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서 종이우산을 쓰고 가다
에쿠니 가오리 지음, 신유희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상 속에서 만나는 인생의  상실 종언 "

 

에쿠니 가오리의 혼자서 종이우산을 쓰고 가다>를 읽고 



"세 사람은 왜 섣달 그믐날 밤에 함께 목숨을 끊었을까"

-에쿠니 가오리가 전하는 일상 속에서 만나는 삶과 죽음의 이야기-

 

항상 남녀간의 다양한 사랑의 모습만 이야기해오던 에쿠니 가오리 작가가 이번엔 죽음과 인생의 상실에 대해 이야기한다. 지금까지 우리가 일상 속에서 만나는 사랑의 모습과 사랑으로 인한 기쁨과 행복, 이별로 인한 슬픔 등을 이야기해왔는데 이번 신작인 『혼자서 종이우산을 쓰고 가다』는 사랑이 아닌 죽음과 죽음을 통한 상실을 그리고 있다. 

 

우리는 인생을 살다보면 가족의 죽음으로 인한 상실의 아픔과 고통을 겪게 된다. 아마 인생의 고난들 중에서 가장 견디기 힘들고 가슴아픈 일일지도 모른다. 만약 그런 상황이 오게 된다면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어떻게 가족의 죽음을 받아들이고 그 슬픔을 극복해나갈 수 있을까. 그런 질문들을 하면서 이 책 『혼자서 종이우산을 쓰고 가다』을 읽으면 좋을 것 같다. 저자는 이 책에서 세 노인의 죽음과 남겨진 가족들의 일상 이야기를 담담히 전하면서 이 질문들에 대한 답을 대신하고 있다.

 

이야기는 섣달 그믐날 밤, 호텔에 모인 세 명의 노인의 죽음으로부터 시작한다. 80대  노인인간지, 츠토무, 치사코는 처음에는 비즈니스 관계로 만난 인연으로 시작하여 나중에는 함께 공부 모임을 통해 그 인연을 오랫동안 이어왔다. 그들은 함께 연극, 영화, 콘서트 등을 보러 다니거나  술도 마시면서 우정도 쌓아온 것이다. 그래서 그 우정을 바탕으로 죽음조차도 함께 하려고 호텔에 모인 것이다. 그런데 왜 그들은 함께 목숨을 끊으려고 하는 것일까. 저자는 왜 그 노인들이 자살을 선택했고 함께 죽기로 결정했는지에 대한 이유를 말해주지는 않는다. 이미 그들은 엽총으로 자살을 했기 때문에 그 이유를 말해줄 수도 없다.  그렇다면 남겨진 가족이나 친구들은 그 이유를 알고 있을까. 그러나 저자는 남겨진 가족이나 친구들의 이야기를 통해서도 그들의 죽음을 이해할 수도 없고 그 이유조차 모른다는 것을 보여준다. 

 

비록 그 이유를 알 수 없는 죽음이라 할지라도 저자는 그 죽음에 대해 부정적으로 그리지 않는다. 남겨진 가족이나 친구들의 이야기와 그 노인들이 죽기 전에 함께 한 시간들을 통해 그들의 인생이 비참하거나  슬프지 않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저자는 그 노인들의 죽음보다는 남겨진 그들의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따뜻한 시선을 던진다. 남겨진 그들의 아들, 딸, 손녀, 손자, 옛 동료, 부하 직원 등을 통해 그 노인들의 인생 이야기가 부분적으로 펼쳐진다. 그와 함께 남겨진 이들이 느끼는 슬픔, 원망, 자책, 후회, 감사 등 그들이 느끼는 온갖 감정들이 그들 각자의 이야기들을 통해 드러난다. 처음에는 고인에 대한 부재를 강하게 느끼며  힘겨워한다. 그들의 일상 생활 속에서 고인에 대한 빈 자리가 너무나 크게 느껴진다.

 

최근 들어 자주 하는 생각을 맥락 없이 또 한다. 이것은 치사코 씨가 없는 세상이라고. 치사코 씨는 가고 없는데 세상은 평화롭고 평범하게 움직이고, 나는 연인과 걷고 있다, 라고.

-p.54-

 

 

마당에 심은 구근 하나가 올해 처음 꽃을 피운 것을 발견했을 때라든지 슈퍼마켓에서 장을 다 보고 바깥에 나오자 비가 내리고 있었을 때 혹은 우연히 탄 택시의 운전기사의 느낌이 좋지 않았을 때 갑자기 세상이 아버지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는 감각에 휩싸인다. 그 감각은 손에 닿을 듯이 생생하고 세상 그 자체와 맞먹을 만큼 거대해서 미도리를 움츠러들게 만든다.

-p. 143-

 

그렇게 문득문득 찾아드는 고인에 대한 흔적과 추억이 남겨진 이들을 힘들게도 하지만, 그 추억을 통해 고인과의 추억들을 떠올리며 자신들의 삶을 되돌아보게 된다. 그동안 바쁜 일상에 쫓겨 잊고 지냈던 아버지와의 어린 시절 추억들, 은사님에 대한 감사와 존경, 엄마와 연락을 끊고 소원하게 지냈던 딸의 엄마에 대한 추억 등 그들은 고인과의 소중했던 시간들을 떠올린다. 비록 육체적으로는 이미 그들은 죽고 없지만, 남겨진 이들의 기억과 시간 속에서는 계속 살아있는지도 모른다. 

 

'이런 건 할아버지한테 물으면 틀림없이 가르쳐 줬을 텐데 이제 할아버지에게는 말을 걸 수는 있어도 물을 수 없었다.'

-p. 225

 

물론 남겨진 이들은 일상 속에서 고인들의 부재를 느끼지만, 한편으로는 그들과 함께 있음도 동시에 느끼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그들의 부재로 인한 슬픔과 상실의 고통을 서둘러 해소하려고 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 슬픔으로 인해 일상 생활을 망치거나 포기하지도 않는다. 남겨진 이들은 고인의 죽음 이전이나 이후에도 변함없이 그들의 일상 생활을 하고 있다. 가족의 죽음으로 인한 인생의 상실이나 종언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삶은 계속 되어야 하는 것이다.  

 

에쿠니 가오리는 이 책  『혼자서 종이우산을 쓰고 가다』에서 죽음을 포함한 우리가 인생 속에서 만나게 되는 수많은 상실과 종언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특히 저자는 이번 책에서는 코로나로 인한 팬데믹 시대를 작품 속에 반영함으로써 코로나 시대를 살아가고 코로나에 대처해가는 우리들의 일상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해서 코로나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으로써 반갑기도 하고 공감도 갔다. 코로나 시대 3년을 살아오면서 느끼는 것은 그럼에도 우리의 삶은 계속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마 에쿠니 가오리는 이 책 『혼자서 종이우산을 쓰고 가다』 을 통해 인생의 수많은 상실과 종언 속에서도 우리는 꿋꿋이 앞으로 나아가고 살아가야 함을 말하고 싶은 아닐까 생각해본다. 


#이 글은 소담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료로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