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윈 할아버지의 진화 이야기 보고 또 보는 과학 그림책
파올라 비탈레 지음, 로사나 부쉬 그림, 강영옥 옮김, 윤소영 감수 / 아름다운사람들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윈의 할아버지의 진화 이야기>>


그림을 보면 

도대체 무슨 그림인지...ㅋㅋ

'나는 자라서 무엇이 될까?'로 이 이야기는 시작된다. 

무엇일까? 궁금증이 더해간다.

아가미가 있고,

폐가 있고,

입을 쩍 벌린 모습이고,

물갈퀴가 있고,

깃털이 보이고

.....도대체 뭘까?????







드디어 세상 밖으로 나왔다.  


대박!!!!사람이었다. 이런.... 몰랐다는.....

사람은 포유류. 인간은 작은 수정란에서 아기로 자라는 동안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의 특징이 나타나기도 한다. 

와우------몰랐다. 이런 사실을 몰랐다. 

세상에 나오는 모든 아기는

어류에서 양서류, 파충류, 포유류로 진화한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다고 한다. 

 

1859년 다윈 할아버지 <<종의 기원>>에서 자연 선택설 이란? 

약 40억년 전 지구를 덮은 바닷물 속에서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진 단순한 생명체가 나타났고 생물은 계속 변화 왔다. 자연환경에 적응하는생물은 살아 남고 그러지 못한 생물은 사라졌다.  


'진화론'을 뒷받침 하는 증거는?


화석!!!

화석은 지질시대를 살던 생명체의 흔적으로 화석을 연구면 수십억 년 동안 생물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알 수 있다.  


몸의 구조를 통해 본 진화의 증거들!!! 


척추 동물의 배아의 목에는 주름이 몇 개 있다. 물고기 배애에서 이 주름은 아가미가 된다. 사람의 배아에서는 폐가 된다. 

사람의 척추 끝부분에는 엉치뼈와 꼬리뼈가 붙어 있다. 사람 몸에 남아 있는 진화의 흔적이다. 동물들은 꼬리가 있지만 사람은 꼬리가 퇴화되어 엉치뼈와 꼬리뼈만 남은 것이다. 

 

**배아 ---

: 많은 세포로 이루어진 동물의 몸은 처음에 나의 세포에서 시작되었다. 

그 하나의 세포, 수정란이 세포분열을 시작해서 완전한 개체가 되기 전지 단계를 배아라고 한다. 



유전 정보를 통한 진화의 증거!!!


유전 정보는 생물이 몸을 만들고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이다. 

사람은 가장 가까운 친척인 침팬지와 닮은 데가 가장 많다. 하지만 람은 제브라피시 같은 물고기나 예쁜 꼬마선충 같은 벌레와도 닮은 점이 있다. 모든 살아 있는 생물은 사람과 유연한 관계가 있다고 한다. 




많은 시간과 진화의 과정을 거쳐 

컴퓨터 앞에 앉아 있는 내가 탄생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