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이가 든다는 착각 - 몸과 마음에 대한 통념을 부수는 에이징 심리학
베카 레비 지음, 김효정 옮김 / 한빛비즈 / 2023년 7월
평점 :

건강챙기는데 도움얻고자 하던 차에 이 책을 보게 되었다. 나이가 들어서도 밥벌이를 위해서 자격증 공부도 해야 하고, 신체도 써야 한다. 젊음에 대한 찬양은 나이가 들수록 체감하게 되고 젊었을 때를 회상하기도 한다. 그렇지만 나이가 든다는 걸 무조건 나쁘게 생각할 수만은 없다. 나보고 더 젊었을 때로 돌아가라고 한다면 이미 힘들게 이루어낸 것들도 있기에, 다시 과거로 돌아갈 생각은 그렇게 많지 않다. 세월 겪고 나이들면서 얻은 지혜는 쉽게 맞바꾸기 어려운 것이라고 본다.

이 책의 초반부에는 어떠한 것이 나이 고정관념에 영향을 주는 것인지 알려주고 있다. 심리, 행동, 생체 경로가 영향을 준다는데, 부정적인 연령인식이 이렇게 영향을 준다고 한다. 그렇다면 이런 인식에 대해 변화를 줄 필요가 있겠다. 예전에 <써프라이즈>라는 TV프로그램에서 병상에 있는 노인들에게 젊었을 때의 모습이 어떠했는지 회상해보라는 내용이 있었다. 그렇게 하니까 누워 있던 노인들도 병상에서 일어나서 활동적으로 바뀌었다는 그런 내용이었다.

책에서는 기억력과 관련된 내용이 나오기도 하는데, 기억력은 노력에 의해 나아질 수 있다는 내용이 나왔다. 책에 나온 사례의 주인공은 농인과 청인 사이에서 “소리에 자연스러운 동작을 더해 원문을 구체화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이런 내용이 나온다. 이 내용을 짐작하자면 어떤 걸 암기하거나 기억하고자 한다면 오감을 사용해야 한다는 걸로 생각해볼 수도 있을 것 같다.
앞으로 노령화시대는 더더욱 다가오고 나이가 들더라도 밥벌이는 계속해야 할 것이다. 내가 가지고 있는 짐을 누구한테 들어달라고 한다면, 그 사람은 자기 짐도 들고 가야 하는 상황에서 더 힘들게 내 짐을 들고 가야 하는 상황이 되는 거니까, 이래저래 따지면 세상이 더 살기 힘들어지게 된다. 물론 내가 일단 편해야 편한 거니까 이런 생각도 들지만, 인간이라면 자존심이라는 게 있고, 자존감이라는 게 있을 것이다.
점점 나이드시는 부모님을 둔 사람으로서, 그리고 같이 나이들어가는 자식으로서, 좀 더 유연하고 희망적인 인생을 살고픈 사람으로서 이 책을 보면서, 인생의 고비와 위기를 어느 정도 극복해나가려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중요해보이는 부분에 밑줄치거나 해서 나중에 다시 보면 좋을 것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