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먼 제국 - 헤로도토스, 사마천, 김부식이 숨긴 역사
박용숙 지음 / 소동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몹시 힘든 책이었다. 어느정도 국사, 세계사, 신화, 풍속등에 대한 기본지식이 깔려있지 않다면 소화해내기 힘든 책이다. 나의 독서이력이 짧은탓인지 모르겠으나, 이 책은 관련 학계에 근무하는 사람들을 위한 준전문가용책처럼 느껴진다. 즉, 일반 대중을 독자로서 고려하고 집필하지 않았다는 느낌이 든다.

그래서 이 책의 신간이  소개된 신문도 인터넷으로 찾아가 읽어보았는데 솔직히, 글을 쓴 기자도 책을 끝까지 읽고 쓴 것인지 조금 의문이 간다. 왜냐하면 기자가 정말 책을 읽었다면 일반인이 읽고 소화해내기에 부담스러울 것이라는 소감도 분명 독자를 위해 고지해 주었으리란 생각에서다. 그것이 기자의 의무가 아닐까?

책 내용이 무슨 말을 하려고하는지 큰 그림은 이해가 될 듯 한데,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자꾸 잡념이 떠 오른다. 본문내용중 20%가까이 생소한 용어로 채운탓이다. 익숙치 않은 용어들을 따라 무대를 한반도에서 중국, 만주, 중동으로 옮겨가고, 시간을 요순임금, 수메르, 히타이트문명등까지 넘나들며 신화에서나 보아오던 길가메쉬와 성서내용까지 차용해서 하는 이야기들은 현기증나기에 딱 알맞다.

그래서 솔직히 아쉽다. 역사책은 사실에 대한 근거가 명확해야 한다. 그래서 그 근거들을 저자가 해박한 지식으로 자세히 설명한 것은 이해하나, 대중의 다수 독자를 염두해 두었다면, 그리하여 조금 더 쉽고 간단한 내용을 가지고, 상세적인 용어를 대폭 삭제한채, 소설적 구성을 가미했다면 참 좋았을 거란 생각이 든다. 그래서 말하자면 전문가판, 일반대중판으로 나누어 두가지 책으로 출판되었더라면 좋았을 것이다. 물론 내 생각일뿐..... 현실은 다르겠지.

어쨌든 아쉬움을 뒤로 하고 책으로 들어가보자.

- 아시아의 역사가 세계사이고 서양사는 변두리 역사다
- 영토, 민족, 주권이라는 근대 역사개념을 벗어나야 고대사의 실체가 보인다
- 샤머니즘은 미신이 아니라 제국을 다스리던 이념이자 정치체계였다.

책의 맨 마지막장을 장식한 문구다. 이 대담한 발상만큼 책 내용은 충격적이다. 충격적이다 못해 사실 믿기지 않는다. 이 책은 오래된 환단고기에 대한 논란의 연장선같은 느낌마저 든다. 환단고기를 허무맹랑한 이야기라고 치부하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그 화려한 고대사를 믿어 의심치 않는 사람도 있는 것처럼 이 책도 그러한 논란거리를 주고 있다.
 

책에 의하면 우리가 신화라고만 생각했던 단군, 박혁거세, 옥황상제등이 모두 실제했던 사실에 기초한 이야기라고 한다. 그 고대사의 중심엔 샤먼이 자리잡고 있다. 그 증거로 전세계 고인돌의 90%가 한반도에 존재한다고 한다. 한반도는 전세계 부도(천문을 연구하기도 하며 샤먼제국을 다스렸던 돔)의 중심이었다. (어쩐지 우리 민족만큼 점술이나 운명에 열광하는 민족이 있을까? 이 또한 유전적 기질인가?)

더 놀라운 사실은 신라가 지금의 경주지방에 위치한 것이 아니라, 그 시작은 지금의 중국본토 땅에서 유래되었다는 사실이다. 신라의 왕을 지칭하는 용어는 태양신과 관계가 있는 말이라고 한다. 또 그 세부적인 역할을 한 것이 마한,진한,변한이라고 한다. 더 나아가 왕검은 그 태생이 중동에서 비롯된다고 하니, 우리역사는 곧 고대 세계역사의 중심지에 다름아닌 것이다.

사실 여부는 책 내용을 제대로 파악조차 못하는 무지한 독자가 논할 바 아니다. 단지, 이러한 책이 불분명한 우리의 고대사를 선명하게 밝혀줄 수 있는 디딤돌의 역할이 되어 주길 기대해본다. 분명 세계사는 문명간 교류를 통해 발전되어 왔을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의 내용이 놀라운 이야기들로 가득찼지만 전혀 신빙성없는 이야기라고 치부하지는 못할 것이다.

쨌거나 이 책은 새로운 역사를 밝히는 계기가 되길 기원해 본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동출판사 2010-09-07 16: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좋은 강연이 있어 소개드리고자 방문했습니다.

진정 우리가 알고있는 역사는 어디에서 왔으며 무엇이 진실인지, 저자의 방대한 사료 및 문헌의 연구와 분석을 통해, 여러분이 가지고있는 의구심을 해소하고 역사관을 재정립해 볼 수있는 시간을 마련하였습니다.
관심있으신분들은 강연장에오셔서 토론의 장을 만들어보는 것 또한 우리가 알고있는 역사에 대한 관점을 진일보 시키는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초청강연]와우북페스티벌 저자와의 만남 - [샤먼제국] - 박용숙

와우북 페스티벌에서 저자와의 만남을 준비하였습니다.
http://blog.daum.net/sodongbook/12
http://blog.daum.net/sodongbook/9


샤먼제국은 지중해에서 시작된 샤먼 제국의 중심세력이 점점 동쪽으로 이동해온 경로와, 그리스 민주주의 이후 헤로도토스, 사마천, 김부식 등이 각국의 이익에 따라 역사를 어떻게 왜곡 서술했는가를 추적한다. 이 책한권으로 동서양 고대사의 얼개를 잡을 수 있음은 몰론, <사기>와<삼국사기> 등 고전도섭렵할 수 있다. 우리 역사와 중국사, 세계사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함께 끝을 알 수 없는 저자의 학문적 깊이, 인문적 상상의 힘을 보여준다.


"한반도 반만년의 역사는 허구다!"
* 샤머니즘, 동서양 고대사를 보는 새로운 시각

* 책 : 샤먼제국

* 강연 : 박용숙(샤먼제국 저자)

* 강연일시 : 9월11일(토) 오후 5시 30분

* 강연장소 : 마포평생학습관(마포도서관) 4실

* 초대인원 : 25명



*** 알라딘 [문화초대석] 참가 신청

*** http://blog.aladin.co.kr/culture/category/25330380?communitytype=MyPaper


===================================================================================

"한반도 반만년 역사는 허구다!-샤먼제국, 동서양 고대사를 보는 새로운 시각"



이번 9월 10일부터 열리는 서울와우북페스티벌에서

<샤먼제국>의 저자 박용숙선생님의 초청강연(9월11일 오후 5시30분 마포평생학습관)이 있습니다.



책을 읽고 꼭 한번 저자를 만나고 싶었던 분,

책 내용을 묻고 싶었던 분,

책 내용을 항의하고 싶었던 분,

사마천과 김부식이 무슨 잘못을 했는지 궁금한 분,

샤머니즘에 관심이 있는 분,

환단고기에 대해 할 말 많은 분

그리하여 고대사에 대한 관심이 많은 분!!

모두 환영합니다.



<샤먼제국>은 단군은 시리아의 왕?

진시황제와 알렉산드로스가 같은 인물?

신라의 왕관은 사람이 쓴 것이 아니었다?

아시아의 역사가 세계사이고 서양사는 변두리 역사?

샤머니즘은 미신이 아니라 제국의 통치 이념?

만리장성을 쌓은 것은 진시황이 아니라 흉노가 쌓았다?



<샤먼제국>은 광범위한 동서양의 역사적 유물을 바탕으로 사마천과 김부식의 방대한 역사서를 재분석과 검증합니다.

그리고 오류를 되짚어가는 과정에서 세계사 속에서 호흡하는 우리 역사를 되살립니다.

그렇지만, 민족 중심의 사관을 지양합니다.



박용숙 선생님과의 만남은 9월 11일 오후 5시 30분, 마포평생학급관 강연실 4실에서 있으며,

참가 신청은 아래와 같이 와우북페스티벌 카페로 가셔서 신청하셔도 되고,

sodongbook@naver.com 으로 심청하셔도 됩니다.

연락처와 이름은 꼭 적어주시고요!



성공회대 교수이자 신학자인 김민웅 선생님이 경이롭다고 한 책, <샤먼제국>의 저자,

박용숙선생님과의 만남에서 젊은 역사관을 호흡해 보세요.~~ ^^



참고로 인터넷서점과 알라딘의 대표적인 서평 두 개를 링크해놓습니다요~~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95277890#MyReview



http://www.yes24.com/24/goods/3713072?scode=032&srank=1#ReviewTop1



와우북페스티벌과 강연에 오시면 <샤먼제국>을 축제 특별할인가로 구입할 수 있습니다.

강연현장 및 축제 부스(인문사회과학 출판인협의회 부스 A-2 소동출판사에서 거리도서전 위치 : http://blog.naver.com/sodongbook/90094707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