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선 - 뱃님 오시는 날
요시무라 아키라 지음, 송영경 옮김 / 북로드 / 2025년 1월
평점 :

일본 기록문학의 대가라 불리는 요시무라 아키라 작가의 파선 - 뱃님 오시는 날을 읽었습니다.
소설 파선은 열일곱가구 백명남짓한 인원들이 살아가는 작은 어촌 마을을 배경으로 지독히 먹고 살기 힘든 에도시대 민초들의 삶을 묘사합니다.
사실 이 책을 읽기 전에는 약간은 오컬트적인 내용을 예상했었습니다.
밀폐된 어촌 마을에 뱃님이 내려오고 마을 주민들의 기묘한 주술의식과 폐쇄성이 어우러져 그려나가는 호러소설을요.
하지만 실제로 읽게 된 소설 파선은 기록문학의 대가라는 저자의 명성에 걸맞게 오컬트적인 요소를 배제하고 당시의 삶의 형태를 담백하고 건조한 문체로 세밀하게 표현합니다.
그리고 실체없는 저주나 귀신이 아닌 가진 것 없이 추운 겨울과 기근을 살아나가야 하는 마을 사람들 앞에 닥친 현실이 주는 공포를 생생하게 묘사합니다.
이 소설 한편으로 에도시대를 살아가는 어촌 마을 주민의 일생을 체험한 것 같은 착각이 들 정도로 소설 파선은 가난과 배고픔을 현실적으로 표현합니다.
긴조는 병이 악화되면서 식욕을 잃었고 죽기 며칠 전부터 가족들은 긴조에게 물만 주었다. 이처럼 죽음이라는 운명이 정해진 자에게 음식을 나눠주는 가족은 없다. p7
"오늘 떠난 고인처럼 먹고 살려는 가족에게 버려지는 죽음을 맞이하고 싶지는 않아."p9
마을 사람들이 죽은 사람을 대하는 방식부터 입을 덜기 위해 갓난아기를 죽이는 풍습까지요.
당시의 화장 장례 문화로 시대상에 몰입을 더 한 후 소설은 뱃님을 부르는 마을의 풍습을 보여줍니다.
뱃님은 어촌 마을로 흘러들어오는 난파선을 뜻하는데 마을 주민들은 난파선을 유인하기 위해 바다가 어지러운 날 밤, 소급굽기를 하며 위기에 빠진 배를 현혹시키는 등의 기원을 행합니다.
애를 밴 여자를 배에 태우는 것은 풍어를 기원하는 일이고, 새끼줄을 물에 던지는 것은 지나가는 배가 마을 앞에 있는 암초에 부딪혀 망가지기를 바라는 마음을 표현하는 행위다. p28
이 풍습부터가 근원적인 공포를 불러 일으키는데 위기에 처한 타인의 희망을 이용하는 행위 자체가 에도시대가 아닌 현대를 살아가는 제게는 무척이나 기이하고 음습하게 느껴졌기 때문입니다.
소설은 뱃님이 오는 시기인 겨울을 아무 수확없이 보내고 다음해를 맞아 흘러갑니다.
마을 주민들은 소금굽기를 멈추고 정어리를 잡고 또 오징어를 잡고 그 다음에는 꽁치를 잡으며 다가올 겨울을 기다립니다.
특히 꽁치를 잡는 법에 대한 설명이 매우 자세한데 이 또한 이미 등장인물들의 삶에 깊이 몰입한 제게는 또 하나의 재미로 다가옵니다.
그리고 이 들의 삶에 동화되다보면 어느새 사악해보이던 뱃님을 부르는 의식도 그들이 어쩔 수 없이 살아남기 위해 행하는 삶의 방편으로까지 느껴지기 시작합니다.
"바다에 빠져 죽은 사람이 세 명, 배 안에는 부상당한 남자까지 합해서 네 명이 있었는데 한 명도 남김없이 때려죽였다."
"반항하지 않았어요?"
"처음부터 반항할 기색은 없었고 목숨을 구걸했다더라." p125
그리고 그 때 소설 파선은 다시 한번 뱃님을 기다리는 어촌 주민들의 광기를 보여주며 공포를 불러일으킵니다.
어느 날 그 들이 간절히 기다리던 뱃님이 찾아오고 난파선 안에서 붉은 옷을 입은 채 죽어있는 시체들이 발견 되자 마을에는 진정한 의미의 재앙이 찾아옵니다.
소설 파선 - 뱃님 오시는 날은 요시무라 아키라 작가가 왜 기록문학의 대가라 불리는 지 알게 해준 작품입니다. 일체의 과장이나 감성에 호소하는 표현 없이 담백하고 건조하게 써내려간 글은 기록문학만이 줄 수 있는 현실이 줄 수 있는 공포를 극한으로 보여줍니다.
인과응보를 말하하면서도 업 역시 모두에게 공평하게 돌아가지 않는다는 현실적인 마무리까지, 가난과 배고픔 그리고 생존을 위한 광기를 생생하게 표현한 일본공포소설 파선 - 뱃님 오시는 날을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