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노는 애 안 노는 애 못 노는 애 - 아이들의 관계 맷집을 키우는 놀이 수업
얼씨구 지음, 최광민 그림 / 한울림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잘 노는 애

안 노는 애

못 노는 애


아이들의 관계 맷집을 키우는 놀이 수업 

 

다친 마음의 생채기에 딱지가 앉게 하고 새살이 돋게 해주고 마음을 단단해지게 하는 놀이의 힘


이것이야말로 우리가 아이들에게 물려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이 아닐까 

 

이 아이들을 만드는 이는 누구인가?


정말 놀이터에 가면 아이들이 많지 않다.

학원 가기 전 잠시 들러 가는 곳인 경우가 많다. 잠깐 와서 있다가 금방 가는 곳- 놀이터 


이 책을 읽으면서 마음에 너무 와닿는 문구가 너무 많았다. 다시 읽고 또 읽고 싶은 문구들이다. 

 

 

 

아이들에게 놀이를 돌려 주어야 한다. 


놀이는 행위가 아니라 마음이다. 


놀다 보면 서로의 얼굴을 마주보고 표정을 읽는다. 그 과정에서 아이들은서로를 비춰주고 서로에게 반응한다. 그 행위가 아이들 사이에 유대감을 형성하게 해주고 관계에서 받은 상처를 치유해 준다.

 

많이 놀아본 아이일수록 친구들과 잘 어울리고 놀이를주도하고 협동할 줄 알게 된다. 잘 웃고 감정 표현을 적절하게 할 줄도 알게 된다. 놀이는 사회적 능력을 키우는 연습의 장이다. 



상대방의 상황과 감정을 이해하는 폭도 넓어진다. 



 

 

 


작가가 소개하는 놀이 중 아이들과 꼭 해보고 싶은 놀이를 소개하고 싶다. 

 

개뼈다귀 놀이 

이름만 들어도 재미있는 느낌이 드는 이 놀이는 

바닥에 개뼈다귀를 그리고 두 편으로 나누어 가위바위보로 공격과 수비를 정한다. 

공격 팀의 집은 개뼈다귀 그림 끝 동그란 부분이고 

수비팀의 집은 놀이판 외곽이다. 공격 팀이 양쪽 집을 몇 번 오갈지 미리 정하고 그 횟수를 채우면 공격 팀이 승리한다. 

 

반전이 있는 놀이라 극적인 재미가 있다. 공격팀 아이들도 수비팀을을 공격할 수 있다는 것!!!

 

이 놀이를 통해 아이들이 온몸을 다해 적극적으로 참여했다고 말한다. 아이들게 용기를 주고 혼자가 아닌 여럿이 함께 협동하는 기쁨을 알게 해준다. 

 

학교에서 이런 놀이를 하면 아이들이 참 재미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싸우고 갈등도 벌어질 수도 있지만 정말 협동심과 용기 재미가 조화가 되어 스트레스가 확 날아가겠지? 


놀이 속에서 온갖 상황이 벌어지고 아이들은 그 속에서 온갖 감정을 쏟아낸다. 아이들이 느끼는 미움, 질투, 화 시기심, 좌절, 슬픔이 놀이를 통해 드러난다. 이런 감정들도 잘 다독이면 마음을 단단하게 해주는 힘이 된다. 중요한 건 놀다가 싸우고 갈등하는 순간이 바로 아이들이 관계 맺기 기술을 터들할 수 있는 기회라는 점이다. 


요즘 잘해야 하는 것이 참 많다. 

이 많은 것을 하기 위해 학원을 다닌다.

옆집 아이도 윗집 아이도 모두 학원으로 향하는 요즈음

 

<<잘 노는 애, 안 노는 애, 못 노는 애>>

엄마들이 읽어보면 참 좋을 책이다. 

 


논다는 것은 함께한다는 의미이다. 

놀이라는 산소를 마시고 숨 쉬고 싶다는 아이들의 목소리를귀 기울여 주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