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아이들의 삶에 영향력 있는 교사까지는 아니더라도 아이들과 삶을 나누고 싶다. 교사로서 나의 삶에 의미를 부여해야겠다. 기록해야겠다.

P32
<희망의 심리학>책을 쓴 김현수 교수님은 ‘최고가 되려니하라‘고 권합니다. 그저 자신이 잘하는 것을 주겠다는 새가을 도우면 마음에 여유가 생깁니다. 훨씬 더 자신에게 관대해지..
워지면 더 진실하고 정직하게 아이들과 마음을 나눌 수 있게 될 거그가 되려는 목표를 수정겠다는 생각으로 아이들게 관대해지고 자유로눌 수 있게 될 것입니다.

P37
무엇보다 황금의 3일 동안은 지시대로따르지 않는 학생들보다 지시대로 따르는 아이들에게 집중해야 합니다. 황금의 3일, 기억해야 할 8개의 칭찬 포인트를 꼭 기억해 주세요.

"모든 훌륭한 교사가 같은 교육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내가 느낀 훌륭한 교사들의 공통점 하나는 강렬한 개인적 정체성이 그 수업에 배어들어 있었다는 것이다."
- 파커 파머 <가르칠 수 있는 용기>

다른 사람의 지적으로 달라지는 교사는 거의 없습니다. 학급운영이나 수업을 볼 때 가장 중요한 건 ‘학급운영이나 수업을 하고 난 후 본인의 생각을 놓치지 않는 것입니다.

P343
아이들은 본능적으로 선생님이 나의 삶에 관심이 있는지, 없는지를 알아차린다고 합니다. 그저 아이들과 잘 지내는 게 목표가 아니라 아이들의 삶에 영향력 있는 교사로 성장하고 싶다면, 아이들에게 가르치려 하기 이전에 나 자신의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작업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864
슬픔은 누군가의 마음을 여는 가장 훌륭한 도구였고, 조는 자기에 들어갈 준비가 거의 되어 있었다.

P918
그런 질문을 할 수 있을 만큼 철이 들면 진정한 대단다.
들일 수 있겠지요. 난 아이의 머릿속에 생각을 집어넣는 게 ..
라 이미 있는 생각을 펼칠 수 있게 도와주는 것뿐이에요. 이 아이들은 우리보다 더 현명해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kp0417 2020-07-28 02: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시 읽어보고 싶네요
 

저변 탁아소에서 일하다가 긴축 재정의 시대에 보육사로 일하는 브래디 미카코의 이야기, 거기서 만난 사람들. 아이들, 그들의 부모 이야기이다. 영국의 현실은 긴축재정의 시대가 오면서 더 어두워졌다.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이 더 일어설 수가 없게 되었으며 계급이 더 눈에 띄게 나뉘어져서 서로의 계급이 만날 수 있는 일이 더 없어졌다. 가장 큰 차이는 저변 탁아소 시대에는 있고 긴축재정 시대에 없는 것. 바로 존엄이다.
가난하게 살아가지만 그들에게 세상에서 돈으로 대우해주 않는 재능을 가지고 있고 인간답게 살 권리가 있다. 우리 나라도 마찬가지다. 자본주의 사회가 다 마찬가지겠지. 최근에 읽은 한계레21 기사도 생각난다. 영구 임대 아파트에 사는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가 잘사는 도시 한가운데 섬처럼 작은 학교로 되는 것처럼 그 안에서 잘사는 아이 가난한 아이들이 만날 지점이 점점 더 없어진다.
가장 낮은 곳에 땅바닥 진창에 발 딛고 서서 똑바로 보는 것, 그리고 거기에서 장미꽃을 피우는 것에 함께하고 싶다. 애니가 자원봉사자를 구성하는 것도 새로웠다. 자격이 있고 경험이 풍부한 사람1, 아이돌봄 과정에 있는 학생1, 그냥 놔둬도 되는 사람1, 문제가 있는 사람 1이라니. 생각해보지 못한 것이었으며 문제가 있는 사람이 자신에게나 다른 사람에게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보게 되었다.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보든 웃을 수 있으면 진 것이 아니다. KEEP ON SMILING.

P270
분명히 어떤 재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장애나 정신거가문제로 세상에 나가 그 재능을 돈으로 바꿀 수 없는 아줌마들,
이다. 이들은 모두 독신으로, 혼자 살거나 나이 든 부모와 동거하는데 외모에도 그다지 신경 쓰지 않기 때문에 자기 나이보다.
더 들어 보이는 경우가 많아서 ‘45세 처녀‘라든가 ‘수염 난 할머니‘ 같은 별명을 가지고 있다. 술과 약물, 섹스에 빠져 아이를줄줄이 낳아 정부 보조금으로 사는 여성들과는 또 다른 종류의하층 계급 여성이라 하겠다.
그러나 이 센터 같은 자선단체는 이런 여성들의 능력 덕분에운영할 수 있는 측면도 있다. 어떤 사람은 요리에 대단한 수완을발휘하고, 또 어떤 사람은 영국인 주제에 뛰어난 계산 능력을가졌으며, 전문 사진작가 뺨치게 사진을 잘 찍는 아줌마‘도 있고, 말도 안 되게 그림을 잘 그리는 사람도 있다.
"힘을 가진 사람을 세상은 그냥 내버려두지 않는다."
이는 이전 직장 상사가 입버릇처럼 하던 말이다. 하지만 여기서는 엄청난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세상의 한구석에서 먼지를뒤집어쓴 채 잊혀가고 있다.

P278
똑같은 썩은 현실이 몇 번이고 몇 번이고 반복되는 밑바닥 사회. 하지만 썩어빠진 하층 계급의 일상이 반복되는 가운데도 기도는 있다. 몹시 어려운 일이지만 계속해서 그렇게 생각하고 그렇게 되도록 노력하다 보면 문득 그렇게 되어 있다. 로자리는 그기도를 완성하기 위해 이리로 돌아왔음이 분명하다.

P321
정치에 대한 내 관심은 모두 탁아소에서 비롯했다. 사회 밑바닥의 진창에 두 발을 디딘 채 신문을 읽고 뉴스를 보고 책을 읽기 시작하자 내 눈에는 지금까지와 전혀 다른 것들이 보였다.
정치란 토론하는 것도 사고하는 것도 아니다. 살아가는 것이며 생활하는 것이다. 그렇다. 이는 내가 탁아소에서 몸소 경험하고 느낀 것이다. 탁아소에서 만난 다양한 사람들은 말 그대로 정치 때문에 살기도 하고, 고통을 겪기도 하고, 도움을 받거나 배를 굶기도 했다.

P323
거기서 없어진 것이 무엇인지 분명히 알게 되었다. 없어진 것, 그것이야말로 그곳에 있었던 것이다.
그것은 아나키즘이라 불린 ‘존엄성‘이었다. 아나키즘이야말로 존엄성이었다. 서양에서는 존엄성을 장미꽃에 자주 비유하는데, 아나키즘이라는 존엄성은 천국에 피는 아름다운 꽃도, 온실에서 꺼내면 말라비틀어지는 연약한 꽃도 아니다. 그것은 땅바닥의 진창에서 수분을 흡수하고, 햇빛을 받지 못하는 가장 열악한 토양에서도 당돌하게 통통한 꽃을 피워내는 장미다.
지금 세상은 커다란 전환기를 맞고 있다고들 한다. "하나의 시대가 끝나기 시작했다" 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 변화의징후를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곳은 언제나 가장 낮은 곳이다.

P323
저변 탁아소와 긴축 탁아소는 땅바닥과 정치학을 이어주는장소였다. 그런 장소가 특정한 곳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온 천지에 발에 채일 정도로 많이 굴러다니고 있다는 걸 지금의 나는알고 있다.
땅바닥에는 정치가 굴러다니고 있다.
2017년 2월브래디 미카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151비정규직, 저임금 불안정, 미래가 없는 노동 형태를 견디지 못하고 결국 군대에 취직했다는 것이다.
가난한 거리의 청년이 군대에 가는 것은 흔한 일이다. 빈민가사람들 가운데 가족과 이웃 중에 군인이 있어 열렬히 군대를 지지하는 경우가 많고, 노동자 계급을 지지 기반으로 하는 우익 정당의 지지율이 상승하는 것의 배경에는 이런 사정이 있다.

P194
아이 맡길 곳이 없어서 밤 근무는 못 한다고 소개해준 일을거절했더니 4주간 생활보호 정지라는 거야."
잭의 어머니가 말했다. 직업안정소가 제재를 남발한다는 것은 보수당 정권하의 하층 계급 사회에서는 이미 유명한 이야기였다.
‘이 녀석은 제대로 일자리를 찾지 않고 일할 생각도 없어 보인다‘라고 자기들 나름대로 판단을 해버리면 ‘복지‘가 독단으로실업보험과 사회보험 급여를 일정 기간 정지시킨다.

P196
"복지‘가 제재를 남발하니까, 문자 그대로 하루하루 밥을 못먹는 사람이 늘었어. 그러니까 푸드 뱅크가 온 나라에 필요하게됐지. 정부는 ‘푸드 뱅크는 사회의 일부’라고까지 하질 않나. 도대체 어떤 사회를 만들고 싶은 건지."

P209
웃을 수 있는 한우리는 진 것이 아니다.
KEEP ON SMILIN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45
학대나 양육 포기 같은 불행한 상황은 일반적으로 닫힌 공간에서 일어난다. 따라서 영유아가 있는 가정은 고립시켜서는 안된다. 이것은 유아 교육의 기본이다.

P45
빈곤한 사람들이 얼마나 도덕적으로’결핍되어 있는지가 아니다. 그들을 만들어낸 사회제도에 얼마나 도덕이 결핍되어 있는지다"라고 썼다.

P65
노동당 정권이 유아 교육 개혁을 시작한 이유는 하층 계급 유아에 비해 상류층 유아의 발육이 너무 빨라 취학 연령이 되었을때 두 계층 사이에 나타나는 ‘발육의 격차‘를 시정하기 위해서였다.

P6
가난한 아이들을 위로 올려주려 했던 몬테소리의 교육법이 가진 자들을 더욱 앞서 나가게 하는 엘리트 양성법으로 변해버렸다. 금전의 유무와 상관없어야 하는 것도 전부 돈이라는 한 방향
‘으로 수렴되는 자본주의의 법칙은 여기서도 활개를 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