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 있는 자를 수선하기
마일리스 드 케랑갈 지음, 정혜용 옮김 / 열린책들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세 시몽 랭브르와 그의 친구들이 파도를 타러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차량 사고로 인해 사고를 당했다 그중 시몽 랭브르만이 뇌사상태에 빠지게 된다 이 이야기는 1인칭 시점처럼 대사 없이 묵묵히 이야기만을 그려내고 있다

그리고 소생의학과에서 일하고 있는 의사 피에를 레볼의 이야기가 잠깐 펼쳐진다

시몽 랭브르가 병원으로 이송되고 뇌사 판정을 받고 완전한 죽음까지 24시간을 다룬 절박한 심정을 묵묵히 설명하듯 써내려간 이야기이다

시몽이 더 이상 가망이 없음을 판단하고 그의 죽음으로 여러명을 살릴수 있는 기회 이자 여러명의 생명에서 살아갈수 있다는 이야기로 부모를 설득해보지만 장기기증이라는게 막상 나에게 닥치게 되면 쉬운 문제가 되지 않는거 같다 24시간은 생명을 살릴수 있는 길고도 짧은 시간이다 누군가에겐 고민을 하기에 짧을수도 그리고 수술을 하며 기다리는 이들에겐 아주 긴 시간, 죽음을 앞둔 사람에겐 너무도 짧을수도 있겠다

살아 있는 자를 수선하기라는 연극도 있다고 하니 모노 드라마같은 독백 형식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책보단 연극이 훨씬 표현을 하기에 쉽지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살아 있는 자를 수선한다는 제목이 너무 투박하지 않을까 했지만 이 긴박한 순간을 표현하기엔 딱일지도 모를 제목인거 같다

기증을 하겠다는 그 순간부터 아주 세세히 꼼꼼히 우리가 잘 모르는 장기기증의 특수한 상황이 드러났다

쉽지 않은 장기기증에 대한 설명과 그에 대해 선택을 하기 까지 장기이식 코디네이터들의 이야기 등 생명도 소중하지만 어떻게 죽음으로 다른 생명을 어떻게 살리느냐도 아주 소중하다는걸 느끼게 해주는 책이었다.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