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속, 발기하는 사물들 - 미술과 철학의 공통먹이, 사물 이야기
조광제 지음 / 안티쿠스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읽기가 수월하지 않고 그 안에 쌓인 작가의 내공의 세계를 이해하는 것 역시 만만치 않다. 만만치 않은 것은 우선 제목에서 드러난다. "발기하는 사물들이라니" 드러나는 사물들이나 나타나는 사물들이라고 표현해도 좋을텐데 굳이 발기라는 성적인 암시를 집어넣은 이유는 무엇일까? 도발적인 제목속에  숨겨진 의미는 무엇일까?

내용에 들어가면 더 숨이 막혀온다. 사물을 온갖 사유와 추상의 세계로 재단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아무렇지도 않게 대하는 사물들 가령 꽃, 책, 의자, 핸드폰, 돌..... 그 하나하나에 의미와 생명을 불어넣는 작업은 만만치 않은 것이다. 저자는 왜 이렇게까지 치열한 것일까?

그 이유는 책을 읽어나가면서 조금씩 밝혀진다. 저자는 세잔의 <과일그릇, 유리잔, 사과가 있는 정물>이라는 그림을 보여준다. 그저 평범해 보이는 정물화.... 그러나 저자의 치열한 분석은 무섭기까지 하다. 세잔의 그림은 사물과 사물사이에 가로놓인 색의 경계를 허물어 뜨린다. 빨간 사과위에 덧 입혀진 푸른빛, 그리고 물컵의 투명함을 통과해 뿌려지는 조화로운 색의 배치..... 마찬가지로 세잔의 <대수욕도>라는 여자들이 목욕하는 그림도 마찬가지다. 이 작품에서는 인간과 사물사이에 놓인 경계가 여지없이 무너져 버린다. 작가는 왜 이렇게 사물과 사물, 사물과 인간과의 사이에 놓인 경계를 무너뜨린 것일까? 그것은 저자가 사물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철학적으로 독자들에게 되묻기 위함이다.

우리가 사물이라고 통칭해 부르는 것의 실질적인 실체는 존재하는 것일까? 모든 것은 변한다. 자연도 인간도 영구적일 수 없다. 이러한 존재와 비존재, 영속성과 비영속성에 대한 만만치 않은 삶의 질문을 그림의 화폭속에 담아내 그 행간의 의미를 읽어내리는 저자의 솜씨가 놀랍기만 한다.

그런데 세상은 이처럼 사물과 사물사이의 경계만 허물어지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사물이 이리저리 비틀리고 쪼개지며 분리되기도 한다. 이제 저자는 우리를입체파 화가이ㅡ 대명사인 피카소의 세계로 안내한다.

책에 소개된 피카소의 <아비뇽의 처녀들> <칸바일러의 초상화> <등나무가 있는 정물> 작품을 보면 사물이 여지없이 조각조각 해체되고 인물과 배경의 구분도 무너지며 거기다가 다중적인 시각과 구조를 하나의 화폭에 담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제는 사물의 경계가 무너지는 것에서 더 발전되어 사물이 조각조각나는 세계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천재들은 자고로 우리가 보지 못하는 것을 보았으며 그것을 예술작품속에 녹여 놓았던 것이다.

뒤이어 마르셀 뒤샹 또한 <계단을 내려오는 나부>라는 작품을 통해 사물을 갈기갈기 조각내었다. 계단을 내려오고 있는 나체의 여인의 모습을 형상화한 이 작품에 대해 마르셀 뒤샹은 이렇게 이야기했다고 한다.

"실제 인물이 실제 계단을 내려오는 것인지 아닌지는 알 필요가 없다. 근본적으로 운동을 그림에 삽입한다는 것은 관객의 눈이다"

그림속에 움직이는 운동에 능동적으로 동참하는 것은 바라보는 관객의 몫으로 남겨 놓았다는 말이다. 관객의 참여가 작품의 한 구성이 되는 작품..... 이는 사물과 인간과의 또 다른 조우가 아닐까?

자, 여기서 잠깐 정리를 해 보고 넘어가자. 과연 사물이란 무엇일까? 저자가 그토록 집착한 사물이란 무엇이며 그것과 연계한 미술작품, 철학.... 그 심연의 세계속에서 독자들은 무엇을 발견한 것인가? 그것을 찾기 위해 우리는 다시 처음의 질문으로 되돌아간다. 책 제목이기도 한 <발기하는 사물들>이란 무엇인가? 하고 말이다.

그 답을 찾기 위해 마르셀 뒤샹의 <샘>이라는 화장실의 변기를 그대로 옮겨놓은 작품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변기를 그대로 옮겨 놓다니.... 아니, 그런것도 작품이 되는 것일까?

<샘>이라는 변기의 작품이 이야기하고 있는 것은 아마도 특정 예술작품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역설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왜 우리 주변에 있는 핸드폰, 책상, 의자, 자전거는 작품이 될 수 없는가? 마르셀 뒤샹은 사람들이 우러러보는 작품의 세계를 조롱하면서 동시에 사물의 무너진 경계속에 진정한 예술은 그냥 우리 주변에 있는 평이함일 뿐이라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앤디 워홀의 <이백 개의 캠벨 수프 깡통들>같은 작품에서처럼 대량생산, 대량소비되는 시대속에서도 그 하나하나의 의미에 주목해 보는 것이다. 익명의 버림받은 사물들 또한 똑같은 사물이 아니던가? 그 사물들도 주목받을 때가 있었을 것이다. 수프 깡통들 하나하나 말이다. 그리고 주목받고 있을 때 바로 발기하는 사물들의 시간이었던 것이다. 발기하는 사물들은 결국 우리 주변의 모든 것을 하나하나가 주목받을 수 있는 여지가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기 위한 제목은 아니었을까?

이 어려운 책을 덮으면서 우리가 바라보는 평범한 속에 깃든 비상함에 대해 곰곰히 생각해 보게 된다.



 

 

책ㅇ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