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베에서 온 마네트 박사는 프랑스에서 아주 유명한 사람이었지만 아무도 모르게 끌려가서 18년간 감옥살이를 하며 힘겹게 생명을 이어왔다 그 충격으로 박사는 모든걸 다 잃었다 아무런 기억도 나지 않을 정도의 정신이 온전치 못하다 텔슨 은행 직원인 로리는 마네트 박사를 만나기 위해 프랑스로 떠나고 마네트 박사의 딸 루시를 박사와 다시 만나게 해주었다 마네트 박사가 그렇게 끌려간 뒤로 박사의 부인은 루시에게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를 전혀 해주지 않았다 차라리 모르고 사는게 더 낫다고 생각을 했었던거 같다
그렇게 마네트 박사를 데리고 다시 영국으로 돌아와서 루시와 지내면서 차츰 정신을 찾아가고 사랑하는 딸과 행복을 찾는듯했으나 그들에게 찰스 다네이그리고 시드니 카턴이라는 두 남자가 딸 루시를 좋아하게 되면서 이들 가족에게 불행이 스며들게 된다
프랑스에서 귀족집안이긴 한 찰스 다네이는 그런 귀족들이 평민들에게 한 행동과 자신의 뒤롤 돌아보면서 후회와 부끄러움이 밀려와 영국으로 망명하듯 지내게 된다 그러다 그의 집 하인이 감옥에 갇혀 사형위기에 처했다는 소식에 다시 프랑스로 가게 된다 그리고 에브레몽드 후작 집안의 사람이라는 이유로 체포된다
그 당시의 사람들을 살펴보면 민중들은 그저 억압에 억눌린채 귀족들에게 반항한번 하지 못하고 죽이면 죽음을 빼앗으면 빼앗긴채로 억울하면 억울한채로 살아갈수밖에 없었다.
그런 세월들이 점점 늘어남에 따라 혁명이 시작되고 혁명이 시작되면 부끄럽움과 자신의 반성이 있어야 하지만 그렇게 살아온 귀족들은 절대 반성과 후회란 없었다
불합리한 세상이었다는걸 그들은 절대 인정할수 없는거 같았다.
귀족이 탄 마차가 지나가면 그들은 응당 피해야 하는 상황이지만 미처 피하지 못해 그 마차 바퀴에 치여 죽은 아이를 보고 자기 자신도 자식도 돌보지 못해 내가 가는 길에 방해만 된다며 그저 말걱정만 했을 뿐이다
그리고 금화 한닢을 던저 주면 그뿐이었다.
그들은 금화 한닢보다도 못한 사람이라는 듯.
그중에 눈치가 빠른이는 다그친다 그 어린아이가 커봤자 이런 더러운 세상을 되물림 해줄것 밖에 없지 않냐고 그냥 금화 한닢이라도 받는게 낫다고 고통없이 간 아이는 그나마 다행일거라는 말을 하는 자는 마네트 박사가 감옥에서 나온뒤 그의 다락방에서 기거할때 그 집 주인이자 예전 마네트 박사의 예전 하인이었다.
아이의 죽음앞에 몰려든 많은 시민들은 후작에게 한마디 말도 하지 않았고 할수도 없었다.
두 도시 이야기에서 나온 인물들은 귀족 박사 평민까지 그들이 처했던 삶과 생각들을 아주 세세히 설명을 해놓았다.
대혁명에 대해선 잘 모르지만 프랑스 대혁명 볼폐비키 혁명등 자유 억압 평등 사람에 대한 기본권을 주장하고 있다
쥐도 도망갈곳을 두고 몰라는 말이 있듯 서민들이 있어야 왕도 있고 귀족도 있을 것이다 세상에 처음부터 귀족이니 왕이니 이런걸 타고 나는 것도 아니였을 세상인데 그저 그들이 힘이 쎄고 힘쎈자들옆에 붙어서 사는 사람 그리고 힘쎈 자들을 위한 법을 만듦으로써 이렇게 변해왔을 세상인데 뭐가 그리 잘 나서 사람 목숨을 그리 파리 취급하며 사는 것인지...
이 책은 오늘 읽고 내일 읽고 모레 읽는 그때마다 매 순간마다 생각이 달라지게 만드는 책인거 같다
마네트 박사의 일생 그리고 감옥에 갇혀야 했던 이야기 루시와 찰스 다네이의 사랑 그리고 시드니 카턴의 헌신적인 사랑 억눌리며 살아온 프랑스 평민과 과오를 깨닫지 못한 귀족들의 이야기가 한데 어우러진 대서사였다.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