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스 1
카밀라 레크베리.헨리크 펙세우스 지음, 임소연 옮김 / 어느날갑자기 / 2024년 11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책만을 제공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카밀라 레크베리 작가가 유명한 작가였다. 사실 이 작가에 대해 잘 몰랐는데 이번에 읽어보게 된 박스를 통해서 한번 찾아보았다. 카밀라 레크베리 작가는 이번 작품에 헨리크 펙세우스 심리 술사와 함께 집필한 작품이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이 작품의 빈센트가 멘탈리스트로 나와 그의 직업에 관한 지식이 그 사람에게 투영된 것이 아닌가 싶었다.
처음 시작은 어느 한 여자의 이야기로 시작한다. 자녀를 데리러 가야 하는데 누군가에게 잡혀 갇히게 된 그녀, 그런 그녀가 아이를 데리러 가야 한다는 말을 누군가에게 하고 이야기는 끝이 난다. 프롤로그를 읽고 나서 무서웠다. 아이를 데리러 가야 한다는 그녀의 울부짖음에도 아무런 대답 없이 끝나는 모습이 상상만으로도 오싹하게 만들어 버려 이 책이 어떻게 서술될 것인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고 시작되는 빈센트와 경찰 미나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둘의 인연은 미나가 멘탈리스트 빈센트에게 함께 수사에 참여해달라고 요청을 하며 시작한다. 둘이 수사를 함께 하게 된 사건은 바로 마술 상자에 갇혀 온몸에 칼이 꽂힌 시체가 발견된 것이다. 그리고 계속되는 피해자의 발생은 둘을 더 가깝게도 만들기도 했으며 그 사건에 대해 협력해 수사를 하기 시작하고 수사를 하면서 이 사건의 숨겨진 사실을 파헤쳐 나가기 시작한다.
빈센트의 가정사에 대해서 충격적이어서 잊히지 않는다. 왜 이렇게 강력한 가정사를 이야기하는 것일까 이것이 이 소설과 무슨 연관이 있을까 궁금했었는데 이 소설의 등장인물에 필요한 부분이어서 소개된 것이지만 꽤나 충격적이었다.
둘은 케미가 돋보이는 수사였다. 뭔가 최고처럼 보였던 빈센트였고 철저해 보였던 경찰 미나였지만 뭔가가 있었던 둘의 조합이 사건 해결에 어떤 케미를 보여줄까도 생각 들었지만 미나의 빈센트에 대한 의심은 혹 빈센트가 범인이 아닐까 고민하게도 만들며 독자들로 하여금 혹시?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들었고, 이 사건의 해결점을 찾아나가는 과정이 짜릿했다고 말하는 게 이 책을 읽고 느낌 점을 설명하는 더 쉬운 말 같다.
생각했던 것의 반전은 작가의 트릭에 속아버렸던 추리 소설이었다.