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라디오
남효민 지음 / 인디고(글담)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라디오란...

햇살,바큇살,부챗살 처럼 중심에서 어딘가로 뻗어나가는 '살'

이라는 라틴어에서 유래된 말이다.

비디오때문에 라디오가 죽었다는 노래가삿말에도 있듯 예전엔 진짜 라디오를 많이 들었던거 같다

요즘은 보이는 라디오도 있지만 라디오는 뭐니뭐니 해도 상상하는 재미와 누군가 속삭여주는듯한 조용한 목소리의 DJ 그리고 때에 따른 음악선곡들이다

라디오 중에서 제일 좋았던건 '아름다운 이 아침 김창완입니다 '를 어느 비오는 아침에 들었는데 비소리와 김창완의 목소리가 어우러저 너무 좋아서 비오는 날은 무슨일이 있어도 꼭 그의 목소리를 들었던 기억이 난다

라디오 프로그램 시작에 짧지만 오늘 하루를 아주 잘 표현해 주는 오프닝 멘트 듣는 재미도 있어서 좋지만 요즘은 점점 늘어만 가는 sns와 너튭 등 인터넷 매채로 인해 라디오 듣는 횟수가 줄어드는거 같아 속상할때가 많다

조용하게 라디오 DJ의 목소리와 음악을 듣고 싶어 켰다가도 얼마 못가 휴대폰을 들고 있는 나를 발견하면 씁쓸하기도 하다

그렇지만 라디오의 글쓰는 직업이란 책한권 내는 일하곤 또다른 차원일거 같은데 어떻게 매일 그렇게 글을 쓰냐고 묻는 사람들이 나처럼 많은가 보다

그러면 작가는 어떻게 보고서를 매일 쓸수 있냐고 되려 물어 보고 싶다고 한다 보고서와는 다르다고 생각하지만 자신의 직업이라 생각하는 라디오의 글쓰는 작가입장에서는 그와 같은거라고 보는거 같았다.

짧지만 임팩트 있게 한마디 던지듯 하는 오프닝 멘트 듣기만 해도 작가란 직업이 멋져 보인다 생각했던 때가 있었다.

우리가 다니는 일상 직업에서 처럼 글쓰는 작가의 생명도 그닥 길지 않다고 하지 그 또한 슬프기 그지 없다

40이상 된 작가가 많지 않고 특히나 결혼을 하지 않은 작가 또한 경험타령을 하기 일쑤라고 한다

그럼 그전에 20대부터 30대까지 이런저런 모든 글들은 작가가 경험이 있어서 쓴건 아니지 않은가

내가 라디오 작가와 같은 직장에서 일하고 있는 입장이 아니지만 그래서 라디오는 읽는 내내 공감이 많이 되는 이야기가 있었다.

그래서 제목도 그래서 라디오인가

직장만 방송국 라디오에서 일을 할뿐 우리가 일하는거와 다를바가 없이 느껴지기도 하는건 글쓴이가 공감을 너무 잘하는 글만 쓰는건 아닌가 싶다

학교다닐때 나는 오늘 ~ 로 시작하는 일기를 많이 썼다고 한다

나도 물론 그렇게 일기를 쓰면서 뒷장을 넘기기전 선생님이 나는 오늘 이런거 쓰지 말라했던 기억이 떠올랐고

당연 작가또한 나는 오늘로 시작되는 글은 쓰지말란 이야기를 들었다

나는 그말을 듣고 넣지 않을 생각부터 했지만 작가는 뒤집어 생각해서 내 일기의 주인공은 나이고 일기는 매일쓰는 오늘의 이야기인데 어떻게 나는 오늘이란 글을 빼고 글이 시작될수가 있냐는 글에 대해서 간단(?)히 짧은 글이 또 써지는걸 보고 멋져보인 순간이다.

'나는 오늘'이 내 일기에서 사라지던 그즈음부터

어쩌면 우리는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고,

다수의 기준에서 벗어나지 않으려고 애쓰며 살았는지도 모른다.

누군가에게 무심한척 위로를 던져주기도 하는 라디오가 아무리 시각적 효과가 뛰어난 매체가 늘어난다해도 변함없이 그 자리에 묵묵히 있었으면 좋겠다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