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에 의하면 불안정 애착에서 획득된 안정 애착이 된 이들은 그 이유로 긍정적인 관계경험과 자기성찰 등을 꼽았다. 그동안의 경험을 비추어볼 때나의 생각 또한 다르지 않다. 애착유형과 내적작동모델은 바뀔 수 있다. 당신이 배우자, 친구, 자녀, 스승, 상담가, 지지그룹, 초월적 존재 등인생에서 ‘의미 있는 누구significant other‘를 만나 교정적인 관계를 경험하고, 자기성찰과 자기친절의 훈련을 통해 ‘내면의 벗inner friend‘이 되어준다면 우리는 자신의 애착유형을 바꿔갈 수 있다. 상처의 대물림을 끊어낼 수 있다. - P116

도대체 이들은 무엇이 다르기에 비슷한 환경에서도 이렇게 성장할 수 있었는지에 주목하게 되었다. 이들에게 있는 공통점은 바로 조부모, 친척, 성직자, 교사, 친구 등 주변 인물가운데 누군가 아들을 사랑해 주고 지지해 주었다는 점이다. 불안정 애자유형이었지만 누군가와의 만남을 통해 애착유형이 변화된 것이다.
이를 감동적으로 잘 풀어낸 소설이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이다. 이 - P117

흔히 청춘이 인생의 절정이고 이후 나이 들수록쇠락해간다는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다. 마치 인생의 행복이.  자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정점이 일찍 찾아온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여러 행복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면 반대로 40대 후반과 50대 초반에 최저점에 도달했다가 쉰 살 이후부터 점점 행복해지는 U자 모양의 곡선이 나타난다.
어떻게 쉰 살이 넘을수록 행복해질 수 있을까? 가장 큰 이유는 자기수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젊을수록 우리는 다양한 자신의 모습을 인정하지 않고 ‘나는 이런 사람이어야 한다‘는 특정한 자아상에 집착한다.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자신을 받아들인다. 그것은 자신이 마음에 들어서가 아니다. 마음에 드는 나도 마음에 안 드는 나도 모두자신임을 인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자기를 받아들이게 되면 내적평화와 함께 삶의 변화가 시작된다. - P1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요한 것은, 뜻대로 하는 것이 아니라 뜻대로 되지 않을 때 다시 하는 것이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일치도 분열도 아니다. 통합일 뿐이다.자기 돌봄이란 바로 자기의 모든 부분과 관계를 맺고 연대해 나가는 것이다. - P87

"이 제안의 핵심은 당신의 문제와 당신이라는 존재를 분리해 보자는것이다.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 원래부터 그랬다고 하지 말고 왜 그렇게 되었는지 생각해 보자. - P9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느티나무에서 느티샘과 아이들이 함께 희망을 만들어 가는 이야기이다. 느티샘은 마을 사람들과 함께 500년을 함께 살았고 사람으로 변하여 사람들을 돌보며 더 어리고 힘든 사람들을 보살피고 돌본다. 느티나무 앞에 그 사람들이 서면 문이 열리는 게 환상적이고 큰나무 앞에 서면 나에게도 열릴 것만 같은 상상을 한다. 느티나무 샘의 돌봄만이 아니라 아이들은 서로를 돌보고 함께 살아가는 힘을 찾아간다. 이 글을 읽으면서 BTS의 ˝ Not today˝ 도 들어보고쿨레칸 춤 영상도 다시 보게 된다.
어린 나무들이 어느새 가시를 숨기고 어른 나무가 되어가는 것이 다시금 다가옴다. 이 다채로운 숲의 일원이라는 것이 나도 자랑스럽다.
BTS 도 이책을 읽어보면 좋겠다.^^

가시투성이였던 어린나무 역시 어느새 가시를 숨기고 어른 나무가 되어 간다. 이 다채로운 숲의 일원이라는 것이 자랑스럽고 행복하다. 희망은 언제나 가장 낮은 자리에서 슬픔과 절망을 거름 삼아 싹을 틔운다. - P2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후위기라는 말로는 부족해 모든 생명들에게 닥친 위기지이며 그 위기를 막기에 늦었다는 걸 알면서도 아무것도 하지 않아
"웰까요?"
"지금 누리는 것들을 빼앗기기 싫어서 곧 닥칠 위험에 눈감는 거지."
- P175

우리는 오래 살아남기 위해 누군가에게 일방적으로 기대거나 일방적으로 빼앗기보다 서로 필요한 것을 주고받으며 살아왔다. 위기가 닥치면 나 이외의 존재에게 더 집중하고 살핀다. 위기일수록 이웃과의 협력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내가 경험한 바로는 사람들만큼 슬기롭고 이타적인 존재는 드물다. 내게는 그것만이 희망이다.
나는 내 자신과 이웃들을 위해 숲을 되살릴 날을 꿈꾼다. 다행히 내게는 슬기로운 친구들이 있다. 나는 그들과 손을 잡았다. - P18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 누구도 그런 기적은 만들지 못해. 다만 기도하는 그마음이 힘을 발휘하는 거지." - P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