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혹한 어머니의 날 1 타우누스 시리즈 9
넬레 노이하우스 지음, 김진아 옮김 / 북로드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넬레 노이하우스 작가의 책은 익히 들어 알고는 있지만 읽어보기는 첨인거 같네요~

독일작가의 책이라면 철학자들이 먼저 생각나면서 으례 좀 딱딱할거 같고~ 그런 이미지가 강해서 좀 지루한건 아닌가 하는 편견을 가지고 있었던건 사실이고 몇몇 독일작가의 책을 읽어보기도 하고 선입견을 가지고 있었던 마음

내가 너무 잘못했네~

이렇게 가독성이 후다닥인 책은....

읽고 있는 도중에도 슬픈 이유는... 2권짜리긴 하지만... 점점 진실에 가까워지면서 책의 끝이 가까워진다는거...

좀더 길게~ 길게 이어졌으면 하지만...

그러면 누군가의 살인이 더 늘어난다는 이야기니까.....

슬퍼도 참아야겠다.

눙물좀 닦고~~~

제목이 참... 그렇죠~~~

어머니의 날이 잔혹하다니

늘 엄마가 나를 찾으러 다시 올거라는 기대로 하루하루를 살고 있는 보육원과 위탁가정의 아이들

동네에서 제일 이쁘다고 하는 여자 아이 노라 바르텔스가 다른 남자아이와 같이 개구리 연못에 보트를 타러 왔다

어른들은 아무도 오지 않는곳이라 몰래 나쁜일 저지르기도 가장 좋은(?)곳 연못

그곳에서 남자가 여자를 물에 빠트리고 그냥 가버렸다

여자는 수영을 할줄 모른다며 도움을 요청했지만 아무도 듣는 이가 없는 곳이다

한 남자 아이만 빼고 ...

구해주는 줄만 알았던 여자의 얼굴을 손으로 밀어 물속으로 넣어버렸다

그게 첫 살인이었을까??

그러고 현시점으로 돌아온다

위탁가정을 했던 테오와 리타 라이펜라트 집

거기서 한 노인이 죽은채 발견됐다 그것도 몇일이 지나서 독거노인의 고독사같은 느낌으로 처리할뻔 했지만....

넓은 마당 뒷편에 개를 가둬놓은 축사에서 뼈가 발견되면서 살인사건에서 연쇄살인사건으로 점점 커졌다

개를 가둬놓은 축사를 파고 마당을 파고 우물을 확인하면서 점점더 많은 시체의 뼈와 시체가 발견되었다

누구의 짓일까??

노인의 죽음으로 인해 이제껏 숨겨왔던 모든 비밀들이 한꺼풀씩 벗겨지고 있다

우물안에서 총을 맞고 숨겨져 있던 리타 라이펜라트는 테오의 부인이다

예전에 자살했다고 나왔던 소문에 비하면 그때부터 아주 오랫동안 꾸준히 진행되어온 살인사건

누가 무슨일로 그랬을까???

조사하는 과정에서 공통점이 발견된게 어머니의 날 기준으로 하루이틀 차이가 날뿐

모두 같은 어머니의 날이다

위탁가정을 꾸리던 라이펜라트의 집에서 끔찍한 일들이 벌어졌다

아이를 아이스박스에 가두고 랩으로 돌돌말고 우물에 넣어놓고 물한병만 준채 몇일을 가둬두는 아주 나쁜쁘고 끔찍한 짓들 그걸 리타 라이펜라트(위탁아이들의 엄마)가 그리고 그걸 따라하는 그중의 우두머리들인 위탁가정의 아이들

"왜 아무도 내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았을까요?

계속 누군가가 계단에서 구르고 나무에서 떨어지는데 아무도 자세히 알려고 하지 않았어요.

오갈데 없는 고아에 어디서도 받아주지 않는 문제아들이었으니까요."

누군가 한명이 아닌 단체의 방관자모드로 입을 굳게 다물뿐이다

그속에서 아이들은.. 상처를 더 받을 뿐이고

거기서 자라 성인이 된 아이들을 한명씩 조사하는 과정에서 왜 그런 끔찍한 일을 겪고도 입을 다물수 밖에 없었는지... 어떻게 해서 살아야만 했었는지...

죽지 않기 위해 나빠질수밖에 없었는지.... 마음이 너무 아팠다

조금만 관심을 가져주고 사랑을 줬다면 그곳이 그렇게 끔찍한 곳이 아닐수도 있었을텐데....

그곳에선 모두가 피해자고 모두가 가해자였다.

이사건 조사와 별개로 또 다른 부모를 찾는 아이가 있다

아무도 알려주지 않은 아버지를 찾기 위해 수소문을 했지만.. 돌아오는 답은.. 충격적이다 친부모가 아닌

입양을 하기 위해 필요했던 서류상 아버지였다는...

친엄마를 다시 찾기 위해 간곳에서 그녀는 이 연쇄살인사건과 어떤 연관성이 생길지...

독일이름이다 보니 이름 읽는거에 약간 힘들긴 하지만... 은근 시간이 얼마 안됐다고 느꼈는데... 페이지수는 엄청 넘어가 있었다 물론 시간도...

2권 중간쯤 넘어가면... 충격적인 이야기들이 후폭풍처럼 몰아치는데 정신이 없다

어떻게 정신을 차려야 할지...

범인일것이라 생각했던 인물은 범인이 아니였고 도대체 범인은....

미스터리 소설에서 범인은 중요하다.. 하지만 이책에서 범인이 누구인가 보다는 범인이 왜 그랬는지...

그리고 모두가 범인일것만 같았던 사람들의 심리가 초점이 맞춰지는거 같다.

한명씩 조사를 하다보면 그들의 내면이 엿보인다

역시 심리스릴러는 독일인가보다 부정을 못하겠네....

모든 일의 시작은 평범하게 아무것도 아닌것부터 시작이 되는거 같다.. 그 자그마한 것부터...

정말 악은 특별하지 않은거 같다 늘 옆에 있으며 언제나 빈틈이 있다 싶음 그 자리를 비집고 들어오는게....

악은 특별하지 않고 항상 인간적이다.

우리와 같은 침대에서 자며 한 식탁에 앉는다.

-W.H. 오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