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하게 헌책 세계에 빠져들기 전, 회사원 시절부터 책은 자주 읽었다. 가장 많이 읽은 기록은 연간 3백30권이었다. 통근 전철 안에서 오고 가는 길에 1백 페이지를 읽고 남은페이지는 카페에 들어가 다 읽었다. 이즈음은 책을 사면 읽는유형이었다. 하지만 헌책방에 드나들고 ‘한상자 헌책시장‘ 등에서 책을 팔면서 읽지도 않고 파는 책이 많아졌다. 그가 헌책방이 밀집된 주오센 주변에 살았던 게 불행의 시작이었을까. 그는 책을 사는 일이 바빠져 요즘은 연간 30권도 겨우 읽어요. 라며 웃는다. - P139
그저 정말 필요한 5백 권, 피와 살이 되는 5백 권만 지니고 있었다. 시노다하지메가 말하는 ‘5백 권의 가치‘는 이랬다.
책 5백 권이란 칠칠치 못하다거나 공부가 부족하다는 것과는 다르다. 어지간한 금욕과 단념이 없으면 실현하기 어려운 일이다. 이를 실행하려면 보통 정신력으로는 안 된다. 세상 사람들은 하루에 세 권쯤 책을 읽으면 독서가라고 말하는 듯하나, 실은 세 번, 네 번 반복해 읽을 수 있는 책을 한권이라도 더 가진 사람이야말로 올바른 독서가다.
요시다야말로 "그런 사람이었다." 시노다는 덧붙여 "필요할 때마다 자유자재로 열어볼 수 있는 책이 책장에 5백, 6백 권있으면 충분하고, 그 내역이 조금씩 바뀌어야 이른바 진정한 독서가"라고 썼다. 5백, 6백 권이라면 5단 철제 책장 세 개 남짓한분량이다. 앞뒤 두 줄로 꼽지 않고 모든 책등이 보이도록 꼽았을 경우다. 도서관 대출을 염두에 두면 분명 이상적인 권수이며언제든 필요한 책을 찾아낼 수 있는 수치다. 그 책 어디 갔더라,
분명 갖고 있을 텐데, 찾으려 들면 하루가 다 간다니까, 차라리그냥 새책 사는게 빠르지, 하는 웃지 못할 희비극은 연출되지않는다. - P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