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술사 - 므네모스의 책장
임다미 지음 / 팩토리나인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약 잊고 싶은 기억을 지울 수 있다면'"

 

임다미의 <기억술사> 읽고



사람들의 기억을 볼 수 있다면?
그리고 사람들의 머릿속을 정리해줄 수 있는 
‘기억술사’가 있다면?



누구에게나 잊고 싶은 기억이 있다.  그 기억 때문에 밤마다 악몽을 꾸고, 우울증, 신경쇠약 등의 정신적인 문제 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겪으면 고통스러운 나날을 보내기도 한다. 그들에게 있어서 그  기억은 정말 지워버리고 싶은, 도려내고 싶은 기억일 것이다. 이 기억만 없다면, 훨씬 더 마음 편하게 살 수 있을텐데 라고 생각을 한다. 

그런데 만약 이런 잊고 싶은 고통스러운 기억들을 정리해주는 사람이 있다면? 어느 특정한 시기의 기억만을 기억하지 못하게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 당신에게 "당신은 잊고 싶은 기억이 있나요? 만약 있다면, 제가 당신의 잊고 싶은 기억을 지워드리겠습니다."라고 누군가가  당신에게 말한다면 당신은 어떤 선택을 하겠는가.

 

이 책  「기억술사」는 사람들의 머릿속을 정리해주는 기억술사와 기억을 잃어버린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머리를 만지면, 그 사람의 기억을 볼 수 있는 기억술사 '선오' 는 사람들의 기억을 되찾아주고 정리해주기 위해 '므네모스 기억 상담소'를 열었다. 처음에는 과연 사람들이 찾아올까 걱정했지만,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사람들이 상담소의 문을 두드렸다. 잃어버린 소중한 물건을 찾고 싶은 사람부터, 치매 진단을 받고 남아 있는 기억이라도 붙잡고 싶은 사람까지 모두 기억을 정리하고 찾고 싶은 사람들이었다. 기억술사 '선오'는 그들의 간절한 바램을 담아 그들의 흐트러지고 희미해져가는 기억을 정리했다.

그러면 어떻게 선오는 사람들의 기억을 정리해주는 것일까. 타인의 기억은 커다란 도서관으로 나타났다. 선오가 머리를 만지면 그는 그 사람의 '기억 도서관'에  들어갈 수 있었다. 그리고 그 도서관 안에는 그 사람의 기억들이 여러 권의 책에 기록되어 있었다. 그 기억들은 일기처럼 그 사람의 기억의 일기장 속에 기록되어 있었고 책장 가득 빼곡히 꽂혀 있었다. 선오는 문득 아무 책장 속에서 아무 책이나 하나 꺼내서 읽어보았다. 보통 사람들의 책은 가지런히 정리가 되어 있지만, 기억을 잃어버린 사람들은 책이 접혀입거나, 어떤 찐득한 액체인 '뭉그리'에 의해 책이 서로 찐득하게 붙어 있어서 책을 넘길 수 없었다. 그렇게 책페이지가 정리가 안 되어 있는 부분이 기억에 이상이 있는 부분이었던 것이다. 기억력 감퇴의 문제를 책의 훼손 문제로 다룬 점이 상당히 인상적이었다. 우리의 기억을 커다란 도서관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다양한 기억들을 다양한 표지와 색깔, 두께를 가진 책들로 설정한 것이 참으로 신선하게 느껴졌다.

 

판타지적 요소를 가미하여  기억 속 도서관을 설정하고, 기억술사가 다른 사람들의 기억의 도서관에 들어가 책정리를 통해 잃어버린 기억을 되찾을 수 있다는 설정과 아이디어가 작가의 창의성이 돋보이는 점이라고 생각한다. 정말 우리 기억 속에 도서관이 있고, 기억술사가 그 도서관 속 기억의 책들을 정리해서 흐트러지고 잊혀져가는 기억을 되찾아 정리해주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어느 날, 기억술사 '선오'의 상담소에 기억을 잃어가고 있는 소녀 '희주'가 찾아온다. 선오는 점점 기억을 잃어가는 희주의 기억 도서관을 들여다보다가 그녀의 기억을 망가뜨리는 존재인 '무엇'을 발견하게 된다. 사각사각 소리를 내며 그녀의 기억의 책을 먹어치우고 있는 거대한 덩치의 '무엇' 정말 그 존재는 무엇일까? 누군가가 그녀의 기억 속 도서관에 심어놓은 것일까. 아니면 희주 그녀 자신이 만들어낸 존재인가. 

 

그리고 기억을 정리해주고 되찾아주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선오에 대응하여 오히려 기억을 지우는 행위를 하는 누군가가 나타난다. 그는 선오처럼 기억을 볼 수 있고 그 기억을 지울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인가. 과연 그는 누구이며 그는 왜 기억을 지우고 다니는 것일까.

선오는 희주의 기억을 정리하고 되찾아주는 과정 속에 그녀처럼 기억을 잃어가고 있는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그러나 그들은 희주와 다르게 그 기억을 잃어버리고 싶어한다. 그 기억들은 잊어버리고 싶을만큼 그들에게 끔찍하고 고통스러운 기억이기 때문에 그들은 그 기억을 지우고 싶어하는 것이다. 

 

기억을 찾고 싶은 희주와 기억을 지우고 싶은 사람들을 보며 잊어버린 기억들을 지우는 것이 옳은 일일까 생각해보게 된다. 만약 우리가 그 기억을 지운다면, 우리는 더이상 스트레스와 고통을 받지 않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것일까.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선호의 말을 생각해본다.  

 

"하지만, 언젠가 그런 기억들이 한 사람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수도 있습니다. 가장 힘든 일들을 생각하며 지금은 힘든 게 아니라고 생각할 수도 있고, 가장 힘든 일들을 극복한 자신을 보며 자존감이 높아질 수 있어요."

-p. 165-

 

과연 희주는 그녀의 잃어버린 기억들을 찾았을까. 선오는 희주의 기억의 도서관을 잘 정리해서 그녀의 기억을 찾게 도와주었을까. 희주의 기억의 도서관 속 '그것'의 존재는 무엇이었을까. 기억을 지우며 기억의 도서관의 책들을 훼손하는 선오와 비슷한 능력을 가진 그 사람은 누구였을까. 이런 의문점을 가지고 계속해서 책을 즐겁게 읽어본다면, 곧 책 속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 「기억술사: 므네모스의 책장」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기억'이라는 소재를 사용하여, 기억을 정리해주는 기억술사와 잃어버리는 기억을 찾으려는 희주와 주변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기억을 되찾는 과정을 통해 그들은 자신들의 인생을 되돌아보며 깨닫게 된다.비록 그 기억들이 지워버리고 싶을만큼 고통스럽지만, 그 기억들조차도 소중하다는 것을 말이다. 

 

나 또한 이 책의 책장을 덮으며 생각해본다. 슬프고 고통스러운 '기억' 이라 할지라도 그것 또한 우리 인생의 기록이고 선오 말대로 그 기억은 다른 힘들고 어려운 일을 극복할 수 있는 힘과 용기를 주며, 그 기억을 통해 우리는 한층 더 성장할 수 있다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