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스펠
이마무라 마사히로 지음, 구수영 옮김 / 내친구의서재 / 2025년 9월
평점 :
이마무라마사히로 일본소설추천 오컬트미스터리소설 디스펠 서평 내친구의서재출간

오늘 읽은 책은 내친구의서재에서 출간된 이마무라 마사히로 작가의 디스펠.
이마무라 마사히로는 내게 ‘특수설정 미스터리’의 재미를 처음 알게 해준 작가다. 뒤늦게 미스터리에 입문하면서 비교적 초반부에 읽게 된 시인장의 살인을 비롯한 그의 작품들때문에 사회파보다는 본격미스터리에 더 빠져들게 되었고 아직도 내 책장에는 이마무라마사히로의 시인장, 마안갑, 흉인저 세권이 나란히 꼽혀있다.
디스펠을 읽고 느낀 가장 큰 놀라움은, 그가 이번에는 ‘호러 오컬트 미스터리’라는 장르의 가능성을 새롭게 열어 보였다는 점이었다.
호러 미스터리 장르라고 하면 대표적으로 미쓰다 신조, 사와무라 이치 등 일본에서는 이미 어느정도 궤도에 오른 장르지만 그간의 호러 미스터리는 호러가 7에 추리파트가 3 정도의 비중으로 호러에 더욱 집중된 형태를 하고 있었는데 이번 작품은 정확히 5대5로 균형이 잡힌 채 이야기가 전개되어 새로운 장르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 처럼 느껴졌다. 이 작품을 통해 미스터리와 오컬트가 어떻게 충돌하고, 또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지를 경험했다. 이마무라마사히로라는 작가가 내게 ‘미스터리 장르의 확장’을 직접 보여준 것.
소설 디스펠의 이야기의 여름방학이 끝난 작은 시골 마을의 초등학교, 그리고 그곳에서 발행되는 벽신문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오컬트에 심취한 유스케, 현실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를 중시하는 사쓰키, 그리고 그 둘의 중심을 잡아주며 현실과 오컬트의 균형을 맞추는 미나라는 세 초등학생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겉으로는 단순한 ‘마을의 7대 불가사의 조사’지만, 그 속에는 1년 전 일어난 살인사건이라는 미스터리가 숨겨져 있다.
흥미로운 점은 세 초딩이 괴담을 추적하는 방식이다.
유스케는 늘 괴이의 개입을 가설로 세우고, 사쓰키는 거기에 대응하는 현실적 설명을 내놓는다. 미나는 두 사람의 추리대결의 심판을 보며 균형을 잡는다. 이렇게 세명이 만들어내는 7대 불가사의에 대한 추리대결은 단순한 공포가 아니라 본격 미스터리가 된다.
특히 인상 깊었던 것은 호러가 먼저 오고 추리가 뒤따르는 기존 호러 서사의 공식에서 벗어나, 공포와 추리가 같은 속도로 진행된다는 점이다. 괴담을 단순한 오컬트 적 요소가 아니라 추리로 읽어내고, 공포를 단순히 체험하는 것이 아니라 검증의 대상으로 삼는 방식은 익숙하면서도 신선했다.
터널, 폐허가 된 종교시설, 우물 등 낡고 기묘한 장소들이 등장할 때마다 으스스한 공포는 분명 존재하지만, 동시에 인물들의 치밀한 추리가 이어져 나 역시 미스터리에 숨겨진 진실이 무엇인지 추리하게 만든다.
또한 주인공들이 초등학생이라는 설정은 이야기에 독특한 제약과 리얼리티를 부여한다. 어른이라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CCTV 기록이나 경찰 자료, 혹은 이동 수단조차 이 아이들에게는 닿을 수 없는 세계다. 물론 돕는 경찰인 소꿉친구(?)가 있지만 그의 도움은 몹시 제한적이다. 그래서 그들은 오직 관찰과 상상, 상호 검증만으로 사건의 진실에 다가가야 한다. 사고능력은 이미 성인인 나를 넘어섰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인공들이 초등학생이라는 설정은 무척 신선하고 재미있었다.
소설 디스펠은 호러와 미스터리가 서로 애매하게 섞이는 장르가 아니라, 완벽하게 서로를 보완하며 새로운 긴장과 재미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말한다. 이마무라 마사히로는 내게 특수설정 미스터리의 매력을 알려준 작가였고, 기존에도 작품속에 괴이를 무척 잘 활용하는 작가였지만 오히려 논리적 추리가 8, 괴이가 2였던 어찌보면 리버스미스다 신조처럼 느껴지는 그의 작품 시인장 시리즈에 비해 오컬트와 논리가 정확히 5대5로 균형잡힌 작품은 전혀 새로운 독서경험을 하게 해 주었다.
오컬트 vs 현실 그 자체가 추리 요소가 되는 절묘한 균형감각의 호러미스터리소설 디스펠, 완벽하게 닫힌 결말이지만 또 후속작의 가능성이 열려있는 만큼 이 작품도 후속작으로 돌아오길 간절하게 바라며, 읽는 동안 남은 페이지가 줄어들어가는 것이 아쉽게 느껴졌던 작품 디스펠을 꼭 한번 읽어보길 추천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