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비로 산다는 것 - 가문과 왕실의 권력 사이 정치적 갈등을 감당해야 했던 운명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0년 10월
평점 :
품절




제목 그대로 <왕비로 산다는 것>이 참 쉬운 일은 아니었다.

조선에서 왕비라고 하면 어린 나이에 시집와서 구중궁궐이라는 문으로 겹겹이 둘러쌓인 깊은 대궐을 말한다고 한다

밖을 나가지 못하는 라푼젤과 뭐가 다를까 싶은생각이다

인생은 길고 왕보다도 오래살던 여인들이 궁궐안에서도 몇군데밖에 갈수 없을 터인데 그마저도 호락호락하지 않은 인생인거 같다. 그런 그들에게 친정쪽이 그들의 눈과 귀가 되기도하지만 조선건국 초기에 왕권 강화를 목적으로 처가를 내친 왕도 있었다

태조 이성계가 조선의 초대 왕이 되지만 조선이 건국되기 전에 생전의 왕비는 꿈도 꾸지 못했던 신의왕후 한씨 그녀는 명성만 남았고 강단 있게 남편의 내조를 잘했지만 적장자가 아닌 막내에게 세자로 책봉된 이후 이방원과의 관계가 틀어지고 그녀또한 자신의 아들이 왕이 되는걸 보지못한채 죽었다.

초반은 격동의 시기라서 그런지 체계를 잡기 위해 부인들과 그 집안들이 꽤 많은 노력을 한게 보였다.

태종 이방원의 부인 고려말 시대 신진 사대부가문인 여흥 민씨 민제의 딸이었던 그녀는 배포도 크고 이방원의 내조 또한 아주 잘했다 그리고 흔들릴때마다 그녀가 잡아줘서 왕이 되기도 했지만 왕이 되고 나자 번해버렸다.

왕권을 잡기 위한다고 하지만 왕으로 옹립하기 위해 그렇게 애썼던 처가식구들을 그리 모질게 내치고 왕비또한 정치적 참여는 물론 후궁문제 조차도 아무것도 할수 없는 처지가 되었다.

태종은 자신의 부인 뿐 아니라 상왕으로 물러났을 때조차 세종의 부인 소헌왕후의 집안까지 몰락을 시켰다.

부인 입장에서는 남편의 정치적인 행보에 그렇게 노력을 했지만 수고했다는 말보단 오히려 억압을 하고 왕권강화라는 명분으로 뒷방으로 물러나거나 집안이 몰락하는 상황을 지켜볼수 밖에 없는 심정은 어땠을까 싶다

여성들이 나서도 앞장서기보단 뒤에서 나설수 밖에 없었던 시기를 따져보니 너무 갑갑한 심정이었다.

태조의 신의 왕후부터 명성왕후까지 그곳이 끝인줄알았지만 조선의 마지막 왕비는 순종의 계비 순정황후 윤씨였다 격동의 시기 안타까운 세월을 버티다 승하했다

조선의 멸망 후 한국전쟁과 그 뒤의 군사 쿠데타까지도 바라볼수 밖에 없었던 안타까운 삶

50명의 왕비가 나온다 대부분 드라마에서 언급이 되었고 드라마로 유명한 왕비도 있는 반면 역사 소개서에서 잠시잠시 자주 나왔던 왕비도 있었다. 아름답게만 살다가는 왕비일거라 생각하지만 조선의 역사를 알면 그것도 잘 아닌걸 안다. 그녀들이 지낸 그 처소의 공간이 바늘방석처럼 얼마나 안절부절하며 지냈을지 안봐도 느껴지는거 같았다.

왕이 되기전 남편을 왕으로 만들기 위해 정치적 동지였던 여인들이 남편이 왕이 되고 나면 뒤도돌아보지 않던 왕에게서 느끼는 감정 그리고 폐위가 될때는 부부로 칭하지만 왕자리에 있을땐 정치적 이념이 다르면 서로를 으르렁 댈수도 있는 사이. 시아버지와 남편 그리고 아들 사이에서 눈치를 봐야만 했던 혜경궁 홍씨까지

삶은 평민에서 왕비까지 다 힘든거 같다.

예전엔 역사 저널을 자주 봤었다 주말만 되면 그 시간이 기다려지고 역사와 더불어 재미있게 설명도 해주던 신병주 교수가 왕과 참모 그리고 왕비까지 책을 냈다고 하니 그다음 역사 이야기는 뭘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