데스의 살인이 과연 정당하고 옳은 것일까. 아니면 작품 속 경시청 아스 경감의 말처럼 살인 충동과 쾌락에 의한 연쇄살인으로 보아야 하는 것일까. 

 

안락사의 이름을 빌린 쾌락살인. 아소가 그 말을 했을 때는 과연 맞는 말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딸을 안락사 시켜주지 못해 후회하는 마스부치를 보며 생각이 점차 바뀌었다.
닥터 데스는 정말 단순한 쾌락살인자일까. 마고메 사에코와 마스부치의 말대로 어쩌면 닥터 데스야말로 종말기 연명치료의 숨은 선구자 아닐까.
-p.85

 

쉽게 해결될 것 같아 보이던 수사는 난항에 빠지고 닥터 데스의 살인과 비슷한 사건들이 잇따라 일어난다. 과연 우리의 이누카이 형사와 아스카 콤비는 닥터 데스의 정체를 밝히고 그를 잡을 수 있을 것인가.

 

단순한 연쇄살인사건 속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사회의 저출산 고령화 문제,  연명치료에 대한 한계와 문제점, 인간의 죽음에 대한 선택과 권리 등  한번 쯤 우리가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들이 가득 들어있다.

"형사님, 가족과 법 중에서 무엇이 중요할까요?" 라고 묻는 가족의 물음에 당신은 뭐라고 답할 수 있을까. 정말 겪어보지 않으면 쉽게 답할 수 없는 문제임을 작품 속 이누카이 형사와 신부전에 걸린 그의 딸을 통해 작가는 보여준다. 네덜란드, 벨기에 등 일부 나라에서는 안락사를 허용하고 있고, 점차 그 나라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안락사가 옳으냐 옳지 않느냐는 쉽게 결정할 수 없는 문제이고 좀더 많은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사항일지 모른다.

 

하지만, 인간에게는 살 권리와 함께 죽을 권리도 중요하다는 것을 이 책   『닥터 데스의 유산』을 통해 명확히 깨닫게 되었다.

또한 이 책은 이누카이 형사 시리즈의 네 번째 이야기로 이누카이 형사와 닥터 데스의 쫓고 쫓기는 과정이 너무나 스릴있고 박진감있게 전개되어 이 책을 읽는 재미를 배가시켜 주었다. 

 

이 책을 통해 삶과 죽음에 대해 생각해보고 우리 주위에 종말기 치료로 인해 고통을 받는 환자와 그 가족들의 아픔과 고통에 대해서도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사회파 미스터리 소설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나카야마 시치리 작가의  『닥터 데스의 유산』을 추천하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