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문에서는 독보적이라고 생각한다. 풍경과 상처를 지나 자전거 여행. 소설 속 김훈의 첫 문장 또한 언제나 멋지다. “자전거를 타고 저어갈 때, 세상의 길들은 몸속으로 들어온다.(...) 흘러오고 흘러가는 길 위에서 몸은 한없이 열리고, 열린 몸이 다시 몸을 이끌고 나아간다. 구르는 바퀴 위에서, 몸은 낡은 시간의 몸이 아니고 현재의 몸이다.“ 언어로 그림을 그린다고 하더니 맞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젊은 시절에는 법정스님의 책을 많이 읽었다. 스님의 독거가 청정이 부러웠다. 열반 하셨을 때에는 송광사 까지 가서 참배하고 마지막 인사도 한 사이(?) 하여튼 스님의 날카로움은 언제나 눈 부셨다. 꽃잎이 떨어져도 꽃은 지지 않네. 제목처럼 이제 두분은 이 세상에 없는 계절이지만 우리는 여전히 다시 만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읽는 동안 기분이 안 좋았다. 젊은 시인의 감수성이 말살 당했던 시절. 서시가 詩가 아닌 시집의 서문이었다는 사실.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얼마나 선비적이고 동주 다운가? 책을 사면 박준 시인의 음성으로 동주시인의 詩를 들을 수 있는 혜택이 좋았다. 책을 읽으면 일본이라는 나라,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된다. 문학청년을 어찌 해 보겠다고 용쓰는 일본이나 같이 동조하던 조선의 지식인이나 다 똑 같이 분노게이지 상승시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금 통속적이긴해도 좋았다. 절친들에게 책을 선물했고, 사인회를 기다렸다. 다 읽은 친구, 봄 만 읽은 친구들이 남해와 밀양 진영에서 창원으로 오기로 했다. 우 ~~ 이런일이....행사는 잠정연기 되었고, 그래도 작가님이 친구들의 이름을 보내주면 사인을 해서 보내겠노라고 하였지만, 책이 다 있으므로 그럴필요는 없었다. 붉은 사랑을 위해서는 기다리는 일 또한 이토록 붉어야 하는가? 5월을 붉게 물들인 인연이라는 성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는 왜 울고 있는냐, 나는 해 뜨기 전에 그를 세 번 부인했다는 사실이 세상에 알려질까 두려워 울고 있습니다. 너는 왜 울고 있느냐, 나는 겉엔 노란 옷을 입고, 속엔 검은 옷을 입고 있었다는 사실이 너무 창피해서 울고 있습니다. 너는 언제까지 울려 하느냐, 나는 내가 그에게 내뱉은 그 많은 욕들이 한 글자도 빠짐없이 내 귓구멍 속으로 다시 들어올 때까지 울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