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엔젤의 마지막 토요일
루이스 알베르토 우레아 지음, 심연희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빅 엔젤은 어머니의 장례식장에 지각했다

빅 엔젤은 암세포가 포도송이처럼 여기저기 퍼져서 이제 얼마 살날이 없다는걸 알았다

마지막이 될지 모를 생일을 준비하는 과정에 어머니가 돌아가셨다 생일 일주일 전에 그래서 어머니의 장례식을 일주일 미뤄 생일 전날로 잡았다 한번에 모이기 힘든 가족들을 위해서...

빅 엔젤은 모두의 가장이자 아버지이다

빅 엔젤은 미국인 밑에 일하던 직장에서는 독일인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지각도 게으름도 없는 근면성실해서

멕시코인이 약속을 잘 안지킬거라는 편견을 깬 사람이었다.

그렇지만 지금 그는 다른 일도 아닌 어머니의 장례식장을 지각했다.

빅엔젤에겐 평생 한여자 뿐이었다 페를라!!

그녀는 애가 둘 딸린 이혼녀였다 그는 그 아이들도 같이 포용하며 지냈지만 가부장적인 가정에서 자란 빅엔젤에겐 아이들의 아버지가 되기엔 아는게 너무 없었다. 그저 그가 보아온 아버지 흉내를 내고 단속을 하면 아이들이 따라올줄 알았지만 오히려 역효과만 났을 뿐이다.

어머니의 장례식장에 가기 위해 하나씩 준비 하는 과정에서 빅엔젤은 자신의 과거속으로 유체이탈 하듯 날아갔다

빅엔젤에겐 리틀엔젤이라는 배다른 동생도 있었다. 아버지가 미국여자를 만나서 낳은 배다른 동생 페를로와의 자식들 그리고 그의 먼친척 등

멕시코의 한가정을 책임졌던 모두의 아버지인 빅엔젤의 이야기였지만 읽으면서 왠지 우리네 60년70년대를 엿보는 듯한 기분도 들었다. 엄마의 슬리퍼 등짝도 어쩜 이리 사람사는건 다 똑같은 건지...

병세가 짙어져 얼마 살지 못하는걸 알면서도 움직임조차 내 맘대로 할수 없어 딸에게 의지를 할수 밖에 없는 사실을 너무 슬퍼했지만 늘 유쾌함을 잃지 않으려 노력했고 자신이 죽어가는 순간에도 가족들과의 대화에서 하나하나 엇갈려 있던 고리를 풀던 순간도 유쾌함마저 잃지 않았다

작가의 큰형이 불치병 말기로 마지막을 보내고 있을때 어머니의 장례를 치루었고 그게 형의 생일 전날이라고 했다.

작가 가족의 실제 이야기는 아니지만 그의 가족들의 이야기를 모티브로 하나하나 만들어 나갔다.

때론 하느님이 소설을 주실 때가 있다고 그럴땐 글을 써야 한다고 응원도 듬뿍하면서...

장례식 말기암환자의 이야기를 다뤘지만 유쾌상쾌발랄함을 간직한 멕시코인들의 이야기로 그들의 삶을 한층 엿볼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