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메별, 꽃과 별의 이름을 가진 아이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88
범유진 지음 / 자음과모음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백정의 딸이지만 내도 귀한 백성입니다.

두메별, 인간에게 등급이 있던 시절 두메별은 백정이었다

성씨조차 가질수 없던 백정

두메별의 어머니가 임신했을때 하얗고 작은 꽃이 한가득 피어있고 그꽃이 하늘에서 떨어지는 별과 같다 하여 두메별이라 지었다고 했다

두메별꽃의 또 다른 이름은 백정화이다 아버지는 마음에 들지 않았다 딸인것도 마음에 안들었지만 백정의 딸인걸 누가 몰라 백정화라는 이름으로까지 불려야 하냐는게 이유였지만 크게 반대하지도 않았다

두메별의 오라버니들은 대송 석송 등 송자 돌림이어서 왜 나만 두메별인가 싶어 가끔 때를 쓰곤하지만 어머니의 말씀으론 양반 딸이 시집갈 때 타는 가마 꼭대기에 구슬을 두메별꽃 즉 만천성이라고 좋은 뜻이라고 했다

갑오개혁으로 신분제가 폐지가 되었지만 여전히 차별은 심했다

양반이 아닌 다음에야 다들 비슷비슷한 처지인거 같지만 그들에게도 그들만의 신분제가 따로 있었다 그중 제일 천한게 백정이라고 한다

그렇게 따지면 처음부터 누가 백정을 원해서 하는 사람이 어디있겠는가 힘이 쎄서 한자리 차지해서 머리가 좋아서 먼저 자리를 차지해서 그러다 세월이 흘러내려오고 그게 자리 잡은거고 누군 백정으로 태어나고 싶었겠는가

백정 천민 노천이 없었다면 양반과 왕가의 집안이 존재할수 있었을까 왜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사람들이었는지

백정으로 태어난것도 억울한데 사내가 아니라 기집이라서 더 억울하고 기집이 글은 배워서 어디다 쓸거냐는 말이 가슴에 박히고 얼굴 또한 반반하게 태어나면 그 또한 억울했다

양반집으로 입양이 된 대송 큰 오라버니덕에 형평운동가 춘앵을 만나고 그녀에게 새로운 세상을 배우게 된다 그리고 당당한 한사람이 되기 위해 경성으로 향한다

그 당시의 신여성이라고 외국까지 가서 공부를 하고 온 여성들의 이야기는 많이 봤다 하지만 그뿐이었다

외국에서는 조선에서 온 여성의 대단한점들을 부각시켰는지 모르겠지만 조선에 온 그녀들은 하나같이 아무것도 할수가 없었다 나라에서 받아주는 곳이 없었기 때문이다.

어딘가에서 읽었다 문제점이 많은 곳의 바닥에서 해결하려 노력하면 아무소용이 없다고 문제가 어디에서 생겼는지 위로 거슬러 올라가서 그곳에서부터 바로잡아야 한다고 그것은 백성의 의식이 깨어있었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기집이 배워서 어디쓰는지는 배워봐야 알수 있고 모르는게 마냥 좋지만은 않다는걸 남자도 깨달았어야 하지 않나 싶다 그랬다면 우리가 나라를 뺏기는 설움도 없었을지도 모르지 않았을까

픽션이긴 하지만 두메별이 경성이 아닌 더 멀리 더 높은 곳까지 도달했었기를 빌어본다

나는 언젠가 바다를 건널 것이다.

그때가 되면 희망을 가져다주는 별이 땅에 내려와 작은 꽃을 피울 것이다.

나는 백정의 딸이다.

그러나 누구의 무엇이기 이전에 나는 그저 나다

나는 두메별이다.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