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성적이지만 말 잘하고 싶습니다
조현지 지음 / 빅마우스 / 2025년 3월
평점 :





#도서를 무상 협찬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
어릴적부터 나는 말을 잘하는 친구들을 보면 너무 부러웠다.
저 친구들은 어떻게 떨지도 않고 저렇게 즐기면서 말을 잘 할 수 있는 것일까.
사실 우리는 태어나면서부터 기질을 가지고 태어난다.
나는 워낙 부끄러움이 많고 소심하며 좋게말하면 신중하고 조용한 기질을 가지고 태어났다.
이 기질은 사실 내 마음대로 변화 시키는 것은 어렵다.
이런 기질을 그래도 물려받은 우리 아들.
아들의 모습을 보면서 내 어릴적 모습이 함께 떠올랐다.
모든 사람들 앞에서 마이크를 들고 내 이야기를 하는 사람이 되라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내가 할말이 있을 때에는 좀 더 조리있게 내 의견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사람으로 성장 했으면 좋겠다.
그래서 나는 < 내성적이지만 말 잘하고 싶습니다 > 도서를 읽기 시작했다.
이도서는 타인에게 잘 보이는 말하기 보다는 자신과의 대화를 통해 말할 자격이 있는 나를 발견하고 당당하게 사람들에게 표현할 수 있는 나를 위한 말하기 훈련가이드이다.
말하기 성장을 위해 이 도서에서는 5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1단계는 내면의 나와 말하는 것, See ( 내면 관찰하기)이다. 멈추고 나를 알아차리는 데 역점을 두었다고 한다.
2단계는 표현을 실행하는 것, Practice (혼자말 실행하기)이다. 먼저 셀프 토크를 통해 말하기를 마스터하도록 유도를 했다.
3단계는 용기 있게 타인과 소통을 시작하는 것, Express(타인에게 표현하기)다. 말하는데 떨리는 마음을 극복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말을 더 잘 할 수 있도록 하는 표현법이다.
4단계는 상황별 말하기 대처법으로, Attention(주의 사로잡기)이다. 숨 막히는 떨림을 흘려보내고 사람들의 주의를 사로잡을 기법과 말하기 스킬들을 정리했다.
5단계는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도구로, 1~4단계를 계속 반복하는 Keep(지속하기)이다. 말하기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도록 단계별 훈련법을 담았다.
책의 저자는 모든 말하기의 기본은 내면 관찰하기부터라고 말을 하고 있다. 그래야 좀 더 나답게, 용기있게 나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내가 가장 많이 와 닿았던 부분은 내면 관찰하기 파트였다.
나라는 존재가 얼마나 귀하고 존재만으로도 빛이나는 나 자신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나를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모든 일의 반응은 내가 선택할 수 있다.
작가의 아들과의 에피소드 이야기는 나와 아이들의 이야기가 겹쳐 보였던 부분이다.
작가의 말대로 나는 분명 내모습을 인지하고 멈출 수 있었다.
그렇지만 내 감정에 내가 멈추지 못하고 조절을 하지 못했던 모습들이 스쳐지나갔다.
생각해보면 내 내면을 내가 잘 살펴보지 못한 탓인 것 같다.
어릴적부터 나는 참는 습관이 참 많았다.
힘들어도 아파도 슬퍼도 스스로 참고 결국 그 감정이 폭발해서
상대가 어리둥절하도록 화를 내뿜는 일이 잦았던 것 같다.
나는 참고 있는 것을 내 자신은 잘 알고 있었지만
주변 사람들은 알지 못했다. 왜냐하면 내가 말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런 사소한 것부터 내 감정이나 느낌을 다른사람에게 표현하는 것부터가 서툴렀던 것이다.
그런 내모습을 인지하고 부터는
스스로 힘들거나 아프면 주변사람들에게 말을 하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나의 내성적인 기질은 참 변화하기가 어렵다.
이런 내모습을 닮은 아이를 볼때면 내가 참 반성을 많이 하게된다.
그래서 더더욱 아이에게 엄마의 감정을 설명해주고 아이의 감정도 내가 잘 알 수 있도록 표현하도록 알려준다.
내가 내 상태를 알고 나를 알고 설명할 때 비로소 나의 말을 상대에게 잘 전달 할 수 있는 것 같다.
바로 어제저녁의 이야기였다.
아이에게 나는 화를 냈고 사실 아이가 잘 못을 한 것은 아니였다.
상대에게 화를 내고 비난할 것인가. 상대를 이해하고 인정해줄 것인가.
아이가 나에게 먼저 말을 해주었다.
"생각해보니 엄마가 화를 낸다고 내가 그렇게까지 반응하는 것은 아니였던 것 같아." 라는 말이
참 미안하고 부끄러웠다.
저자의 이야기 속에서 나는 나의 모습을 발견하고 깨달음을 얻었다.
'내 가슴이 이렇게 뛰는 건 긴장 때문이 아니라 설렘 때문이다.'
아이가 태권도 심사를 보러 간다고 가슴이 뛰고 긴장이 된다고 말 한 적이 있다.
그 때 내가 아이에게 긴장 때문이 아니라 네가 그동안 연습한 노력이 1품으로 너에게 다가올꺼라 설레여서 그런거야라고 말을 해줬더라면 얼마나 더 좋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았다.
다음에 이런 상황이 온다면 나는 아이에게 긴장이아니라 설렘때문이라고 말해주고 싶다.
세번째 단계 타인에게 표현하는 단계에서는
우리는 경계해야할 세가지 마음이 있다고 저자는 이야기한다.
완벽히 하려는마음, 인정받으려는 마음, 내가 뭐라고, 하는 마음..
참.. 경계해야하는 마음을 내가 다 안고 있구나 싶었다.
꿈을 향한 말하기 각도도 참 인상깊었는데.. 말에도 각도가 있다는 말이.. 참 와닿았다.
사실 우리는 긍정적으로 말을 하면 내 삶도 내 마음도 내 주변도 긍정적으로 변화한다고 생각한다.
나또한 그렇게 생각하기에 아이들에게 말이 씨가 된다고 늘 좋은 말을 하도록 이야기를 해준다.
저자는 내가 그리는 이상적인 모습으로 표현의 각도를 1도씩만 변경을 해보자고 말을 한다. 1도씩만 바꾸면 그러다 보면 내가 생각하는 내모습의 말하기에 도달하게 된다는 것이다.
결국 타인에게도 그 뉘앙스가 그대로 스며들게 된다는 이야기였는데..
내 주변에 내가 정말 닮고 싶은 사람이 있다. 그사람은 정말 이야기를 듣고 있는 것만으로도 행복해지고 기분이 좋아지는 사람이다. 그사람을 내가 처음 만난날 나는 알았다. 그사람의 말에는 무언가 특별함이 있다는 것을 말이다.
그사람은 상대방의 이야기를 존중해주고 끝까지 잘 들어준다. 내 이야기를 마치 자기 이야기 인것처럼 호응도 진심으로 해준다. 그리고 자신의 이야기도 과대포장하는 일이 없다. 있는 그대로의 모습 진실된 모습을 그대로 말을 한다.
그사람을 만나고 나도 그렇게 변화하고 싶었다.
나도 1도씩 조금씩 변화하면 그사람과 비슷해질까? :)
< 내성적이지만 말 잘하고 싶습니다.> 도서는 단순히 말을 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서는 아니다.
내 내면을 더 단단히 하고 나답게 잘 말하는 방법에 대한 조언이 담긴 도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